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추적]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테마주 희비 엇갈려...남북경협주 급등, 자동차·철강주 하락
![© Reuters. [테마추적]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테마주 희비 엇갈려...남북경협주 급등, 자동차·철강주 하락](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LYNXNPEB940MS_L.jpg)
25.7.31 12시 30분 기준 테마 동향. 자료=인포스탁
[인포스탁데일리=김연수 기자] 31일 오전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과 국내 주요 기업들의 성과 발표가 테마주들의 강세를 이끌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가장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인 것은 남북경협 관련 테마였다. 제이에스티나가 상한가인 29.95% 상승을 기록했고, 좋은사람들은 25.66%, 인디에프는 13.99% 급등했다. 이러한 상승의 배경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2주 내 한미정상회담 개최" 발언과 함께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합의를 체결했다"며 "2주 안에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북한 김여정 부부장의 최근 담화에서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면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다"는 발언이 나온 가운데, 통일부가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한 북미회담 재개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히면서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었다.
조선 및 조선기자재 테마주들도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힙입어 상승세를 보였다. 한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은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이 중 1,500억 달러가 ’조선협력 전용 펀드’ 조성에 사용된다고 발표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우리 기업의 미국 조선업 진출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것"이라며 이번 펀드의 의미를 강조했다. 구윤철 부총리는 브리핑에서 "MASGA(조선협력) 프로젝트가 이번 무역합의에 가장 기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등 조선업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화장품 테마주들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관세율이 25%에서 15%로 낮아진 소식에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최대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강점으로 삼아온 K뷰티 기업들에 대한 우려가 컸었으나, 이번 협상 결과로 부담이 완화되었다.
한국은 미국의 7번째로 큰 무역상대국으로, 식약처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의 올 상반기 수출 규모는 55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14.8% 증가했다. 특히 미국 수출액은 10억2,000만 달러로 1위 중국을 바짝 쫓고 있으며, 최근 5년간 미국 수출액은 2배 이상 증가해 K뷰티의 글로벌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반면 자동차 대표주/부품/전기차 테마는 하락세를 보였다. 한미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 관세가 15%로 결정된 것에 대해 정부가 "12.5%를 최선을 다해 주장했지만 거기까지였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한국 자동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상호 무관세 수준을 적용받고 있었던 반면, 일본과 EU는 트럼프식 관세 이전까지 2~3%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었다. 이번 일괄 15% 관세로 한국이 미국 시장에서 일본과 유럽 대비 확보하고 있던 2~3% 가격 경쟁력이 사라지게 됐다.
철강 주요종목 및 철강 중소형 테마도 하락세를 보였다. 한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등 금속 제품 관세는 이전 수준인 50%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미 상무부는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로 조정한다"면서도 "철강, 구리, 알루미늄은 변동이 없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과 달리 알래스카 LNG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언급이 빠지면서 관련주들 중심으로 실망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을 보였다.
31일 오전 한국 주식 시장의 테마 동향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이라는 거시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업종별로 뚜렷한 희비를 보여주었다. 특히 남북경협, 조선업, AI반도체, 리튬 관련 테마들이 강세를 보인 반면, 자동차와 철강 테마는 관세 부담 지속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대조적인 모습을 나타냈다.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테마 | 남북경협, 조선, 퓨리오사AI, 태풍 및 장마, 영화, 음원/음반, 마리화나(대마), 엔터테인먼트, 4대강 복원, 비료, 해운,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캐릭터상품, 영상콘텐츠, 쿠팡 (NYSE:CPNG)(coupang), 지역화폐, 카지노, 패션/의류, DMZ 평화공원, 시멘트/레미콘, NFT(대체불가토큰), 웹툰, 창투사, 여행, 페라이트, 건설 중소형,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농업, 조림사업, 두나무(Dunamu),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
약세 테마 | 강관업체(Steel pipe), 남-북-러 가스관사업, 자동차 대표주, 정유, 스마트카(SMART CAR), 2차전지(생산), 철강 중소형, 종합상사, 셰일가스(Shale Gas), LED장비, 자원개발, 은행, 비철금속, 3D 낸드(NAND), 자율주행차, 윤활유,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전기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전기차(충전소/충전기), 도시가스 |
김연수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19:34
-
등록일 19:34
-
등록일 19:33
-
등록일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