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세계 핫 뉴스들을 가장 빨리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국내주식 분류

한국인의 인생…28세 첫 흑자·45세 최고 소득·61세 다시 적자

32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28세에 ‘흑자 인생’이 시작되고 45세 때 정점을 찍은 뒤 61세에 적자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인생 살림살이가 적자로 바뀌는 시기는 점점 늦춰지고 있다.

통계청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에 따른 소비와 노동 소득의 관계를 분석해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2023년 기준 한국인은 태어난 이후 27세까지 생애주기적자를 이어간다. 생애주기적자(흑자)란 노동 소득에서 소비를 차감한 값이 마이너스(플러스)라는 의미다.

전체 연령대에서 적자 폭이 가장 큰 연령은 16세로 조사됐다. 적자 규모는 4418만원에 달했다. 1인당 소비가 인생에서 가장 많기 때문인데, 대부분은 학원비 등 교육비 지출로 추정됐다. 적자 폭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줄어들다가 28세부터 노동 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인생에 접어든다. 28세의 연평균 흑자액은 209만원으로 추산됐다.

이런 살림살이 흑자 규모는 45세에 정점을 찍는다. 연평균 1748만원의 흑자를 거뒀다. 이후 하향곡선을 그리다 61세부터 적자(211만원)로 전환한다. 노동 소득이 줄어드는 동시에 의료비 지출이 늘어난 결과로 분석됐다. 적자에 재진입하는 나이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2013년 56세에서 2021년 60세, 올해는 61세가 됐다. 은퇴 후에도 일하려는 고령층이 늘어난 영향이다. 흑자 진입 시기는 2010년 이후 27~28세로 유지됐다.

2023년 우리나라 국민의 생애주기적자 총액은 전년보다 15.9%(31조원) 증가한 226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어섰다. 전체 소비 증가 폭이 노동 소득 증가 폭을 앞지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소비는 전년에 비해 7.0% 증가한 1459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고령층(65세 이상) 소비 증가폭이 12.0%로 가장 컸다. 노동연령층(15~64세)과 유년층(14세 이하)도 각각 6.3%, 4.3% 증가했다. 노동소득은 전년보다 5.5% 증가한 1232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임금소득은 전년 대비 5.6%, 자영업자 노동소득은 3.0% 늘었다.

김익환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새 글
새 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