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환율 수준으로 계획 세운 대기업 11.1% ‘불과’···원자재 조달비용도 ‘부담’
투데이코리아 - ▲ 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준혁 기자 | 최근 고환율 흐름이 이어지는 있는 가운데, 현재 수준으로 2025년 사업계획을 세운 대기업은 10곳 중 1곳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9일 대한상공회의소의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50대 기업 중 11.1%만이 새해 사업계획 수립 시 현재 원·달러 환율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를 적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1350~1400원 범위로 사업계획을 수립한 곳이 33.3%로 가장 많았으며, 1300~1350원 범위가 29.6%, 1400~1450원이 18.5%로 뒤를 이었다. 환율과 무관하다는 곳은 3.7%였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하자 1430원대로 급등했으며 같은 달 18일 미국 연준의 2025년 금리인하 횟수 조정 발표가 나오자 1450원대를 넘겼다.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표결 직후에는 1470원대까지 넘기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갔으며 8일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55.0원에 장을 마감했다.
대한상의는 “기업들은 사업계획 수립시 적용한 환율과 실제 환율과의 갭이 발생함에 따라 사업계획과 환율 기준을 수정하며 환율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상반기 환율수준 전망과 관련해서는 ‘1450~1500원’이 44.4%로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적이었다.
‘1400~1450원’이 25.9%로 뒤를 이었으며 ‘1500~1550원’ 18.5%, ‘1350~1400원’이 11.2%였다.
또한 향후 환율불안 요소로 국내 정치 상황과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을 꼽은 기업이 다수였다.
기업들 중 85.2%가 환율불안 증대 잠재적 요소(복수응답)로 ‘국내 정치적 불안정 지속’이라고 답했으며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 본격개시’ 또한 74.1%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 금리인하 지연 및 축소’ 44.4%, ‘국내 외환관리 불균형’ 22.2%, ‘한국 국가신용평가 하락’ 22.2%, ‘미국경제 강세 지속으로 인한 달러가치 상승 확대’ 18.5%, ‘북한 등 지정학리스크’ 3.7% 등 순이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이 최근 고환율 흐름에 원자재 조달비용이 증가한 것과 관련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상승에 따른 국내 대기업의 어려움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원자재 및 부품 조달비용 증가’가 3.7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해외투자 비용증가’ 3.30점, ‘수입결제시 환차손 발생’ 3.15점, ‘외화차입금 상환부담 증가’ 2.93점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환율상승은 수출가격이 하락하는 효과가 있어 수출 주도형인 우리경제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엔 해외 현지생산 비중이 증가하고, 환헷지 달러화 결제가 늘어나면서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특히 우리 대기업들은 가격보다는 기술과 품질 경쟁이 치열한 상황인데 고품질 원자재 수입가격이 오르면서 영업이익에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 등 기업 안정성 대책을 원하는 기업이 다수였다.
조사 기업 중 63.0%가 불안정한 환율 상승 대응 정책과제(복수응답)로 ‘외환 유동성 지원 확대’라고 답했으며 ‘긴급시 외환시장 안정조치 시행’ 역시 63%의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외에도 기업들은 ‘수출입 기업에 대한 대출 및 보험 강화 등 금융지원 확대’ 37.0%, ‘원자재 수급 안정화를 위한 비축 및 공동구매 지원’ 33.3%, ‘환율변동 피해에 따른 특별 세제혜택 제공’ 25.9% 등을 필요 정책과제로 꼽았다.
기업 차원 대응책(복수응답)으로는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이 74.1%로 가장 많았으며 ‘수입선 다변화 및 저가 대체공급처 발굴’ 37.0%, ‘선물환, 통화스왑 등을 활용한 환헤지 비율 확대’ 33.3%, ‘핵심부품 및 원자재의 국산화 추진’ 22.2% 등 순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불안정한 환율 상승이 자본 유출, 대외신인도 하락 등 소위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처럼 확대되지 않도록 외환시장 안정화와 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이 기회에 우리경제의 과감한 체질개선과 구조적 전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은행도 최근 고환율 흐름이 이전처럼 경상수지에 긍정적으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전날(8일) ‘2024년 11월 국제수지(잠정)’ 발표 자리에서 “최근에는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으로 수출의 환율 탄력성이 과거보다 약화됐다는 그런 분석들이 있다”며 “과거처럼 환율에 의해 수출 잘된다 이런 측면보다 품질, 브랜드, 기술경쟁력 중심으로 파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율 수준 자체가 과거만큼 중요하지는 않을 것 같다”며 “수입의 경우에는 당연히 수입가격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
등록일 18:47
-
등록일 18:18
-
등록일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