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FOMC(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금리 정책에 관하여
1 조회
0
추천
0
비추천
9월 FOMC(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와 금리정책에 대한 시장기대와 주요 쟁점을 정리해볼게요.
현재 상황 요약
1. 현재 연방기금 금리(Federal funds rate)의 목표 범위는 4.25% ~ 4.50%.
2. 물가(inflation)는 여전히 목표치(2%) 위에 있고, 특히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PCE, Fed가 선호하는 지표) 측면에서 핵심 물가(core inflation)의 하락 압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많음.
3. 반면 고용시장(job market)은 다소 약해지고 있다는 신호들이 있음: 비농업 고용(non-farm payrolls) 증가폭이 예상보다 낮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조짐 등.
시장 기대 (예상 안)
시장에서는 9월 회의에서 금리를 25bp(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봄.
일각에서는 물가 압력 및 기타 리스크 때문에 인하폭이 크지는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음. 즉, “크게 자르기보다는 조심스럽게 완화(stated, gradual easing)” 접근이 유력하다는 분석.
또한, 2025년 하반기에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도 제시됨 (예: 10월, 12월 등)
고려할 주요 불확실성 & 쟁점
물가상승률(inflation)의 지속성
- 일시적인 요인 (수입품 가격 상승, 관세, 공급망 문제 등)이 아직 꺼지지 않은 상태.
- 핵심 물가(core inflation)의 완만한 하락만으로는 Fed가 완전히 안심하기 어려움.
고용시장 약화의 정도
- 고용지표가 약해진다는 신호가 많지만, 얼마나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약화인지가 중요함.
- 고용이 급격히 악화되면 경기 침체(recession) 가능성도 커짐.
정책자들의 견해 차이
- 일부 위원들은 더 빠른 완화를 원하고, 다른 일부는 인하가 “너무 빠르거나 너무 크게” 되면 인플레이션 재급등(re-acceleration)의 위험이 있다고 봄.
- 새로 임명된 Fed 이사(governor) 중 하나인 Stephen Miran이 인하를 지지할 가능성, 또는 큰 폭 인하를 주장할 가능성이 거론됨.
정치적 압력
- 트럼프 대통령 등의 인사 및 정책 변화가 Fed의 독립성(independence) 및 기대(expectations)에 영향을 주고 있음.
경제 성장률(growth)과 기타 외부 요인
- 수요 둔화, 소비자 신뢰 하락, 무역정책 변화 등이 성장에 부담을 줄 가능성 있음.
- 글로벌 경제 상황, 환율, 유가, 원자재 가격 변화 등이 물가 및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해외선물 매매에 있어서 참고 하세요!!!
-
등록일 09.17
-
등록일 09.17
-
등록일 09.09
-
등록일 2025.08.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