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25마감체크] 국내증시, 美 금리인하 기대감에 상승
![[0825마감체크] 국내증시, 美 금리인하 기대감에 상승](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asian_2_800x533_L_1411971631.jpg)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돼 있다. 사진=뉴스1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
▶마감체크
■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는 1.30% 상승한 3209.86에 마감했다.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Fed 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3195.14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상승폭을 줄여 3180.1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상승폭을 재차 확대했다. 오후 들어 3200선 위에서 움직이다 장 후반 3200선을 하회하기도 했으나 장 막판 상승폭을 확대한 끝에 장중 고점인 3209.86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Fed 파월 의장 비둘기파 발언,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기관이 7거래일 연속 순매수,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했다.
파월 의장이 잭슨홀 미팅에서 비둘기파적 발언을 내놓으면서 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졌다. 파월 연준 의장은 미국 와이오밍주(州)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 정책 심포지엄에서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상방, 고용 리스크는 하방으로 치우쳐 있어 어려운 상황"이라며,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 필리버스터를 종결시키고 국회 본회의에서 2차 상법 개정안을 처리했다. 2차 상법개정안에 따르면,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에 집중투표제 도입을 의무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을 기존 1명에서 2명 이상으로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2차 상법개정안은 국무회의를 거쳐 공포되면 1년의 유예기간 뒤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Fed 금리 인하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엔비디아 (NASDAQ:NVDA) 실적 기대감 등에 SK하이닉스 (KS:000660)(+3.39%), 한미반도체(+2.53%), 삼성전자 (KS:005930)(+0.14%), 한화비전(+2.22%)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했다. ’2차 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부국증권(+9.98%), 한화투자증권(+5.90%), 신영증권(+5.17%), 대신증권(+4.65%), 한국금융지주(+4.09%), SK증권(+3.03%), 키움증권(+2.91%), 미래에셋증권(+2.87%), 삼성증권(+2.68%) 등 증권, 코오롱(+7.35%), SK스퀘어(+7.10%), SK(+4.42%), 대웅(+3.78%), LS(+3.62%), CJ(+2.35%) 등 지주사도 상승했다. 한미 정상회담서 원자력협정 개정 추진 기대감 등에 한전산업(+6.11%), 두산에너빌리티(+5.95%), 효성중공업(+3.75%), 현대건설(+2.88%), 한전기술(+1.30%) 등 원자력발전 테마도 상승했다.
반면, 한미 정상회담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의제 제외 소식 등에 하이스틸(-7.85%), 넥스틸(-2.69%) 등 일부 알래스카 LNG 관련주가 하락했다.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동반 상승했다.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2516억, 233억 순매수, 개인은 3868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31계약, 1954계약 순매수, 개인은 2970계약 순매도했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84.7원으로 전거래일대비 1.2원 상승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2bp 하락한 2.434%, 10년물은 전일 대비 0.8bp 하락한 2.852%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6틱 오른 107.31 마감했다. 금융투자가 2456계약 순매수, 은행, 투신, 외국인은 각각 1591계약, 838계약, 191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3틱 오른 118.23 마감했다. 외국인과 투신이 각각 1930계약, 856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527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두산에너빌리티(+5.95%), LG에너지솔루션(+3.40%), SK하이닉스(+3.39%), HD한국조선해양(+2.08%), POSCO홀딩스(+2.00%), KB금융 (KS:105560)(+1.75%), 카카오 (KS:035720)(+1.73%), NAVER(+1.58%),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5%), 삼성생명(+1.15%), 현대차 (KS:005380)(+0.91%), 한화오션(+0.79%), HD현대중공업(+0.72%), 셀트리온 (KS:068270)(+0.29%)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물산(-0.36%), 현대모비스(-0.17%), 기아(-0.10%) 등은 하락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 신한지주 등은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했다. 기계/장비(+4.10%), 증권(+2.91%), 일반서비스(+1.79%), 오락/문화(+1.73%), IT 서비스(+1.63%), 전기/전자(+1.55%), 금융(+1.49%), 건설(+1.38%), 제조(+1.30%), 화학(+1.24%), 유통(+0.93%), 금속(+0.85%), 의료/정밀기기(+0.79%), 운송/창고(+0.78%), 운송장비/부품(+0.69%) 등이 상승했다. 반면, 전기/가스(-0.69%), 비금속(-0.55%) 등은 하락했다.
■ 코스닥 지수
코스닥 지수는 1.98% 상승한 798.02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791.66으로 강세 출발했다. 시가를 저점으로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 한때 2% 넘게 상승하며 798.5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오후 들어서도 797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결국 798.02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Fed 파월 의장 비둘기파 발언,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수, 기관은 6거래일만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도했다.
Fed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알테오젠 (KQ:196170)(+3.79%), 리가켐바이오(+4.60%), 에이비엘바이오(+8.56%), 삼천당제약(+5.02%), 셀트리온제약(+1.32%), 보로노이(+7.19%), 젬백스(+1.22%), 오스코텍(+1.84%)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했다. 마운자로 품절 소식 및 위고비 처방 증가 소식 등에 지투지바이오(+29.92%), 인벤티지랩(+15.59%), 샤페론(+10.49%), 삼천당제약(+5.02%), 올릭스(+3.85%), 넥스턴바이오(+3.62%), 나이벡(+2.75%) 등 비만치료제 테마도 상승.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노란봉투법 수혜 기대감 및 엔비디아 로봇 신경망 발표 예정 소식 등에 코닉오토메이션(+29.99%), 하이젠알앤엠(+21.71%), 로보티즈(+19.31%), 삼현(+15.75%), 케이엔알시스템(+13.24%), 현대무벡스(+11.78%), 에스비비테크(+10.26%), 레인보우로보틱스(+10.08%), 이랜시스(+9.62%), 알에스오토메이션(+9.20%) 등 로봇주도 상승했다.
반면, 금일 신규 상장한 그래피(-24.93%)는 급락했다. LK삼양(-13.27%)은 239.99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했다. 아스트(-11.60%)는 12,774,000주(3.23%) 보호예수 해제 등에 급락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64억, 791억 순매수, 개인은 2841억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10.08%), 에이비엘바이오(+8.56%), 삼천당제약(+5.02%), 리가켐바이오(+4.60%), 리노공업(+4.00%), 알테오젠(+3.79%), 에코프로비엠 (KQ:247540)(+2.81%), 에코프로(+2.79%), 휴젤(+2.13%), 셀트리온제약(+1.32%), 케어젠(+1.20%), 이오테크닉스(+1.20%), JYP Ent.(+0.65%) 등이 상승했다. 반면, 실리콘투 (KQ:257720)(-1.59%), HLB (KQ:028300)(-0.94%), 파마리서치(-0.86%), 에스엠(-0.21%), 코오롱티슈진(-0.14%) 등은 하락했다. 펩트론은 보합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했다. 기술성장기업(+3.99%), 기계/장비(+3.27%), 일반서비스(+3.07%), 전기/전자(+2.48%), 통신(+2.33%), 금융(+2.21%), 종이/목재(+2.20%), 제조(+2.02%), 제약(+1.64%), IT 서비스(+1.52%), 화학(+1.51%), 금속(+1.14%), 운송장비/부품(+1.11%), 기타제조(+0.98%) 등이 상승했다. 반면, 출판/매체복제(-1.00%), 섬유/의류(-0.62%) 등은 하락했다.
▶섹터분석
■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노란봉투법 수혜 기대감 및 엔비디아 로봇 신경망 발표 예정
정부가 지난 22일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발표서 ‘피지컬 AI 1등 국가’를 목표로 기업 부문에서 7대 과제를 추진 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정책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노란봉투법 국회 본회의 통과 영향으로 산업용과 휴머노이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전일 필리버스터 종료후 여당 주도로 노란봉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음. 사용자 범위와 노동쟁의 대상을 확대하고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내용이 법안의 핵심으로 노동자 관련 이슈 리스크 회피 차원에서 대기업들이 산업용 로봇이나 휴머노이드용 로봇 탑재나 투자를 검토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언론에 따르면, HD현대의 로봇 계열사 HD현대로보틱스가 외부 자금을 수혈해 ‘산업용 인공지능(AI) 로봇’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 HD현대로보틱스는 다음달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발행해 2,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토종 사모펀드(PEF) KY PE와 산업은행이 자금을 댄다며, 투자금은 AI 기반 산업용 로봇 고도화와 해외 진출에 투입할 예정으로 기존 산업용 로봇에 첨단 기술을 접목해 스스로 판단하고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로봇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한편, 외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엔비디아가 로봇 뉴 브레인 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해졌다. 젠슨황 CEO는 X를 통해 ’로봇에게 주고, 새로운 두뇌를 즐겨라’라고 적힌 카드에 서명하는 영상을 올렸다.
이 같은 소식 속 하이젠알앤엠, 원익홀딩스, 현대무벡스, 이랜시스,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로보틱스, 나우로보틱스, 에스비비테크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했다. 코닉오토메이션, 이삭엔지니어링, 알에스오토메이션 등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도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 마운자로 품절 소식 및 위고비 처방 증가
일부 언론에 따르면, 지난 14일 국내에 출시된 비만치료제 마운자로가 일각에서 품절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병원에서는 보유분이 바닥난 후 처방전만 발행되고 있고, 추가 주문량은 금주에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내부 수치를 통해 빠른 속도로 위고비 처방이 증가하고 있는 점이 확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심평원으로부터 받은 ’연도별 및 월별 위고비 DUR 점검 처방전 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위고비가 국내 출시된 작년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를 통한 처방전 수는 모두 39만5379건으로 집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위고비가 국내 출시된 작년 10월 DUR 점검 처방전 수는 1만1368건이었지만, 올해 들어서는 1월 2만2051건, 2월 3만1512건, 3월 4만7597건으로 집계되었으며, 6월에는 8만4848건으로 집계.
그로쓰리서치는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은 2024년 약 334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3.7%의 고성장을 지속하며 2030년에는 73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제형 플랫폼 차별화를 확보한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의 확대 흐름 속에서 전략적 파트너로 부상하며, 기술 상용화와 수익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 속 지투지바이오, 인벤티지랩, 샤페론, 삼천당제약, 넥스턴바이오, 올릭스, 한미약품, 나이벡, HK이노엔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했다.
인포스탁 리서치
▶신고가 한 줄 분석
■ 오로라(039830)(+20.01%) -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2만3350원
■ 로보티즈(108490)(+19.31%)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휴머노이드 액추에이터 기술 기대감 지속 / 10만4400원
■ 에이블씨엔씨(078520)(+10.25%) -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1만3200원
■ 헬릭스미스(084990)(+9.28%) - 美 9월 금리 인하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 5390원
■ 프로티아(303360)(+7.95%) - 美 9월 금리 인하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 4800원
■ 그린리소스(402490)(+7.36%)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국내 파운드리 고객사향 납품물량 증가 소식 지속 부각 / 1만2020원
■ 스튜디오삼익(415380)(+6.19%) - 보통주 24만305주 소각 결정 및 보통주 1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 1만3300원
■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5.67%) - 중장기 고성장 전망 모멘텀 지속 / 4만7350원
■ 엠플러스(259630)(+5.37%) - 하반기 본격적인 각형 장비 수주 기대감 지속 / 1만2020원
■ SNT다이내믹스(003570)(+5.19%) - 2분기 전기대비 호실적 및 계열사 SNT에너지,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6만4900원
■ SGA(049470)(+4.60%)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변경예정 최대주주 등 대상 344억9300만원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모멘텀 지속 / 2970원
■ 노루홀딩스(000320)(+4.56%) - 지주사 테마 상승 속 KCC, 동사 지분 확대 모멘텀 지속 / 2만9950원
■ 넥스트바이오메디컬(389650)(+4.36%) - 분해성 혈관 색전 미립구 ‘넥스피어(Nexsphere)’ 유럽 임상 결과 학회 및 국제 저널 소개 소식 지속 부각 / 6만3900원
■ 나무가(190510)(+3.95%) - 휴대폰부품/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에이아이매틱스와 AI 비즈니스 본격화 소식 / 1만6930원
■ 비에이치아이(083650)(+1.93%) -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원전 BOP 수주확대 기대감 / 5만4200원
■ 일동제약(249420)(+1.93%)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저분자 비만 치료제 충분한 경쟁력 판단 모멘텀 지속 / 2만4700원
■ 에스원(012750)(+1.81%) - AI 보안 솔루션 확대와 공공,국방 분야 보안 SI 프로젝트 수주 증가 전망 모멘텀 지속 / 7만8800원
■ 에스앤에스텍(101490)(+1.68%) - 금리인하 기대감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70%) 급등 영향 및 美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5만5400원
■ 메쎄이상(408920)(+1.42%) -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3770원
■ 티에이치엔(019180)(+1.35%) -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5020원
■ 삼성E&A(028050)(+1.23%) - 상대적 투자 매력도 부각 및 수주 재개 전망 / 2만9250원
■ 삼성중공업(010140)(+0.76%) - 최성안 부회장, 방미 소식 속 한미 조선업 협력 마스가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 / 2만250원
■ 이상네트웍스(080010)(+0.64%) -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6400원
■ 금호건설(002990)(+0.12%) - 2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분석 모멘텀 지속 / 4175원
▶주요공시
■ 두산에너빌리티(034020) - 한국가스공사와 4,458.4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75%) 규모 공급계약(당진기지 2단계 #5~7 저장탱크 및 부대설비 건설공사) 체결(계약기간:2025-08-20~2029-12-31)
■ 링네트(042500) - 보통주 1주당 0.2000000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5-09-19, 상장예정:2025-10-15)
■ 브이엠(089970) - SK하이닉스와 9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81%)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5-08-22~2025-10-31)
■ 파이오링크(170790) - 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8-26~2025-12-25, IBK투자증권(IBK SECURITIES CO., LTD.))
■ 스튜디오삼익(415380) - 보통주 240,305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8-29). 보통주 1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5-09-09, 상장예정:2025-09-30)
■ SK오션플랜트(100090) - CENTURY WIND POWER CO., LTD.,와 2,831.6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2.73%) 규모 공급계약(Jacket Foundation Supply) 체결(계약기간:2025-08-22~2028-03-08)
■ 지역난방공사(071320) - 2025년7월 열판매량 53.4만Gcal(전년동월대비 +1.1%), 냉수판매량 4.6만Gcal(전년동월대비 +4.5%), 전기판매량 1,211GWh(전년동월대비 +51.9%)
■ 마음AI(377480) - 한국철도공사와 9.5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22%) 규모 공급계약(생성형 AI 지식 증강검색 시스템 구축 용역) 체결(계약기간:2025-08-25~2025-12-31)
■ 한솔케미칼(014680) - 최대주주가 국민연금공단으로 변경
■ 두올(016740) -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8-25)
■ 솔트웨어(328380) - 5.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8-25)
■ 애머릿지(900100) - 최대주주인 LUX HOOVER, LLC.가 (주)보경주택건설과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 노을(376930) - Resolved Engineering Limited와 마이랩(miLab)플랫폼 등 총 5종 제품 가나 공급 및 독점 판매권 부여 계약 체결
■ STX(01181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관련 주요 개선계획
■ 율호(072770) - 조회공시요구(현저한시황변동)에 대한 답변으로 유상증자(제3자배정) 발행에 대하여 검토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 아이로보틱스(066430) - 유OO 외 29가 제기한 주주총회소집허가신청 소송 기각 판결. 유OO 등 28인이 제기한 주주총회소집허가신청 소송 각하 판결. 최OO 외 21이 제기한 거보전(항고) 소송 기각 판결
윤서연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17:50
-
등록일 17:39
-
등록일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