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 다이내믹스-도요타, AI 기반 아틀라스 로봇 공개

Investing.com —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와 도요타 리서치 인스티튜트(Toyota Research Institute, TRI)는 대형 행동 모델(Large Behavior Model, LBM)로 구동되는 아틀라스(Atlas)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로봇 기술의 괄목할 만한 발전을 보여주었다.
수요일에 공개된 영상에서 아틀라스 로봇은 물체 조작과 이동을 결합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 로봇은 걷기, 웅크리기, 들어올리기 등 전신 움직임을 사용하여 포장, 분류, 정리 작업을 완료한다.
이 시연에서는 연구자들이 상자 뚜껑을 닫고 바닥으로 밀어 로봇이 그에 따라 행동을 조정해야 하는 등 예상치 못한 문제에 아틀라스가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걷기와 균형 제어를 팔 조작과 분리하는 기존의 휴머노이드 로봇과 달리 아틀라스는 단일 대형 행동 모델을 사용하여 로봇 전체를 제어하며 손과 발을 거의 동일하게 취급한다.
이러한 획기적인 발전은 2024년 10월에 체결된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TRI 간의 공동 연구 파트너십에서 비롯되었다. 이 협력은 양 기관의 전문 지식을 결합하여 스마트 로봇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 연구 부문 부사장인 스콧 쿠인더스마(Scott Kuindersma)는 "이번 연구는 우리가 어떻게 삶과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범용 로봇을 구축할 것인지에 대한 단면을 보여준다"라며 "하나의 신경망을 훈련시켜 많은 장기 조작 작업을 수행하면 일반화가 향상되고, 아틀라스와 같이 뛰어난 성능을 가진 로봇은 전신 정밀성, 손재주, 힘이 필요한 작업에 대한 데이터 수집에 가장 적은 장벽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도요타 리서치 인스티튜트의 대형 행동 모델 부문 수석 부사장인 러스 테드레이크(Russ Tedrake)는 "휴머노이드의 주요 가치 제안 중 하나는 기존 환경에서 다양한 작업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이러한 작업을 프로그래밍하는 기존 방식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라며 "대형 행동 모델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이러한 기회를 해결한다. 기술은 인간의 시연을 통해 빠르게 추가되며, LBM이 강력해질수록 더 강력하고 견고한 행동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연이 점점 줄어든다"고 접근 방식의 확장성을 강조했다.
이 프로젝트는 쿠인더스마와 테드레이크가 공동으로 이끌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과 대형 행동 모델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고 고급 조작 및 동적 행동을 포함한 전신 제어를 위한 대형 모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기사는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번역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약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일 02:54
-
등록일 02:10
-
등록일 02:08
-
등록일 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