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파생상품 이해하기
1. 파생상품 (Derivatives) 개념
정의: 기초자산(Underlying Asset)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상품
기초자산은 주식·채권·통화·금리·원자재·지수 등 다양
왜 ‘파생’인가? → 가치가 기초자산에서 파생되기 때문
2. 해외선물 (Futures)의 위치
파생상품은 크게 아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해외선물은 이 중 선물거래에 해당하며, 거래소가 해외에 있다는 뜻입니다.
예 : 미국 CME , ICE , 일본 OSE 등
3. 해외선물의 구조
1) 기초자산 선택
📌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 원자재: 원유, 금, 구리
📌 통화: 유로, 엔, 달러인덱스
2) 계약 사양(Contract Spec) 확인
📌 계약 크기, 틱 사이즈, 틱 가치, 거래시간
3) 만기일 & 롤오버
📌 선물 계약은 만기 존재 → 장기 보유 시 차월물로 이월 필요
4. 해외선물의 장점과 위험
📉장점 📈단점
📉24시간 글로벌 시장 참여 📈높은 레버리지 → 손실 확대 가능
📉다양한 자산 투자 기회 📈환율 변동 리스크
📉공매도 제약 없음 (허락장 수익가능) 📈만기 롤오버 비용
📉유동성 높음 (특히 메이저 종목) 📈단기 급등락 변동성
5. 거래 시 알아야 할 기본 용어
📌 레버리지(Leverage): 적은 자본으로 큰 계약 거래 가능 (이익·손실 모두 확대)
📌 롱(Long): 가격 상승 예상 → 매수 진입
📌 숏(Short): 가격 하락 예상 → 매도 진입
📌 틱(Tick): 최소 가격 변동 단위
📌 증거금(Margin): 계약 체결을 위한 최소 필요 자금
6. 해외선물 거래 주의점
1) 증거금 여유 자금 확보 → 마진콜 방지
2) 손절·익절 기준 설정 → 감정 매매 방지
3) 경제지표 발표 일정 숙지 → 급변동 대비
4) 환율 변동성 고려 → 원화 대비 수익·손실 차이
💡 정리:
해외선물은 글로벌 파생상품 시장에 직접 참여하는 강력한 도구지만, 레버리지 구조 때문에 위험 관리가 필수입니다.
기본 개념과 구조를 확실히 이해한 뒤, 모의투자 → 소규모 실전 → 전략 확대 순서로 접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