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수익률 플러스인데"…속 타는 美 장기채 투자자들
올 들어 지지부진하던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반등하고 있다. 미국 고용지표 악화로 국채 금리가 급락(채권 가격 상승)하면서다. 고물가 우려와 재정 적자 등 변수가 산적해 있어 장기채 ETF의 추가 상승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8일 ETF체크에 따르면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는 최근 3개월간 2.72% 상승했다. 환노출형인 'PLUS 미국채30년액티브'와 고배당으로 변동성을 줄여주는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한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은 각각 5.75%, 7.21% 올랐다.
미국의 8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나쁜 것으로 나타나면서 장기채 ETF가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8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보다 2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만5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고용 쇼크'에 시장에서는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미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를 인하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Fed가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할 것이란 기대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지난 7월까지만 하더라도 연 5%대를 넘나들었지만 최근 4.0%대로 크게 하락했다.
증권가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고 있음에도 미국 장기채 금리가 추가로 하락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관세 정책에 따른 고물가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미국의 재정 적자도 채권 투자에 있어 큰 위험요인이다.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 장기채 금리가 전반적 오름세인 것도 부정적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의 빅컷 기대는 과도하기 때문에 시장 금리는 이달 FOMC 이후 반등할 전망이다"며 "고용의 부진 판단에 신중할 Fed, 물가 흐름 등을 감안하면 연말까지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연 4.0~4.30%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했다.
시장의 관심은 11일 발표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쏠리고 있다. 고용 안정과 함께 물가 안정이 Fed의 주요 목표인 만큼 물가가 높은 수준이면 금리 인하에 나서기 어렵다. 하성우 하나증권 연구원은 "CPI에 대한 경계심으로 미국 장기채 금리가 낙폭을 일부 되돌릴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맹진규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07:30
-
등록일 07:16
-
등록일 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