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27마감체크] 코스피·코스닥, 조선주 강세에 강보합 마감

2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증시 종가가 나타나고 있다. 사진=뉴스1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
▶마감체크
■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0.25% 상승한 3187.16에 마감했다.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쿡 연준 이사 해임에도 쿡 이사 법적 대응 예고,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프랑스 정치 불확실성 속 대체로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3185.87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3189.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선 뒤 낙폭을 키워 3165.77에서 저점을 형성했다. 이후 반등에 성공해 3185선 부근까지 올라서기도 했지만, 상승폭을 반납했고 장중 318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임. 장후반 상승폭을 다소 키운 지수는 결국 3187.16으로 장을 마감했다.
엔비디아 실적 및 미국 PCE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짙어진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등락을 보이다 소폭 상승했다. 개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한 가운데, 조선 업종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개인은 이틀째 순매수, 기관은 하루만에 순매수 전환했다. 다만, 외국인이 현·선물시장에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을 보였다.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소식, 이재명 대통령 한화 필리조선소 방문 및 한·미 조선업 협력 기대감 지속, HD현대그룹 조선해양부문 계열사와 합병 추진 소식 등에 HD현대미포(+14.59%), HD현대중공업(+11.32%), 삼성중공업(+6.80%), HD한국조선해양(+6.48%) 등 조선주가 강세를 보였다. HD현대마린엔진(+8.62%), 화인베스틸(+5.93%), HD현대마린솔루션(+4.81%) 등 조선기자재 관련주도 강세를 보였다. 신한지주(+1.08%), 우리금융지주(+1.62%) 등 은행, 현대차(+0.69%), 기아(+0.49%), 현대모비스(+1.00%) 등 자동차주도 상승했다. 엔비디아 실적 대기 속 삼성전자(+0.43%), SK하이닉스(-0.57%) 등 반도체 대표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실적 및 미국 7월 PCE 물가지수 발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27일(한국시간 28일 새벽) 엔비디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29일에는 Fed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7월 PCE 물가지수가 발표될 예정이다. 금융정보업체 LSEG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53% 증가한 459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주당순이익(EPS)은 전년동기대비 48% 증가한 1.01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엔비디아의 성장 속도가 일부 약화된 가운데,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내놓을 발언에 쏠리고 있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는 7월에 전년동월대비 2.9% 상승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6월(2.8%)보다 높은 수준이자 5개월 만의 최고치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렸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7원 상승한 1396.3원을 기록했다.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600억, 277억 순매수, 외국인은 2037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2631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363계약, 1471계약 순매도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2.0bp 하락한 2.402%,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5bp 하락한 2.825%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7틱 오른 107.44로 마감했다. 금융투자, 외국인이 3786계약, 1531계약 순매수, 은행은 3573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2틱 오른 118.58로 마감했다. 외국인, 투신이 5898계약, 98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3469계약, 2305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했다. HD현대중공업(+11.32%), HD한국조선해양(+6.48%), 한화오션(+2.88%), 신한지주(+1.08%), 현대모비스(+1.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78%), 현대차(+0.69%), 기아(+0.49%), 삼성전자(+0.43%), 삼성물산(+0.37%), KB금융(+0.18%), 삼성바이오로직스(+0.10%) 등이 상승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1.97%), 카카오(-1.38%), NAVER(-1.36%), 셀트리온(-1.21%), SK하이닉스(-0.57%), 두산에너빌리티(-0.32%), 삼성생명(-0.29%)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다소 우세했다. 금속(-1.00%), 통신(-0.95%), 오락/문화(-0.94%), 화학(-0.72%), 유통(-0.65%), IT 서비스(-0.61%), 부동산(-0.40%), 섬유/의류(-0.40%), 제약(-0.26%), 전기/전자(-0.17%), 종이/목재(-0.17%), 의료/정밀기기(-0.11%), 운송/창고(-0.07%) 업종 등이 하락했다. 반면, 운송장비/부품(+2.85%), 일반서비스(+0.69%), 금융(+0.47%), 건설(+0.37%), 전기/가스(+0.33%), 제조(+0.32%), 음식료/담배(+0.18%), 기계/장비(+0.17%), 증권(+0.10%) 업종 등은 상승했다.
■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0.01% 상승한 801.72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802.57로 강보합 출발했다. 장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803.1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이내 하락세로 돌아선 뒤 797.6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만회해 장중 약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장 막판 반등에 성공하며 결국 801.72로 장을 마감했다.
엔비디아 실적 대기 속 관망 심리가 짙어진 가운데 코스닥지수는 강보합 마감했다. 개인이 1,1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개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했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제한됐다. 외국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한·미 조선업 협력 기대감 지속,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소식 등에 삼영엠텍(+14.06%), 대양전기공업(+11.88%), 에스엔시스(+10.33%), 한라IMS(+8.05%), 동방선기(+7.50%) 등 조선기자재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미국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 치료제 임상 성공 소식 등에 인벤티지랩(+30.00%), 고바이오랩(+29.96%), 큐라티스(+29.91%), 지투지바이오(+14.53%), 올릭스(+7.03%) 등 비만치료제 테마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감 약화 등에 CSA 코스믹(-5.58%), 뷰티스킨(-3.01%), 실리콘투(-2.13%) 등 화장품, 노머스(-4.53%), 큐브엔터(-4.07%), JYP Ent.(-1.57%) 등 엔터 등 중국 소비 관련주들이 하락했다. 코닉오토메이션(-4.70%), 나우로보틱스(-4.29%), 휴림로봇(-3.73%) 등 로봇주들도 차익 매물 속 하락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1193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966억, 105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했다. 알테오젠(-4.41%), 실리콘투(-2.13%), 코오롱티슈진(-2.06%), JYP Ent.(-1.57%), 클래시스(-1.32%), HLB(-1.06%), 파마리서치(-0.98%), 에코프로(-0.90%), 에스엠(-0.89%), 에코프로비엠(-0.31%) 등이 하락했다. 반면, 삼천당제약(+3.74%), 펩트론(+2.23%), 이오테크닉스(+1.67%), 케어젠(+1.19%), 휴젤(+1.10%), 리노공업(+0.85%), 리가켐바이오(+0.74%), 에이비엘바이오(+0.42%) 등은 상승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셀트리온제약은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우세했다. 오락/문화(-1.23%), 기타제조(-1.12%), 일반서비스(-1.07%), 통신(-0.84%), 금융(-0.71%), 출판/매체복제(-0.70%), 유통(-057%), 건설(-0.50%), 운송/창고(-0.35%), 의료/정밀기기(-0.32%), 섬유/의류(-0.28%), IT 서비스(-0.26%), 기계/장비(-0.23%) 업종 등이 하락했다. 반면, 운송장비/부품(+1.45%), 전기/전자(+0.90%), 제약(+0.86%), 금속(+0.69%), 제조(+0.45%), 음식료/담배(+0.11%) 업종 등은 상승했다.
▶섹터분석
■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언론에 따르면,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원팀 컨소시엄이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사업에서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과 함께 숏리스트에 선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사업은 2030년 중반 도태 예정인 빅토리아급 잠수함(4척)의 대체 전력으로 디젤 잠수함 최대 12척을 획득하는 사업이다. 잠수함 획득 관련 계약비용만 최대 20조원 규모이고, 향후 30년간 운영·유지 비용까지 포함하면 계약 규모가 최대 60조원까지 늘어나며, 수주에 성공하면 단일 방산 수출계약으론 사상 최대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공식 보도문에서 캐나다 정부가 강조한 것은 빠르고 정확한 납기이기 때문에 최종 디자인으로 원팀을 선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현재 한화오션은 1년에 잠수함 2척을 동시 건조할 수 있으며, 초격차 방산을 위해 시작한 증설이 마무리되면 동시 건조 능력은 5척으로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원팀인 HD현대중공업 또한 인도 기준으로 2년에 1척(1년에 0.5척)을 제작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고 언급했ㄷ. 이어 원팀이 Lump-sum Turn-key로 이 사업을 수주할 경우, 잠수함 제작을 위한 서플라이 체인까지 그 수혜를 입게 된다며, 디젤 Gen-sets을 제작할 STX엔진, AIP 모듈을 제작할 범한퓨얼셀이 추진체계 관련 수혜 업체이며, 전투체계 및 무기체계와 관련해 한국 대표 방위산업체 대부분이 수혜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한화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에서 한화필리조선소 50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이끌었던 조선산업 협력 투자펀드 1500억달러가 주요 투자 재원이며, 이번 설비투자를 통해 현재 연간 1∼1.5척 수준인 선박 건조 능력을 20척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한화그룹은 도크·안벽 확충과 블록 생산 기지 신설을 추진하며, LNG 운반선·함정 블록 제작 등으로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대양전기공업, 일승, 성광벤드, STX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엔케이, 한텍, 한국카본, 대창솔루션 등 LNG 테마 등이 상승했다. 아울러 잠수함 공기불요추진체계(AIP)의 핵심 구성품인 연료전지모듈을 생산하며 한화오션을 고객사로 보유한 범한퓨얼셀과 잠수함에 사용되는 수소저장합금 양산 기술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원일티엔아이 등이 시장에서 부각됐다. 특히, HD현대 그룹주들은 조선해양부문 계열사 합병 추진 소식 등도 전해지며 급등세를 기록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 美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 치료제 임상 성공
26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마운자로’로 위고비와 맞불 경쟁에 나서고 있는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가 개발 중인 경구용(알약) 비만·제2형 당뇨 치료제 ’오포르글리프론(orforglipron)’이 후기 임상시험에서 주요 목표를 달성했다고 전해졌다. 이번 임상(ATTAIN-2)에서 오포르글리프론 고용량 복용군은 72주간 평균 10.5%(약 10.4kg)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위약군의 감소율은 2.2%에 그쳤다. 모든 환자를 포함한 분석에서도 평균 9.6% 감량으로 나타났다고 알려졌다. 또한, 혈당 지표인 당화혈색소(HbA1c)도 크게 개선돼 시험 종료 시점에는 대부분의 환자가 제2형 당뇨 진단 기준에서 벗어났다고 전해졌다.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일라이 릴리는 5.85% 상승 마감했다.
이 같은 소식 속 고바이오랩, 올릭스, 지투지바이오, 인벤티지랩, 펩트론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했다. 특히, 고바이오랩은 비만치료제 균주 KBL983 미국 특허 등록 소식도 전해지며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인벤티지랩은 글로벌 빅파마 베링거인겔하임과 펩타이드 신약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연구 관련 물질이전계약(MTA)으로 확대 소식 등도 전해지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신고가 한 줄 분석
■ 미코(059090)(+21.42%)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및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범용 세라믹 파우더 상용화 기대감 지속 / 1만6890원
■ 대양전기공업(108380)(+11.88%) -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소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3만750원
■ 범한퓨얼셀(382900)(+11.60%) - 조선기자재/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및 국내 조선사,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소식 속 잠수함 핵심 구성품인 연료전지모듈을 생산하는 점이 부각 / 2만3750원
■ HD현대중공업(329180)(+11.32%) - 조선 테마 상승 및 한화오션과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및 HD현대미포와 합병 소식 / 52만9000원
■ 네오크레마(311390)(+9.14%) - 저분자 효모 펩타이드 ’DNF-10’ 상업화 단계 진입 분석 / 9190원
■ 네패스(033640)(+8.74%) - 엔비디아 실적 발표 대기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0.90%) 지수 상승 영향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 1만2980원
■ HD현대마린엔진(071970)(+8.62%) -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및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합병 소식 속 HD현대 그룹주 상승 / 8만7000원
■ 티에프이(425420)(+7.63%) -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및 CPO, HBF 프로젝트 기대감 / 3만8800원
■ 노루홀딩스(000320)(+7.07%) - KCC, 동사 지분 확대 모멘텀 지속 / 3만2100원
■ 삼성중공업(010140)(+6.80%) - 조선/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속 美 해군 MRO 사업 진출 모멘텀 지속 / 2만2000원
■ 일승(333430)(+6.57%) -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소식 등에 조선기자재/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 6620원
■ 제이에스링크(127120)(+6.37%) - 미국 내 희토류 영구소결자석 생산을 위해 신설 법인 제이에스링크 아메리카 설립 모멘텀 지속 / 1만8890원
■ 덕산네오룩스(213420)(+6.31%) - 아이폰 테마 상승 속 폴더블 아이폰 공급망 합류 유력 모멘텀 지속 / 4만9500원
■ 모나미(005360)(+5.83%) - 트럼프, 이재명 대통령 펜 칭찬 속 펜촉에 동사 네임펜 사용 사실 부각 / 3190원
■ 아모텍(052710)(+5.19%) - 3분기 실적 개선 전망 모멘텀 지속 / 1만3300원
■ 티에이치엔(019180)(+5.02%)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5390원
■ 에이블씨엔씨(078520)(+4.43%) -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1만3420원
■ 삼성E&A(028050)(+4.17%) - 저평가 분석 / 3만200원
■ 인화정공(101930)(+3.39%) -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캐나다 초계 잠수함 프로젝트 숏리스트 선정 소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5만3800원
■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3.34%) - 구조적 성장 궤도 진입 분석 / 4만9950원
■ 메쎄이상(408920)(+3.06%) -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3800원
■ 나무가(190510)(+2.31%) - 에이아이매틱스와 AI 비즈니스 본격화 모멘텀 지속 / 1만7420원
■ 티엘비(356860)(+2.28%) - 데이터센터향 고성능 부품 공장 풀가동 소식 / 2만9500원
■ SNT에너지(100840)(+1.93%) - 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속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및 하반기 수주 모멘텀 본격화 기대감 지속 / 5만9800원
■ 원익홀딩스(030530)(+1.46%) - 엔비디아 실적 발표 대기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0.90%) 지수 상승 영향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 7750원
■ 일동제약(249420)(+0.42%) - 美 일라이 릴리, 경구용 비만 치료제 임상 성공 소식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 2만4750원
■ 에스앤에스텍(101490)(+0.36%) -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357억5800만원 규모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 5만7700원
■ SJG세종(033530)(+0.33%)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6230원
■ 비나텍(126340)(+0.26%)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블룸에너지와 SOFC 비상전원 공급 협력 관련 연료전지 국산화 성과 공개 소식 / 4만2350원
■ 에스원(012750)(+0.13%) - AI 보안 솔루션 확대와 공공,국방 분야 보안 SI 프로젝트 수주 증가 전망 모멘텀 지속 / 7만9400원
▶주요공시
■ 한화오션(042660) - Hanwha Philly Shipyard, Inc.와 3,466.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2%) 규모 공급계약(LNGC 1척) 체결(계약기간:2025-08-26~2028-02-29)
■ 유한양행(000100) -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849.7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11%) 규모 공급계약(HCV 치료제 원료의약품(API)) 체결(계약기간:2026-05-29~2027-05-31)
■ 바디텍메드(206640)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8-27~2026-02-26, 대신증권(DAISHIN SECURITIES CO., LTD.))
■ 바이오톡스텍(086040) -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8-27~2026-02-26, 유진투자증권)
■ 앱클론(174900) - 질병관리청과 3.0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2%) 규모 공급계약(질병관리청 시약초자류 구매계약(16-2-00086외 15건)) 체결(계약기간:2025-08-27~2025-11-25)
■ 큐에스아이(066310) - 보통주 358,228주(30.18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8-28~)
■ 케이에스피(073010) - 212.16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수 결정(양수기준일:2025-10-27)
■ 넵튠(217270) - (주)넥스포츠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무증자합병), 합병기일:2025-10-31)
■ 성문전자(014910) - 안정된 원재료의 수급 목적으로 강소기성신소재유한공사(JIANGSU QICHENG NEW MATERIALS CO.,LTD.) 출자증권을 72.88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6-10-29)
■ SK가스(018670) - 풍문 또는 보도(SK가스, 지분매각 3천억 유동화 추진)에 대한 해명으로 현재 검토 중으로 세부사항은 결정된 바 없다고 밝힘
■ 현대차(005380) - 풍문 또는 보도(대한항공, 70조 美보잉기 구매…현대차, 로봇 등 7조 추가)에 대한 해명으로 추가 투자금액 전액이 로봇 사업에 투자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투자 규모 등이 구체화되는 경우 관련 법규에 따라 공시하겠다고 밝힘
■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 - M&A 공고
■ 현대모비스(012330)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현황(지속 가능한 성장 모멘텀 유지 등). 장래사업ㆍ경영 계획(중장기 전략 및 기업가치 제고계획이행현황 등 발표)
■ INVENI(015360) - 풍문 또는 보도(LS ’투자형 지주사’ 인베니, 1,000억대 자금 조달 추진)에 대한 해명으로 장기적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기주식에 대하여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안의 일환으로 교환사채를 검토 중이나 확정된바 없다고 밝힘
윤서연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02:35
-
등록일 00:58
-
등록일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