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세계 핫 뉴스들을 가장 빨리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국내주식 분류

"바라는 수익률은 연 25%"…그런데 퇴직연금 전체를 예금에? [일확연금 노후부자]

3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최근 한국경제신문은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와 함께 한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대상입니다. 응답자가 2000명, 설문 기간이 7월 8~23일이니 꽤 큰 규모 조사입니다.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인데요, 설문 결과를 보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퇴직연금을 예금 등 '원리금보장형'에 방치해놓고 있다는 점이 나타납니다.

퇴직연금 자산의 61.8%가 원리금보장형으로 운용되고 있었고,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실적배당형'은 38.2%에 불과했습니다. 응답자의 42%가 수익률 연 10% 이상, 25% 이상까지도 바라고 있었는데 말이죠.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로 '연금 격차' 줄여야

물론 본인이 원금보장에 만족한다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운용 경험이 없는 응답자들 중 '원리금보장형 상품만으로도 만족해서'라고 답한 사람은 16.1%에 불과했습니다. '연금자산을 안전하게 운용하고 싶어서' 12.8%를 합치면 약 29% 입니다.

나머지는 △한번도 투자해본 경험이 없어서(12.6%) △투자하는 방법을 몰라서(12.3%) △투자하는 방법이 복잡해서(12%) △금융상품을 이해하기 힘들어서(9.6%) △시장을 챙길 시간이 없어서(9.6%) △지인들의 투자실패를 보고(9.3%) 등이 차지했습니다. 대부분 모르거나 두려워서 안하고 있다는 얘깁니다.

한편으론 고소득일수록 퇴직연금의 실적배당형 투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본인과 배우자를 합친 월평균 근로소득이 400만원 이하인 가입자의 경우 43.3%가 원리금보장형 100%로 연금 계좌를 운용 중이라고 응답했는데, 이 비율은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져 800만원 이하는 24.6%, 1200만원 초과는 17.1%가 원리금보장형만으로 계좌를 운용한다고 답했습니다.

반대로 실적배당형 100% 운용 가입자는 400만원 이하에서 7.3%로 낮지만 1200만원 초과에서는 12.3%로 높아졌죠.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연금 격차'를 우려합니다. 고소득자의 경우 퇴직연금 적립 규모도 크긴 하지만, 적극적 운용으로 연금이 불어나는 속도도 빠르다는 겁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노후 자산을 늘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겁니다.

ETF·TDF로 퇴직연금 분산·장기투자

물론 '투자'는 손실 위험이 항상 존재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그렇기 때문에 퇴직연금 계좌가 투자에 안성맞춤"이라고 말합니다. 단기 투자는 언제나 변동성에 노출돼 있지만, 돈을 쉽게 빼지 않는 퇴직연금 계좌는 장기투자로 수익률 싸움에서 이길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최근엔 상장지수펀드(ETF)와 타겟데이트펀드(TDF)가 보편화되면서 퇴직연금 투자가 더 수월해졌습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ETF를 담고 있다는 응답은 52.3%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적극형(실적배당형 40% 이상) 가입자는 무려 ETF 보유율이 77.7%에 달했습니다.

보유 ETF 개수는 전체 1.4개, 적극형 투자자 3.0개였습니다. 모든 가입자가 평균 1개 이상의 ETF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ETF가 보급된 겁니다.

ETF는 유망한 업종 기업을 다수 담아 분산투자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입니다. 만일 '국장'이 미덥지 못하다면 해외에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으로 살 수 있는 미국 투자 상장지수펀드(ETF)가 수두룩합니다.

지난 14일 기준 최근 5년 수익률이 22.05%인 'KODEX 미국빅테크10(H)' ETF가 대표적입니다. 매니저들이 시장 흐름에 따라 구성종목을 교체해주는 액티브 ETF도 요즘은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최근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주식시장에 분산투자하는 'TIGER 토탈월드스탁액티브' 같은 ETF도 출시됐습니다. "미국 투자도 못 믿겠다면 전 세계에 분산투자 하자"는 아이디어를 담은 상품입니다. 올해 6월 24일에 상장됐는데, 최근 1개월 간 약 1338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되며 주식형 ETF 중 8위에 올랐습니다.

TDF도 실적배당형 상품의 한 축입니다. TDF는 자신이 설정한 은퇴 시점에 따라 리스크 분산, 적극 투자 등 유형을 판단해 알아서 투자해줍니다. TDF2060이라면 적극적으로, TDF2035라면 보수적으로 투자하는 식입니다. 운용사들이 공을 들여 글로벌 자산배분과 리밸런싱을 하기 때문에 비교적 믿을만 합니다.

TDF도 빠르게 보편화하고 있습니다. 응답자 중 퇴직연금 계좌에 TDF를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은 25.6%였고, 적극형 투자자들은 38.4%가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설정 은퇴연도를 의미하는 '빈티지'는 2035년 18.4%, 2040년 18%, 2050년 16%, 2045년 14.8% 등 다양했습니다.

박한신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