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5개월 만에 ’트리플 상승’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는 전월 대비 0.3% 상승한 114.4(2020년=100)를 기록했다.
지난 4~5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전산업 생산은 6월 1.5% 증가에 이어 2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20.9%)과 기계장비(6.5%) 부문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보다 0.3% 증가했다.
반면 자동차는 휴가철과 부분파업, 미국 전기차공장 현지 생산 등의 영향으로 7.3% 감소했다. 반도체 생산도 3.6% 줄어 작년 7월(-6.9%) 이후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소비 관련 지표는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 대비 2.5% 상승해 2023년 2월(6.1%) 이후 29개월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도 2.4% 늘어 2022년 1월(5.3%) 이후 4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7월 소매판매는 2차 추경에 포함된 민생회복소비쿠폰,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등 영향으로 전월비와 전년동월비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는 내구재가 5.4% 증가했다. 갤럭시Z 플립7·폴드7 등 신제품 출시 효과로 통신기기 및 컴퓨터가 16.8% 늘었고, 가전제품도 6.6% 상승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1%)와 의복 등 준내구재(2.7%) 판매도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생산도 민생회복소비쿠폰이 외식·미용·헬스장 등 서비스 소비에 영향을 미치면서 전월 대비 0.2% 늘었다. 도소매업이 3.3%, 숙박음식업이 2.0%, 예술·스포츠·여가업이 7.5% 각각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18.1%)와 기계류(3.7%) 투자 확대로 전월 대비 7.9% 상승했다. 이는 지난 2월(21.3%) 이후 5개월 만의 증가다.
다만 건설업 생산을 나타내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 대비 1.0% 감소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경기 관련 지표는 엇갈렸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으나,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5포인트 상승했다.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증가한 것은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정부가 7월 21일부터 지급을 시작한 민생회복소비쿠폰과 소비심리 회복이 경기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등록일 05:55
-
등록일 04:56
-
등록일 04:01
-
등록일 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