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주식 시장 분류

[실적 후] 삼성전자, 반토막난 영업이익에도 증권가 목표가 줄상향

6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실적 후] 삼성전자, 반토막난 영업이익에도 증권가 목표가 줄상향

사진=삼성전자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4조5663억원, 영업이익 4조6761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매출은 0.67%, 영업이익은 55.23% 하락한 수치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DS부문은 서버용 고부가 메모리 제품과 파운드리 주요 거래선에 대한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11% 증가했다.

자료=삼성전자IR

다만 영업이익은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전분기 대비 0.8조원 감소했다.

DX부문은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와 TV 시장의 경쟁 심화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1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4조원 감소했다.

삼성전자 (KS:005930) 관계자는 "글로벌 무역환경의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전세계적인 성장 둔화가 우려되지만 AI와 로봇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확산되며 IT 시황도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증권사 목표 주가(25.08.01 기준). 자료=인포스탁데일리

증권가에서도 삼성전자가 하반기부터 메모리 부문 성장과 파운드리 부문 적자 축소로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며 목표가를 상향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삼성전자가 여전히 매우 보수적인 멀티플을 적용 중인 만큼 향후 파운드리에서의 추가 수주 성과와 유의미한 실적 개선이 확인될 경우 리레이팅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있다고 판단하며 목표주가를 8만4000원으로 상향했다.

하나증권 역시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상향했다. 김록호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파운드리 부문의 경쟁력 입증과 2027년 실적 정상화를 통해 사업부 가치가 한단계 레벨업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잠정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이미 부진한 실적을 반영했다"며 "기술 경쟁력 회복의 핵심 사항 중 파운드리에서 최근 의미있는 고객사를 확보하며 역사적 밸류에이션 하단에서 반등했다. 하반기 실적 개선과 주요 고객사 HBM 승인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는 만큼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고 분석했다.

신영증권 역시 HBM 판매 증가를 전망했다. 박상욱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그동안 D램 전공정 및 HBM 생산 역량의 한계로 인해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할인 요인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저점을 통과하고 있는 국면으로 판단된다"며 "이에 따라 향후 기술 경쟁력 회복 여부가 주가 반등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노근찬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HBM은 삼성전자 TSV(실리콘관통전극) 생산능력(Capa)을 감안할 때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HBM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삼성전자의 역할은 중요할 수 밖에 없다"며 "가까운 시기에 그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B증권은 삼성전자의 HBM 회복으로 실적 우상향을 전망했다. 도상우 연구원은 "엔비디아 (NASDAQ:NVDA) HBM은 4분기부터 HBM3E 12단 공급 본격화로 불확실성 해소가 기대된다. 특히 2026년부터 HBM과 범용 D램의 마진 격차는 현저히 축소될 것으로 보여 균형 있는 D램 생산능력을 충분히 확보한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부터 실적 우상향 시작이 예상되어 지금이 주가의 마지막 저점"이라고 판단했다.

DS투자증권은 테슬라향 파운드리 장기공급계약 수주로 선단공정 고객 확대에 대한 가능성 역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윤서연 기자 [email protected]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