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 분류

[현장] 엔화 스테이블코인, 일본내 첫 승인…디지털 금융 새 장 열리나

48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현장] 엔화 스테이블코인, 일본내 첫 승인…디지털 금융 새 장 열리나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일본 금융당국이 올가을 엔화 가치에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을 최초로 승인할 방침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당국이 관련 절차를 마무리 짓고 있으며, 이르면 올해 안에 일본 내에서 해당 스테이블코인이 공식적으로 유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8일 보도했다.

핀테크 기업 JPYC(도쿄 치요다 소재)가 자금 이동업 등록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엔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달러 등 법정화폐와 1:1로 가치를 연동하도록 설계된 암호화 자산이다.

2023년 6월 개정된 자금결제법에 따라 ’통화표시 자산’으로 분류되어 은행, 신탁회사, 자금 이동업자가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

JPYC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JPYC’는 1 JPYC = 1엔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예금, 국채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담보로 보유할 예정이다.

자금 이동업 등록 완료 후 수 주 내에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개인, 법인, 기관 투자자는 JPYC 구입을 신청하고 대금을 이체하면 전자 지갑으로 JPYC를 받을 수 있다.

JPYC는 해외 유학생 송금, 법인 결제, 분산형 금융(DeFi)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JPYC는 향후 3년간 1조 엔 상당의 JPYC 발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가상화폐 헤지펀드, 자산관리 회사 등으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금리 차익을 노리는 캐리 트레이드에 JPYC가 활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 7월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정비하는 ’GENIUS 법’을 제정하여 시장의 신뢰성을 높였다.

홍콩 역시 8월 스테이블코인 조례를 시행하며 위안화 발행 환경을 조성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테더(USDT)와 USDC가 주도하고 있으며, 씨티그룹은 2030년까지 시장 규모가 3.7조 달러(약 540조 엔)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결제 시스템 기업 스트라이프는 스테이블코인 결제 서비스를 출시했고, 코인베이스도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스테이블코인 결제 기능을 도입했다.

일본내에서는 SBIVC 트레이드가 USDC 거래를 시작했으며, JPYC 외에도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 중인 기업들이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