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뇨스 현대차 사장 "韓美 무역합의로 안정적 비즈니스 가능성 생겨 기뻐"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이 한미 무역합의를 통해 확보된 사업환경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투자전략과 현지화 전략을 강화할 것을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지난달 31일 링크드인을 통해 "이번 프레임워크는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한다"며 "현대차의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한국의 디자인·엔지니어링·생산 부문과 미국 생산시설 간 원활한 협업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호세 무뇨스 사장이 7월 31일 링크드인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내용은 한국어 번역본. 사진=호세 무뇨스 링크드인
무뇨스 사장은 "장기적 플랜을 실행할 수 있는 예측가능한 환경이 조성됐다"며 "이 프레임워크는 한국의 디자인, 엔지니어링, 제도팀과 미국 제도조 운영 간의 원활한 협업을 유지하는 동시에 현지화 전략을 강화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의 21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전략이 무역합의를 통해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했다. 무뇨스 사장은 "10만개 이상의 직간접적 일자리 창출 약속을 강화한다"며 "조지아의 HMGMA, HMMA, 미시간 팀, 캘리포니아 북미 본사, 루이지애나 철강 시설에서 미국 제조 생태계를 지속 확장 중"이라고 말했다.
무뇨스 사장은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는 한국 직원들에게도 밝은 미래를 보장한다며 기술인력의 역할 확대도 명시했다.
남양연구소의 전략적 기능에 대해서는 미국 사업을 지원하는 혁신적 디자인과 기술을 개발하며 한국 엔지니어링의 우수성과 미국 제조역량 간의 원활한 협업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 호세 무뇨스 사장과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가 HMGMA 준공식에 참가했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전날 한미 양국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는 통상 합의에 다다랐다. 기존 FTA로 0%였던 관세가 15%로 올랐으나 25%까지 오르지 않은 것에 업계 관계자들은 ’이만하길 다행이다’라는 평가다.
무뇨스 사장은 "수십 년간 현대차는 태평양 양쪽에서 성장과 혁신의 원동력이었다"며 "태평양 양쪽의 근로자들과 지역 사회에 이익이 되는 프레임워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등록일 08.02
-
등록일 08.02
-
등록일 08.02
-
등록일 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