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반 알고리즘 투자 '젠메브' 경찰 조사 착수...7조원 육박 코인피해 [코인사기, 일확천금의 덫(中)]
6조7579억원. 지난 2020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경찰청이 집계한 코인사기 피해 규모다. 가상자산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관련 사기 범죄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 투자 사기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해킹부터 스캠코인 발행, 다단계식 '돌려막기'까지 수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영국 법인이 운영한다고 홍보된 스테이킹(예치) 플랫폼 '젠메브'에서는 인공지능(AI) 투자기법을 내세운 22억원대 사기 의혹 사건까지 발생했다. 젠메브에 대한 경찰 조사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경찰은 젠메브 등 해외 기반 조직 사례까지 주시하고 있다. 다만, 국제 공조의 한계와 복잡한 자금세탁 수법으로 수사는 여전히 난항 상태다.
1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코인사기는 2017년 '코인 열풍' 이후 전통적인 투자사기 틀에 가상자산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작됐다. 이후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불법 리딩방 등 허위 거래소 사이트 링크를 통해 입금을 유도하는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됐다.
초창기에는 "대신 투자해 주겠다"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식의 대리 투자형 사기가 주류였지만, 최근에는 가상자산 보유자가 늘면서 악성코드로 접속권한을 획득하는 등 기술적 수단을 통한 탈취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수법은 정교해졌지만, 근간에는 여전히 '고수익 보장'을 미끼로 한 전형적인 투자사기 구조가 자리하고 있다. 가장 흔한 방식은 신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돌려막기 형태다. 일부 업체는 예치만 하면 이자를 주는 것처럼 포장해 탈중앙화 금융(디파이) 서비스인 양 홍보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람이 개입할 수 없는 분산형 시스템이 아닌 중앙집중형 서버와 운영망 위에서 돌아가는 가짜 사이트인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몇 차례 이자를 지급해 '돈이 돈을 번다'는 환상을 심어주다가 자금이 고갈되면 순식간에 붕괴하는 구조다.
남현 법무법인 세움 변호사는 "초창기의 경우 돌려막기로 '정상 작동'처럼 가장하는 경우가 많다"며 "조금 흔들리는 시점부터는 뱅크런처럼 먼저 빠져나간 사람이 살아남고, 늦게 빠져나온 사람은 전액을 날리는 일이 반복된다"고 짚었다.
기술 발달을 악용한 새로운 수법도 나타나고 있다. 블록체인 상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 프로그램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해 실질적 가치가 없는 스캠코인을 발행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유사투자자문업체 고객이었던 피해자 1만여명에게 다른 투자업체인 것처럼 접근한 뒤, 경제적 가치가 없는 A코인 등 28종의 가상자산을 판매해 약 3256억원을 뜯어낸 조직도 등장했다.
가상자산 접근에 필요한 복구 암호문(니모닉 코드)을 대신 보관해 주겠다며 피해자들의 전 재산을 전송받거나, 탈취한 코인을 0.1 단위 등으로 쪼개 수십·수백차례 송금하며 거래 흐름을 감추는 '믹싱' 수법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반 알고리즘 투자를 내세운 신종 사기 수법이 등장했다. 지난 3월부터 국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영업한 '젠메브' 서비스의 국내 총책은 인플루언서들을 동원해 반복적인 홍보를 수행하도록 했다. "젠메브가 블록체인 거래 순서를 유리하게 배치해 이익을 얻도록 하는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방식의 암호화폐 차익거래를 수행하며, 투자자에게는 월 5~8%의 고정 수익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그러나 실제로는 암호화폐를 예치한 이용자들에게 높은 이자를 지급할 의사가 없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럼에도 인플루언서들에게는 유입된 이용자가 젠메브에 예치한 금액의 2%와 예치로 발생한 이자 수익의 약 10%가 지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들은 서울 강남경찰서에 고소장을 접수한 상태다. 이들이 젠메브에 예치한 암호화폐의 가치는 총 22억1687만원에 달하지만, 젠메브는 지난 6월 27일께 돌연 서비스 운영을 종료했다.
코인사기는 국내가 아닌 해외를 거점으로 둔 경우가 많다. 동남아·중국에 기반을 둔 조직도 다수다. 그러나 한국이 사이버범죄 방지를 위한 부다페스트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탓에 수사 자료를 신속하게 교환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반복된다.
인터폴 공조·현장 급습으로 성과를 내기도 하지만, 탈취한 코인이 해외 거래소를 거쳐 개인지갑으로 넘어간 다음 자금세탁까지 이뤄지면 추적·회수는 매우 까다로워진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평소 개별 국가 단위로 협력하며 치안 관련 협력을 이어가야 가상자산 수사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
등록일 02:16
-
등록일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