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6시황레이더]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황화리튬 상업화 플랜트 구축 결정에 급등
![© Reuters. [0806시황레이더]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황화리튬 상업화 플랜트 구축 결정에 급등](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LYNXMPEB4I00E_L.jpg)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 황화리튬 상업화 플랜트 구축 결정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852.00억원(자기자본대비 70.03%) 규모 신규시설(Li2S(황화리튬) Mother Plant 구축) 투자 결정 공시했다. 투자목적은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 제조 기업들의 상용화 계획에 대응한 Li2S(황화리튬) 상업화 플랜트 구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황화수소 제조 및 처리능력, 고순도 황화리튬 및 조절 능력으로 고순도 황화리튬에 생산 원가 및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밝힘. 해당 선제적 설비투자 의사결정은 긍정적, 향후 국내/외 고객사들향 수주 확보와 이에 따른 추가 증설 모멘텀은 기업가치 상향 요인으로 판단한다고 언급했다.
사진=이수스페셜티케미컬
◇ 삼성E&A(028050), 인니 친환경 LNG 플랜트 기본설계 수주에 상승
인도네시아 INPEX Abadi Onshore LNG Project FEED 낙찰통지서(Letter of Award) 접수 공시했다. 이와 관련, 동사는 인도네시아 동부 아라푸해 해저 아바디 가스전으로부터 생산된 천연가스를 처리하고 액화하여 수출하는 설비(LNG 연산 950만톤)의 기본설계(FEED)를 수행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금액은 당사분 미화 26백만불이며, 기간은 13개월이다.
◇ 롯데웰푸드(280360), 하반기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비우호적 영업환경에 일회성 비용이 더해지며 부진했으나, 하반기 턴어라운드 기대감은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제품 가격 인상 효과가 온전히 반영되며 원부자재 가격 상승 영향을 상쇄할 것이며,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국내 수요에 대한 회복,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조직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동사는 상반기 실적 둔화에도 불구하고 25년 가이던스를 유지했으며 이는 현재 당사 추정치보다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7월부터 무더위 및 소비쿠폰 효과로 매출 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하반기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한편,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643억원(+2% y-y), 343억원(-46% y-y)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설명했다. 인건비 및 공장통폐합 과정에서 일회성 비용이 약 110억원 가량 발생했기 때문이며 이를 제외하면 당사 추정치에 부합한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유지]
사진=롯데웰푸드
◇ 디어유(KQ:376300),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급등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액 202억원(+6% YoY), 영업이익 74억원(+6% YoY, OPM 36.9%)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버블 구독자 수는 1Q25 평균 188만명→2Q25 평균 217만명으로 +15% QoQ 증가했다며, 대형 IP인 SM엔터의 RIIZE와 NCTWISH가 4/29 입점했고 스타쉽 KiiKii, CUBE 나우어데이즈 등 아티스트가 확대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당기순손실은 -66억원으로 적자전환했는데 강화된 회계 기준에 따라 아티스트 MG 선급비용 119억원(미국 71억원, 본사 48억원)을 일시에 손상처리 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올해 하반기 실적은 연결 매출액 485억원(+37% YoY), 영업이익 238억원(+112% YoY, OPM 4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동사는 7/7 구독권 가격을 11~12% 인상(국내 4,500원→5,000원, 해외 $3.99→$4.49)했고 인상 전 가격으로 PG결제를 할 수 있도록 전환을 유도하며 플랫폼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6/30 중국 QQ 뮤직에 서비스를 론칭해 SM, JYP, CUBE 아티스트 선입점 후 7/24 기타 아티스트를 확장하며 하반기부터 로열티 수익 인식에 따른 손익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5,000원 -> 62,000원[상향]
◇ 디앤디파마텍(347850), DDO2S, MET-097o/224o 임상 기대감 및 NLY02 美 특허 등록 소식에 소폭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사 MASH 치료제 후보인 DD02S의 24주 임상 중간 결과에 대해 9월 학회에서 발표 예정이며, 이번 데이터는 약물의 항섬유화, 항지방간 효과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Metsera가 경구 제형으로 개발 중인 MET-097o, MET-224o는 일라이 릴리(LLY US)의 비펩타이드 경구제형 orforglipron과 본격적인 경쟁 구도를 형성할 수 있는 핵심 파이프라인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펩타이드 기반임에도 경구 흡수 효율과 내약성을 동시에 확보한 formulation 기술력이 입증된다면, 동사는 해당 기술 이전 건을 통해 조기 기술료 수익뿐 아니라 차세대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파트너십 확장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트바이오테라퓨틱스와 공동개발 중인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NLY02’와 관련된 미국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NLY02는 파킨슨병(PD), 알츠하이머병(AD)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를 목표로 개발 중인 경구용 저분자화합물이다. 이와 관련, 동사 이슬기 대표는 "퍼스트바이오와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그간 퇴행성 뇌질환 분야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던 신규 타깃에 의한 발병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신규 후보물질을 발굴해왔다"며 "유의미한 사업적 성과 도출을 위해 공조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앤디파마텍 CI.
박상철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18:06
-
등록일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