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증거금·마진·계약수 완벽 정리
해외선물 증거금·마진·계약수 완벽 정리
1. 증거금 (Initial Margin, 유지증거금)
① 개념
📌 증거금(Initial Margin): 해외선물 거래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자금.
계약 1건을 매수·매도할 때 거래소가 요구하는 ‘보증금’ 역할.
📌 유지증거금(Maintenance Margin): 거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 계좌 잔고가 유지증거금 아래로 내려가면 마진콜(Margin Call) 발생.
② 특징
📌 종목·거래소·변동성에 따라 금액이 다름.
📌 CME, NYMEX 등 거래소에서 매일 변동 가능.
📌 증권사별로 거래소 증거금보다 높게 책정하기도 함(위탁증거금).
2. 마진 (Margin) 종류
3. 계약수 (Contract Size)
① 의미
📌 해외선물은 '몇 계약' 단위로 거래함.
📌 한 계약이 실제로 대표하는 자산의 양(Contract Size)은 종목별로 다름.
4. 계산 예시
🎯 예시: 나스닥(NQ) 1계약 매수
🎯 거래소 증거금: $16,500
🎯 틱 가치: $5
🎯 하루에 10틱 상승 시: 10 × $5 = $50 수익
🎯 20계약 거래 시: $50 × 20 = $1,000 수익
⚠️ 하지만 반대로 손실도 동일하게 확대됩니다.
5. 증거금·계약수 전략
📌 초보자는 1~2계약으로 시작해 레버리지 위험 최소화.
📌 거래소 마진 대비 안전마진(여유자금) 2~3배 확보.
📌 변동성 큰 장(나스닥, 원유)에서는 계약수를 줄이고 손절폭 축소.
6. 마진콜(Margin Call) 주의
📌 계좌 잔고 < 유지증거금 → 증권사가 추가 증거금 입금 요구.
📌 미입금 시 자동 청산(Liquidation).
📌 특히 변동성 뉴스 발표 시간(예: FOMC, 고용지표) 전후는 마진콜 위험 높음.
💡 핵심 요약
1) 증거금 = 진입 보증금, 마진콜 피하려면 여유자금 필수
2) 계약수 = 종목별 대표 자산량, 틱 가치 확인
3) 레버리지 = 적은 돈으로 큰 거래 가능하지만 손실도 확대
4) 초보자는 작게 시작 → 점진적 확대가 생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