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 분류

[테마추적]로봇 관련 주가 상승세 지속 ‘노란봉투법 효과’

3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25.9.2 11시 30분 기준 테마 동향. 자료=인포스탁

[인포스탁데일리=김연수 기자] 2일 오전장에서는 △조선·조선기자재·LNG, △로봇·스마트팩토리, △아이폰·폴더블폰·스마트폰, △풍력에너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보안주(정보) 등 6대 테마가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 심리를 견인했다.

조선·조선기자재·LNG 테마는 한·미 조선업 협력 모멘텀과 캐나다 잠수함 수주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상승폭을 확대했다.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MASGA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화그룹의 미국 필리조선소 인수를 통해 군함 수주 가능성이 부각됐다. 러스 보우트 미 백악관 예산관리국 국장의 보좌관 제리 헨드릭스가 “곧 군사적 측면에서의 큰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SNS에 언급한 점이 특히 주목받았다. 여기에 한·미 업체 간 선박 공동설계·공동건조 사업이 본격화되며, 한국 기업이 설계와 기자재 조달을 맡은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성공 사례가 역량을 입증했다. 아울러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이 캐나다 3,000톤급 잠수함 사업 쇼트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며 독일 TKMS와의 경쟁 구도가 형성된 점도 호재였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며 HJ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관련 종목이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스마트팩토리 내부 전경.

로봇·스마트팩토리 테마는 ‘노란봉투법’ 본회의 통과에 따른 자동화 수요 확대 기대가 반영됐다. 노조의 파업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이 법이 노동 분쟁 리스크 회피를 위해 기업들의 로봇·스마트팩토리 투자 검토를 촉발할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졌다. 신한투자증권이 “노란봉투법 통과 익일 주요 로봇 기업 주가가 평균 10% 상승했다”고 전하며, 산업용 로봇 보급률 세계 1위인 한국 시장이 글로벌 수요 확대 때 대규모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와 함께 현대무벡스, 러셀, 하이젠알앤엠 등 관련 종목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아이폰·폴더블폰·스마트폰 테마에서는 DB증권이 “애플 밸류체인이 투자 적기에 진입했다”고 진단하며 투자 심리를 고취했다. 2026년 폴더블폰 출시를 앞두고 부품사들의 신규 수요 확보 기대가 커졌고, 9월 9일 예정된 신제품 발표가 단기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에 삼성전기, LG이노텍, KH바텍 등 애플 체인 핵심 부품사 주가가 동반 상승했다.

풍력에너지 테마는 정부의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에 주목했다. 공공주도형 입찰에서 두산에너빌러티(유니슨) 터빈 사용을 전제로 한 4개 사업자가 선정된 반면, 외국산 터빈 의존도가 높은 민간형 참가자는 모두 탈락했다. 안보 지표를 신설해 국내 기자재 사용을 우대한 정책 기조가 부각되면서 유니슨, 세진중공업, 케이피에프 등 국산 기자재 업체가 수혜주로 부상했다.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는 유럽 방산주의 강세와 MSPO 2025 전시회 기대감이 시장을 자극했다. 독일 라인메탈과 헨솔트의 유럽증시 급등 소식,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의 우크라이나 지원 발언이 투자 심리를 끌어올렸다. 여기에 영국의 노르웨이 Type-26 호위함 5척 수출 계약(100억 파운드 규모) 소식, 오는 2일 개막하는 폴란드 MSPO 2025에 한화방산 3사, 현대로템, KAI 등이 대거 참가하는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 국내 방산주가 강세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보안주(정보) 테마는 롯데카드 내부 서버 해킹 신고와 과기정통부의 KT·LG유플러스 해킹 정황 조사 소식이 전해지며 급등했다. 롯데카드의 1~2GB 규모 정보 유출 우려, LG유플러스의 내부 서버·계정 대규모 노출 정황, KT의 SSL 키 유출 의심 사례가 시장에 충격을 주며 샌즈랩, 파수, 모니터랩 등 보안 솔루션 기업들이 수혜를 입었다.

전반적으로 9월 2일 오전장에서는 지정학적 모멘텀과 정책 변화, 글로벌 수주 기대감이 맞물리며 주요 업종별 테마주가 고른 상승세를 연출했다. 이러한 강세가 오후장까지 이어질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테마 동향 주요 테마
강세 테마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기자재, 조선,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의료AI,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mRNA(메신저 리보핵산), 슈퍼박테리아, 유심(USIM), 탈모 치료, 반도체 대표주(생산), 딥페이크(deepfake), 생명보험, 면역항암제,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의료기기, 인터넷 대표주, 풍력에너지, AI 챗봇(챗GPT 등), 비만치료제, 온디바이스 AI
약세 테마 통신, 면세점, 카지노, 소매유통, 백화점, 전자결제(전자화폐), 페라이트, 애플페이, 홈쇼핑, 마이크로 LED, 화장품, 지역화폐, 맥신(MXene), 철강 주요종목, 증권, 초전도체,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음원/음반,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파크, 렌터카, 여행, 수산, 두나무(Dunamu), 자전거, 폐기물처리, 패션/의류, 윤활유, 편의점, 핵융합에너지, 정유,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리튬

김연수 기자 [email protected]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