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2차전지 구조대 출동?…"아직 리스크 여전"

2차전지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산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한 리스크가 아직 여전하다며 섣부른 매수를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17일 에코프로는 27.04% 급등한 7만3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엘앤에프와 에코프로비엠도 각각 12.80%, 12.59% 상승했다.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도 각각 8.26%, 3.21% 올랐다.
2023년 이후 고전을 면치 못했던 2차전지주가 갑자기 급등세를 보인 건 AI 데이터센터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가 급증하면서다. ESS의 핵심 구성품인 배터리를 공급하는 2차전지 업체 실적이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미국 ESS 2위 사업자인 플루언스 에너지 주가는 최근 3거래일 간 약 50% 급등했다.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도 늘어나며 양극채 업체의 3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시장조사업체 로모션에 따르면 지난 달 전세계 배터리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한 210만 대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영업이익은 6013억원으로 전년 대비 34.1% 증가했다.
그러나 증권가에선 2차전지 기업의 실적이 아직 바닥을 다졌다고 보기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테슬라에 양극재를 공급하는 엘앤에프를 제외하면 대부분 일회성 수익에 기반한 실적 호조세”라고 지적했다. 에코프로비엠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443억원으로 흑자전환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지분투자(10%)에 대한 염가매수 차익(405억원)과 재고평가 충당금 환입금(70억원) 등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면 핵심 사업 부문은 아직 적자를 면치 못했다는 분석이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3분기 전기차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이 약속한 최소구매 물량을 인수하지 않으면서 받은 일회성 보상금(약 2000억원 추정)으로 인해 실적이 껑충 뛴 것으로 증권가는 추정하고 있다.
ESS 시장이 고성장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전기차 판매 실적에 따라 2차전지 기업의 전체 실적이 추가 하향 조정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 연구원은 “전기차 수요 둔화가 실적에 충분히 반영될 내년 초까지 기다린 뒤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심성미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15:37
-
등록일 14:23
-
등록일 0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