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임단협, 관세 입장차로 난항 예상

올해 임단협은 임금 인상에 미국의 자동차 관세 이슈가 더해지면서 협상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높다.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생산 품목 조정이 불가피해 노조의 협조가 필요하다.
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사는 오는 12일 경기 광명 소하동 오토랜드 광명에서 올해 임단협 상견례를 실시한다. 이후 다음 날인 13일 2차 본교섭을 진행하며 협상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기아 노조는 지난달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했다. 요구안의 주요 내용은 기본급 최소 14만1300원 인상, 영업이익 30% 성과급 지급, 정년 연장, 주 4일 근무제 도입, 통상임금 특별위로금 인당 2000만원 지급 등이다.
현대차 (KS:005380) 노사는 지난 6월 상견례를 열고 이달 6일 14차 교섭까지 마친 상태다. 여름휴가가 끝난 5일부터 매일 교섭하며 협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현대차 노조 요구안은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을 비롯해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주 4.5일제(금요일 4시간 단축 근무) ▲정년 만 64세 연장 ▲퇴직금 누진제 ▲퇴직자 전기차 최대 25% 할인 ▲통상임금 위로금 인당 2000만원 지급 등이다.
노사는 휴가 기간에도 실무 협의를 진행하며 의견 차이를 줄였지만, 뚜렷한 성과는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관세를 둘러싼 노사 이해도 차이가 커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1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에 따라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로 하향 조정됐다. 최악은 피했지만, 한미 FTA에 따라 누렸던 무관세 혜택을 고려하면 아쉬운 결과라는 게 정부와 업계의 평가다.
관세율 15%에 따른 현대차·기아의 연간 손실액은 4조1550억원으로 추정된다. 25% 기준 6조9250억원보다 2조7700억원 손실을 줄였으나, 12.5%(3조4630억원) 대비 6920억원이 늘었다.
현대차·기아를 비롯한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 악영향이 예상되는 가운데 노사가 미국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
등록일 00:30
-
등록일 00:17
-
등록일 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