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세계 핫 뉴스들을 가장 빨리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국내주식 분류

앞다퉈 주식 비중 늘리는 채권혼합형 ETF

2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자산운용사들이 기존 채권혼합형 상장지수펀드(ETF)의 주식 비중을 높이고 있다. 채권혼합형에 투자하면서도 기대 수익률을 높이려는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Fn’의 주식 비중을 30%에서 40%로, ‘TIGER 미국테크TOP10 채권혼합’의 주식 비중을 기존 40%에서 50%로 높일 예정이다. 비중 조절은 오는 31일부터 적용된다. 앞서 한국투자신탁운용도 ‘ACE 미국S&P500채권혼합액티브’의 상품명을 ‘ACE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로 변경하고, 주식 비중을 기존 30%에서 50%로 높인다고 공시했다. 지수 산출 변경 일정이 지연되면서 지난달 말로 예정한 일정이 미뤄졌지만, 다시 비중 조절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개인투자자 사이에선 주식 비중이 높은 채권혼합형 ETF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하나자산운용이 지난달 30일 내놓은 ‘1Q미국나스닥100미국채혼합50액티브’는 상장 당일 전체 ETF 가운데 개인 순매수 10위를 차지했다. 나스닥지수와 미국 단기채에 절반씩 투자하는 상품이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2023년 11월 퇴직연금감독규정 개정으로 채권혼합형에서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최대 비중이 50%로 높아졌다”며 “이전에 출시해 주식 비중이 낮은 ETF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재조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투자자들이 채권혼합형 ETF에 주목하는 건 퇴직연금 계좌에서 활용도가 높기 때문이다. 규정상 퇴직연금은 안전자산에 최소 3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안전자산으로 분류하는 채권혼합형 상품을 활용하면 전체 계좌 내 주식 비중을 최대 85%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기존 채권혼합형 ETF를 ‘리모델링’하려는 움직임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수지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