• 사기사례
해선코리아의 사기사례는
공익성을 위해을 작성됩니다.
언제나 이용자들의 입장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업체의 회유나 이익에 흔들리지 않고
1건의 삭제없이 사실만을 바탕으로 작성해오고 있습니다.

“성매매 강요하고 장기 적출 협박”...진화하는 中 ‘보이스 피싱’ 조직의 실태

26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보이스피싱. [연합뉴스]


최근 미얀마에 거점을 두고 갖가지 범죄를 저지른 중국인 보이스 피싱 조직 주범들이 중국으로 송환됐습니다. 이들에게는 사기, 불법도박 개설, 공갈, 살인, 상해, 납치, 마약 밀매 등의 혐의가 적용됐습니다.


특히 이들은 고수익 알바를 알선한다거나 배달 심부름 등을 빌미로 국적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을 미얀마로 납치해 범죄에 가담토록 강요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감금과 구타, 물과 음식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기본이었고 손톱을 뽑히거나 손가락을 잘린 사례도 부지기수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여성들의 경우 강제 성매매에 동원됐습니다. 사망한 중국인만 최소 6명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조직이 저지른 보이스피싱 등 사기 사건은 건수만 3만1000건이 넘고, 범죄수익 금액은 106억위안(약 2조원)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미얀마 중국인 보이스피싱 조직의 두목(왼쪽)과 아들. [베이징르바오 캡처]


확산하는 中보이스피싱 거점....중국→필리핀→캄보디아→미얀마-태국 국경지대로


미얀마 사기조직서 풀려난 외국인 노동자들. [AP 연합뉴스]


이들 조직의 표적은 국적을 가리지 않습니다.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피해자뿐 아니라 가해자도 중국인이 가장 많지만, 다른 아시아나 아프리카, 유럽 국가 출신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NHK에 따르면 지난 3월 태국 당국은 미얀마 동부에 있는 보이스 피싱 조직 거점에서 일본인 남성을 태국으로 이송했습니다. 이곳에서 탈출한 독일인은 현지 매체에 “오전 중 건수를 올리지 못하면 점심은 없다. 구타당하는 것은 부지기수고 하루 17시간씩 일했다. 가고 싶다고 하면 팔아버리거나 죽이겠다고 협박했다”고 증언했습니다.


미얀마-태국 국경 여러 지역에서 납치되는 피해자 수가 수만 명애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등 중국 보이스 피싱 조직 문제는 글로벌 이슈로 비화한 상황입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태국 정부가 단속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나, 여전히 5만~10만 명이 감금돼 있는 상태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들 범죄집단의 거점은 점차 진앙지가 중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확산되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한국 외교부가 특별여행주의보를 내렸던 태국-라오스, 태국-미얀마 국경검문소.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지난 2월 발표한 ‘인터넷 사기 및 관련 범죄 전형 사례’에 따르면 2013년 시진핑 정권 출범 이후 중국내 단속이 강화되자, 범죄조직들이 필리핀으로 옮겨가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불법 온라인 카지노와 보이스 피싱을 일삼던 이들 조직은 2016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범죄 척결을 내세우면서 단속하자, 다시 캄보디아로 옮겨갔습니다. 캄보디아의 ‘친중 성향’을 틈타 이들 범죄 조직은 남부 시아누크빌에 대규모 거점을 구축했습니다.


‘캄보디아의 중국’으로 불릴 정도였던 이 도시는 거리의 간판부터 언어까지 모두 중국어로 가득해 마치 중국의 식민지 같은느낌이 드는 곳입니다.


하지만 시아누크빌도‘범죄의 소굴’ 처럼 변질되자 캄보디아 정부도 점차 단속에 나섰고, 특히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국인들이 일제 귀국하게 됐습니다.


그러던중 2021년 초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발생했습니다. 이 혼란을 틈타 범죄집단의 둥지가 다시 미얀마쪽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당장 자금이 필요했던 미얀마 군부와 거점을 확보하고 싶었던 중국인 범죄 조직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이기동 한국금융범죄예방연구센터 소장은 매일경제에 “보이스 피싱도 결국 돈을 벌기 위한 것이기에 물가가 싸고 수사기관 매수가 상대적으로 쉬운 국가로 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얀마 범죄 거점서 벌어지고 있는 참상...“장기제공용으로 팔려나가” 증언도

미얀마 중국인 범죄조직이 조직원 징벌 수단으로 사용한 철창. [웨이보 캡처]
지난 2월 일본 공영방송 NHK는 “태국과 미얀마 동부 국경 지역에서 4년 전 쿠데타 이후 소수민족 무장세력의 지배 지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틈을 타 중국인 등의 범죄 조직이 사기 거점을 잇달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곳에서 납치된 이들에 대한 폭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한 방글라데시 출신 남성은 지난해 10월, 악명“이곳의 규칙은 매우 엄격해서 한주에 5천달러의 할당량이 있었다. 못 채우면 전기충격기나 대나무 몽둥이로 고문당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에 따르면 미얀마에서 구조된 한 중국인 의사도 탈출하려다 실패하자 온몸이 다 멍이 들만큼 몽둥이로 맞았다고 말했습니다.
미얀마로 끌려간 사람들은 범죄 조직들 간에 ‘전매’되는데, 가장 마지막에 도착하게 되는 곳이 미얀마 카렌주 미야와디의 ‘KK파크’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이지역에 있는 무장세력은 범죄거점을 보호해주는대신 수익을 얻어왔지만 태국 정부 등으로 부터 압박을 받으면서 지난 2월 부터 단속에 착수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탈출자는 “KK파크에서는 여성이 성폭행당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물감옥, 폭행, 고추물 고문을 당한다. 숨지는 경우도 많고 살아남더라도 쓸모없다고 생각되면 장기 제공용으로 팔려 나간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보이스피싱 94% ‘중국발’...현지 당국과 공조 중요한데

1500891895_ZAQYJvV8_b130231a36c143fbb98908daed521850193d0874.jpg
한편, 날로 진화하는 보이스 피싱 범죄로 한국인들의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한국 경찰청 등 수사당국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걸려오는 해외 보이스피싱 전화의 94%는 중국발(태국 3.8%, 베트남 1.3%, 캄보디아 0.8% 등)입니다. 특히 이들 중국발 보이스피싱중 70%가량은 칭다오, 웨이하이 등 한국과 가까운 산둥성 지역이 발신지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범죄 진앙지가 다양화 하고 있다지만, 여전히 한국인들을 농락하는 보이스 피싱 최대 온상지는 중국인 것입니다. 주범들이 해외에 체류하고 있다보니, 현지 수사당국과 긴밀한 공조 없이는 체포와 범죄수익 환수가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 입니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중국 수사기관과의 공조 체계가 중요하지만 현재 중국에는 보이스피싱 관련 업무를 전담할 ‘코리안데스크’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에 전담 수사 인력 2명이 근무했지만, 현재는 필리핀과 베트남으로 1명씩 넘어간 상황입니다.
경찰 관계자는 “국제 공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보이스피싱 수사는 그림자만 쫓다가 끝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피싱 전화가 가장 많이 걸려 오는 중국과의 수사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하단 기자페이지 ‘+구독’을 누르시면 다음회차 기사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매주 연재되는 [한중일 톺아보기]는 한중일을 중심으로 아시아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살펴봅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85 / 2 페이지
사기신고 및 사기 사이트
해외선물 사이트를 이용하다 보면 사기 피해를 입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해외선물 사이트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기에 사기 피해 역시 여러 사이트에서 다양한 수법으로 나타납니다.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피해를 입은 후에 보상을 받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됩니다.
그렇기에 사기 피해를 입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만약 사기 피해를 당했다면 많은 유저들과 공유하여 사기 사이트가 다시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기 피해는 남의 일이 아니라 모두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사기 신고 및 공유가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해선코리아에서는 사기 피해를 입은 유저들이 사기 신고를 할 수 있도록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신고가 추가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고, 또 다른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해선코리아 사기 신고 방법
  • 01 구체적인 사기 피해 상황에 대해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02 사기 피해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피해를 당한 사이트명, 사이트주소, 피해를 입은 금액 등을 구체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 03 피해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할수록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 04 사기 피해를 입었다는 생각이 든다면 증거 사진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에 사이트 이용 내역이나 고객센터와 상담한 내용 등을 캡처한 후에 사기 피해 검증사진으로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05 사기신고 게시판을 이용하기 어렵다면 해선 고객센터로 연락하여 사기신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사기 신고 시에 피해 보상이 어렵더라도 신고 사이트에 대한 조사와 공유를 통하여 다른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해선코리아 사기신고 게시판 이용방법
직접 사기 피해를 입은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해선코리아 사기신고 게시판을 수시로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사이트가 어떤 방식으로 사기 피해를 입히는지 다른 유저들과 소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여러 유저들에게 사기 피해를 입었다고 신고가 된 사이트를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해당 사이트 이용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01 사기신고 게시판을 수시로 확인하여 사기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 02 사기 수법을 잘 확인한 후에 사기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03 사기 사이트를 확인한 후 추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합니다.
  • 04 사기 피해가 확인된다면 해당 사이트의 폐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기 사이트로부터 피해를 당하고 있습니다.
그 피해 금액이 적든 많든 관계없이 사이트 이용 과정에서 억울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기 사이트로부터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고 검증된 사이트를 이용해야 합니다.
만약 사기 피해를 당했다면 거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기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공유하여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합니다.
많은 정보가 공유될수록 사기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점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