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AMZN.O), 인도 정부에 ’수출용 전자상거래 규제 완화’ 요구…"소매업계 반대 거세"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인도 내 판매자로부터 직접 상품을 구매해 해외 시장에 판매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현재 인도는 아마존이나 월마트와 같은 외국계 전자상거래 기업이 직접 재고를 보유하거나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이들 기업은 단순히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마켓플레이스 역할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은 수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마존 (NASDAQ:AMZN) 경영진은 인도 상공부와의 회의에서 수출 부문에 대해서만 규제를 면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만약 규제가 완화될 경우 아마존 인디아는 판매자로부터 직접 상품을 사들여 해외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정책 제약은 수년간 뉴델리와 워싱턴 간 무역 협상에서 지속적인 갈등 요소로 작용해왔다.
아마존은 이번 회의에서 "수출 규제 완화가 이뤄질 경우 소규모 판매자들이 국제 시장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아마존이 통관 절차를 지원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회의는 격렬한 논쟁으로 이어졌으며, 소규모 상인 측은 "외국 전자상거래 업체에 대한 어떠한 특혜도 반대한다"고 맞섰다.
소규모 소매업체 대변인들은 "아마존과 플립카트가 특정 대형 판매자를 우대하고 할인 정책으로 중소 상인을 잠식해 왔다"며 추가 완화를 허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회의 내부 문건에 따르면 "정책 변경 시 외국 전자상거래 기업이 인도 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는 길이 열려서는 안 된다"는 경계와 함께 인도 정부는 "수출 전용 상품과 인도 내 판매용 상품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아마존은 지난해 12월 기준 2015년 이후 인도 판매자들의 누적 수출액을 130억 달러로 집계했으며, 2030년까지 800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도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2024년 약 1,250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 3,45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록일 19:24
-
등록일 19:23
-
등록일 19:22
-
등록일 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