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사례
해선코리아의 사기사례는
공익성을 위해을 작성됩니다.
언제나 이용자들의 입장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업체의 회유나 이익에 흔들리지 않고
1건의 삭제없이 사실만을 바탕으로 작성해오고 있습니다.

"과거 5년치 탈세 조사하겠다" 국세청 사칭 사기에 무너진 자영업자

117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1500891895_gHanzeGs_b17ba710eafa3cd9bca520a3cba1640d173a135e.jpg


50대 방기민(가명)씨는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자영업자인 방씨는 평소 보이스피싱 예방 관련 자료를 주의 깊게 보며 스스로 조심하는 편이라고 자신했다. 당하지 않을 자신도 있었다. 얼마 전에도 방씨의 딸은 가족 단체 채팅방에 ‘청첩장 스미싱 조심!, url을 누르지 마세요’라는 글을 공유했고, 방씨는 “걱정하지 마라. 난 안 당해”라며 딸을 안심시켰다.


자영업자임을 알고 접근한 사기 조직


그러던 어느날 방씨에게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상대방은 자신을 국세청 직원이라고 했다.


“방기민씨 되시죠? 개인 사업장 운영 중이시고요.”


“네, 무슨 일이시죠?”


“국세청입니다.”


방씨는 ‘국세청’이란 단어에 먼저 놀랐고 위축됐다. 자신이 국세청 직원이라고 밝힌 그는 ‘세금 포탈’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렸다.


“세금 포탈이라고요?”


“네, 방기민씨. 지금 방기민씨가 부정하게 세금을 회피·탈세한 것이 확인된다는 겁니다.”


방씨는 멈칫했다. 그러자 국세청 직원은 “방기민씨가 운영하는 법인에 대해 미납된 세금이 있습니다”라고 말을 이었다.


그는 “세금 계산서를 발행하지 않고 무료로 거래해 세금을 포탈한 부분이 확인됩니다”라고 방씨를 압박했다.


“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 추징금 5000만원 정도로 확인되는데요. 이 금액을 보내주셔야 합니다.”


방씨는 ‘혹시나’하는 생각에 전화를 끊지 못했다. 국세청 직원은 계좌번호를 불러주며 입금을 요구했다.


“하지만 그렇게 큰 돈을 갑자기…”


“방기민씨가 안 낸 세금이라니까요? 세금을 내지 않으면 세무조사를 진행해 법적 처벌을 받도록 할 수도 있어요.”


“세무조사라니요?”


“탈세하고 추징금을 내지 않으면 과거 5년치 탈세를 조사하겠단 말입니다. 그러면 금액도 커지고 처벌 받을 수도 있겠지요?”


방씨는 할 말이 없었다. 국세청 직원은 송금을 독촉했고, 방씨는 ‘그래, 당연히 내야되는 돈인데’라고 생각했다.


1500891895_GKhxp7An_26817910f14cad6db181004c4db3e65d5599b5b3.jpg

검찰·금감원 등장 않아…개인 소유 계좌 입금 요구

방씨는 결국 국세청 직원이 보낸 계좌번호로 돈을 보냈다. 해당 계좌번호가 개인의 소유로 뜨는 것에 잠시 의문을 가지기도 했지만 국세청 담당자의 계좌이겠거니 했다.

돈을 보낸 방씨는 국세청 직원에게 전화를 걸었다. 돈을 보냈다고 알리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전화가 연결되지 않았다.

‘검사도, 금융감독원 직원도 등장하지 않았는데…이것도 보이스피싱인가’

두 번, 세 번…열 번. 방씨의 손은 떨리기 시작했다. 방씨는 자신이 보이스피싱에 당했음을 이제야 깨달았다.

기관사칭형 수법은 금감원, 검찰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엔 국세청만 사칭하는 수법도 확인됐다. 이러한 국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범죄는 단 기간 내 이뤄지고 돈을 보낸 이후 피해를 회복하기는 매우 어렵다.

해당 유형의 보이스피싱 경우 사기 조직이 상대가 자영업자임을 알고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경찰은 이런 조직이 자영업자들의 개인 정보를 가지고 이를 언급하며 이를 언급하며 공포심을 유발해 사기를 벌인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국세청 뿐 아니라 어떠한 기관도 시민에게 전화를 걸어 돈을 보내라고 하지 않는다”며 “모르는 전화와 금전 요구에 대해 무조건 보이스피싱을 의심하라”고 당부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79 / 4 페이지
사기신고 및 사기 사이트
해외선물 사이트를 이용하다 보면 사기 피해를 입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해외선물 사이트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기에 사기 피해 역시 여러 사이트에서 다양한 수법으로 나타납니다.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피해를 입은 후에 보상을 받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됩니다.
그렇기에 사기 피해를 입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만약 사기 피해를 당했다면 많은 유저들과 공유하여 사기 사이트가 다시 피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기 피해는 남의 일이 아니라 모두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사기 신고 및 공유가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해선코리아에서는 사기 피해를 입은 유저들이 사기 신고를 할 수 있도록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신고가 추가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고, 또 다른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해선코리아 사기 신고 방법
  • 01 구체적인 사기 피해 상황에 대해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02 사기 피해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피해를 당한 사이트명, 사이트주소, 피해를 입은 금액 등을 구체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 03 피해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할수록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 04 사기 피해를 입었다는 생각이 든다면 증거 사진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에 사이트 이용 내역이나 고객센터와 상담한 내용 등을 캡처한 후에 사기 피해 검증사진으로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05 사기신고 게시판을 이용하기 어렵다면 해선 고객센터로 연락하여 사기신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사기 신고 시에 피해 보상이 어렵더라도 신고 사이트에 대한 조사와 공유를 통하여 다른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해선코리아 사기신고 게시판 이용방법
직접 사기 피해를 입은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해선코리아 사기신고 게시판을 수시로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사이트가 어떤 방식으로 사기 피해를 입히는지 다른 유저들과 소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여러 유저들에게 사기 피해를 입었다고 신고가 된 사이트를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해당 사이트 이용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01 사기신고 게시판을 수시로 확인하여 사기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 02 사기 수법을 잘 확인한 후에 사기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03 사기 사이트를 확인한 후 추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합니다.
  • 04 사기 피해가 확인된다면 해당 사이트의 폐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기 사이트로부터 피해를 당하고 있습니다.
그 피해 금액이 적든 많든 관계없이 사이트 이용 과정에서 억울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기 사이트로부터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고 검증된 사이트를 이용해야 합니다.
만약 사기 피해를 당했다면 거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기 피해 사실을 신고하고 공유하여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합니다.
많은 정보가 공유될수록 사기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점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선코리아
새 글
새 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