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손절·익절 전략으로 수익 극대화
해외선물 손절·익절 전략으로 수익 극대화
1. 손절 · 익절이 중요한 이유
🎯 손절: 손실이 커지기 전에 거래를 종료해 자본을 보호
🎯 익절: 목표 수익에 도달하면 미련 없이 수익 확정
🎯 해외선물은 레버리지가 크기 때문에 1~2틱 차이가 계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 원칙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 이 한 문장이 손절·익절 전략의 본질입니다.
2. 손절(Stop Loss) 전략
① 고정 틱 손절
📌 진입 시점에서 미리 몇 틱 손실이면 청산할지 정함
📌 예: 나스닥(NQ) 8틱 손절 → $40 손실
② 구조적 손절
📌 차트의 지지선·저항선을 기준으로 설정
📌 지지선 아래로 깨지면 매수 포지션 청산, 저항선 위로 돌파 실패 시 매도 청산
③ 변동성 기반 손절
📌 ATR(평균진폭지표)을 이용해 시장 변동폭에 맞춘 손절폭 설정
📌 예: ATR이 12틱이면 손절은 12~15틱 설정
3. 익절 (Take Profit) 전략
① 고정 틱 익절
📌 손절과 마찬가지로 틱 단위로 목표 설정
📌 예: 나스닥 20틱 익절 → $100 수익
② 비율 기반 익절
📌 손익비(Risk-Reward Ratio)로 결정
📌 예: 손절 10틱이면 익절 20틱(1:2 비율)
③ 트레일링 스탑(이동 익절)
📌 수익이 발생하면 손절 라인을 수익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익을 확보
📌 변동성 장세에서 유용
4. 손절·익절 비율 설정 가이드
5. 실전 예시
예시: WTI 원유(CL) 거래
🎯 진입가: $75.00 (매수)
🎯 손절: $74.80 (20틱, -$200)
🎯 익절: $75.40 (40틱, +$400)
🎯 손익비: 1:2 → 승률 33% 이상이면 수익 가능
6. 심리 관리 팁
📌 손절은 주저 없이, 익절은 미련 없이
📌 손실 후 복구하려고 계약수 늘리는 '복수 매매' 금지
📌 전략은 장중 수정하지 말고, 장 전 미리 계획
7. 손절·익절 체크리스트
📌 진입 전 손절·익절 가격 설정했는가?
📌 포지션 진입 후 계획 수정 없이 유지했는가?
📌 하루 최대 손실 한도를 지켰는가?
💡 핵심 요약
1) 손절·익절은 계획된 시나리오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
2) 고정 틱 + 구조적 + 트레일링 스탑을 병행하면 안정성 향상
3) 손익비 최소 1:1.5 이상 설정 → 승률 낮아도 계좌는 성장 가능
-
등록일 2025.08.30
-
등록일 202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