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먹거리 물가 3.5% 급등…1년 만에 최고치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지난달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라 서민 가계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7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로 작년 동월보다 3.5%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 2.1%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작년 7월(3.6%)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작년 말부터 올해 5월까지 2.0~3.0%를 유지해오다가 최근 두 달 연속 3%대 중반을 기록하고 있다. 연이은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온 현상이 지속되고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이 겹친 결과로 분석된다.
세부 품목별로는 어류 및 수산물의 가격 상승폭이 7.2%로 가장 컸다. 두 달 연속 7%대 상승률을 보이며 2023년 7월(7.5%) 이후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밥상에 자주 오르는 오징어채(42.9%), 조기(13.4%), 고등어(12.6%) 등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빵 및 곡물(6.6%)은 2023년 9월(6.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쌀(7.6%)은 지난 3월(7.7%) 이후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라면(6.5%)은 3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 및 계란(3.6%) 등의 가격도 상당폭 올랐다. 비주류 음료에서는 커피·차 및 코코아(13.5%),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3.4%)가 큰 오름세를 보였다.
공공서비스 물가도 함께 상승하면서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1% 이하로 안정세를 보이다 3월 1.4%로 올라선 뒤 이번 달 다시 1.4%로 확대됐다.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오르며 도시철도료 물가가 7.0% 상승한 영향이 크다. 출퇴근 지하철 왕복 교통비가 하루 3000원을 넘어서면서 고정 생활비 부담이 증가했다.
-
등록일 01:05
-
등록일 01:03
-
등록일 01:03
-
등록일 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