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분류

고졸 경리에서 상장사 창업자로…정구용 회장 별세

65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회장(인지그룹 회장)이 지난 6일 별세했다. 향년 80세.

정 회장은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태어나 충북 옥천상업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교 졸업 후 좋지 않은 가정 형편에 대학을 포기하고 현대자동차 고졸 경리사원으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아시아자동차 등 자동차 부품업체에서 일하며 경력을 쌓았다.

직장에서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그는 ‘샐러리맨’에 안주하지 않았다. 1979년 서울 노량진 철도가에 작은 공장을 차리고 자동차 벨트 부품을 생산하며 창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이듬해 다른 공장을 인수해 인지컨트롤스를 설립했다. 당시 직원은 7명, 출범 첫해인 1980년 연매출은 1800만원이었다.

인지컨트롤스는 작년 매출이 4358억원에 달하는 회사로 커졌다. 직원도 올 상반기 기준 530여 명으로 불어났다. 1980년대 한국 자동차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사업을 키웠다. 1983년엔 기준이 까다롭기로 유명하던 현대차에도 납품을 시작했다.

2000년대엔 삼성전자에 액정표시장치(LCD) 부품을 납품하던 회사를 인수해 정보기술(IT)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했다. 인지그룹은 올 상반기 기준 인지컨트롤스, 인지디스플레이를 비롯해 39개 법인을 둔 중견기업집단으로 성장했다. 주로 대기업으로부터 하도급을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로 구성됐다. 인지디스플레이의 작년 매출은 2254억원에 달했다.

정 회장은 기업 경영 외에도 재계의 중견 리더 역할을 해왔다. 삼성전자 협력회 부회장, 현대차·기아 협력회 부회장,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동반성장위원회 위원 등을 거치면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가교 역할을 했다. 상장회사협의회 부회장을 거쳐 2014년부터는 상장회사협의회 회장을 맡아 기업을 대변했다.

정 회장은 최근까지도 상법 개정 등 주요 현안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왔다. 지난 7월에는 “상법을 개정하면 기업 성장 사다리는 축소된다”고 강조했다. 올 신년사에서는 “기업 경영권 안정과 건전한 주주 관여가 활성화할 수 있는 합리적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며 “국회는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경영 환경을 악화시키는 불필요한 규제를 정비해 국제적 정합성을 높여달라”고 호소했다. 재계 관계자는 “최근 건강이 악화하는 와중에도 국가 경제와 미래에 대한 걱정을 놓지 않았던 분”이라고 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9일.

선한결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