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주식 시장 분류

"건설업 부진 지속…소비쿠폰 효과로 내수 여건은 개선"

9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건설업 부진 지속…소비쿠폰 효과로 내수 여건은 개선"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건설업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소비부양책 시행으로 내수 여건은 점진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수출이 크게 늘었지만 관세 인상 우려에 따른 일시적 효과로 분석돼 향후 수출 둔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발표한 ’8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부진에 주로 기인해 낮은 생산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소비 여건은 부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건설 부문은 지속적인 침체를 보였다. 6월 건설기성은 전년 대비 12.3% 감소해 5월(-19.8%)에 이어 두 달 연속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관련 투자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2.1% 늘었지만 전월(6.7%)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반면 소비 부문에서는 개선 신호가 포착됐다. 소매판매가 0% 안팎의 낮은 증가율에 머물고 있지만,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10.8로 전월(108.7)보다 상승해 기준치(100)를 웃돌았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가계 대출금리가 하락세를 지속하고, 7월에 민생회복 소비쿠폰도 지급되면서 소비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7월 수출은 전년 대비 5.9%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31.6% 급증해 전체 수출을 견인했으나, KDI는 이를 관세 인상 우려에 따른 제3국의 ’선제적 수출 효과’로 분석했다.

대만, 아세안 등 국가들이 관세 인상에 앞서 미국에 반도체 수출을 집중하면서 이들 국가가 중간재로 활용하는 한국 반도체 수출도 함께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KDI는 앞으로 이 같은 선제적 수출 효과가 축소되면 반도체 수출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전체 수출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했다.

정 실장은 "최근 반도체 수출 증가세는 선제적 수요 영향에 따른 것인데, 앞으로 미국의 품목관세가 부과되면 수출이 줄어들 수 있다"며 "반도체 중간재를 대만 등에 많이 수출하는 상황이어서, 한국에 대한 관세뿐만 아니라 타국에 부과되는 관세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