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주식 시장 분류

금감원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ETP 급락 주의"

6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금감원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ETP 급락 주의"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최근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원자재 상장지수상품(ETP)이 급등락할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6일 금융감독원은 "최근 전쟁 및 관세 등으로 촉발된 원자재 가격 급등락은 관련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불투명한 정보에 기반한 투자는 시장 변동성 확대로 인한 가격 변동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개인투자자는 원자재 ETP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은 지난 6월12일 배럴당 68달러에서 6월18일 75.1달러로 10.4% 급등했다. 이후 6월 24일 64.4달러로 14.3% 급락했다.

미국 구리 선물 역시 지난 6월 30일 5.08달러에서 7월23일 5.82달러로 14.5% 급등한 후, 지난 7월30일에는 4.64달러로 일중일 만에 20.3% 급락했다.

6월 말 기준 원자재 ETP(ETN·ETF)의 자산가치 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체 ETP 자산가치 총액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원자재 ETP 상품의 경우 투기자금 유출입이 활발한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이 대부분이다. 원유 ETP 중 레버리지 및 인버스 비중은 72.8%이며, 천연가스 ETP 중 레버리지 및 인버스 비중은 91.1%로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P의 수익률은 기초자산의 수익률에 추적 배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원자재 시장에서는 투자자의 투자 손실이 단기간에 크게 확대될 수 있다. 특히 기초자산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경우 누적 수익률이 기초자산 수익률보다 낮아지는 ’복리 효과’가 발생해 기대한 수익률을 거두지 못할 수 있다.

금감원은 "에너지 ETP에 단기간 투기자금이 유입돼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괴리율이 확대되어 투자손실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경험이 많지 않은 개인투자자는 원자재 ETP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