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주식 시장 분류

日 자동차, 미국 수출 단가 하락세 멈추나... 6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4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日 자동차, 미국 수출 단가 하락세 멈추나... 6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일본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의 단가 하락세가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1일 보도했다.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7월 무역 통계 속보에 따르면, 수출 단가가 6개월 만에 전월 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는 일본 측이 부담해 온 미국의 추가 관세 비용 일부를 현지 판매 가격에 전가하려는 움직임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7월 미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28.4% 감소한 4220억 엔을 기록했다. 수출 대수는 3.2% 줄어든 12만 3531대로 집계됐다.

수출액을 대수로 나눈 평균 단가는 341만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약 120만 엔) 하락했다.

일본은행이 집계하는 기업 물가 지수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7월 지수에서 북미용 승용차 수출 가격은 엔 기준으로 119.6을 기록, 전월 대비 2.2포인트 상승했다.

계약 통화 기준으로도 5개월 만에 전월 대비 상승세를 나타내며 가격 하락세가 바닥을 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자동차에 대한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수출되는 자동차에는 기존 2.5% 관세를 더해 총 27.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당초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은 관세 부과 이후에도 미국 내 판매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수출 단가를 낮추는 방식으로 대응해 왔다.

그러나 관세 비용을 수출 가격 인하로 흡수하는 방식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지속 가능성에 문제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관세 비용의 일부를 판매 가격에 전가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는 7월부터 미국 내 판매 가격을 인상했다.

스바루 역시 6월까지 미국 내 일부 차량 가격을 인상했다. 오사키 아츠시 스바루 사장은 "차의 가치에 걸맞는 적정 가격 설정을 고려하고 싶다"고 밝혔다.

각사의 가격 인상은 관세 비용 상승분의 일부에 그쳐 수익성 하락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향후 미일 양국이 합의한 자동차 관세 15% 인하 시기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새 글
새 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