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 분류

삼성화재 "3년간 차량 침수사고 4232건…수도권이 72.5%"

6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삼성화재 "3년간 차량 침수사고 4232건…수도권이 72.5%"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최근 3년간 발생한 차량 침수 사고 10건 중 7건 이상이 수도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차량 운행 중 침수사고가 총 4232건 발생했으며, 이 중 72.5%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특히 2022년 한 해에만 2924건의 침수사고가 발생해 2023~24년 평균(654건)보다 약 4.5배 많았다. 이는 장마철 폭우와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40.1%(1866건)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서울 28.4%(1203건), 기타 수도권 3.9%가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서초구(31.2%)와 강남구(30.3%)에서, 경기도에서는 성남시(12.2%)와 화성시(8.8%)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3년간 총 피해액은 325억원으로 사고 1건당 평균 768만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시간대별 분석에서는 야간(18~6시) 침수사고가 61.2%(2590건)로 주간보다 높았으며, 특히 21~24시에 전체 사고의 31.6%가 집중됐다. 야간 사고의 건당 평균 피해액은 862만원으로 주간(620만원)보다 1.4배 컸다.

차종별로는 세단형 승용차가 72.5%(3067건)를 차지해 침수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가 평균 69cm로 SUV(97cm)보다 28cm 낮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외산차의 침수사고 점유율은 44.7%로 국내 등록대수 비율(15.2%)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외산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는 평균 65.8cm로 국산 세단(72.6cm)보다 7cm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전제호 수석연구원은 "차량 운행 중 침수구간이 발생한 경우 무리하게 통과하지 말아야 하며, 부득이하게 침수도로를 주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저속으로 한 번에 통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수석연구원은 또 "차량이 침수된 경우는 시동을 켜지 말고 바로 견인하여 정비받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라며 "SUV 차량 운전자도 세단형 차량 대비 상대적으로 엔진 흡입구가 높다는 오판으로 무리하게 침수구간을 통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장마철과 태풍 기간에는 일기예보를 확인한 후 차량 운행을 지양하고, 부득이한 경우 저지대 구간을 우회할 것을 권고했다.

알파경제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