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은행권 사기 피해액 153% 급증…합성 신원 사기 '뇌관'
은행권 사기 피해 규모가 향후 5년간 2.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공지능(AI) 기술과 딥페이크까지 결합한 '합성 신원 사기'에 대비하기 위한 은행권의 선제적이면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글로벌 조사업체 주니퍼리서치 따르면 은행 및 송금 분야 사기 거래액은 2025년 230억달러(약 31조원)에서 2030년 583억달러(약 79조원)로 153%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기거래액 급증은 '합성 신원 사기(Synthetic Identity Fraud)' 확산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합성 신원 사기는 실제·도난·가짜 정보를 조합해 새로운 신분을 만들어 계좌를 개설하거나, 신용카드를 신청 하는 등에 악용되는 수법이다. AI와 딥페이크 기술까지 결합하면서 기존 금융권 고객확인(KYC) 절차를 우회하는 사례가 잇따른다.
실제 영국에서는 지난해 소비자 300만명이 합성 신원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사기 대응 책임자 67%가 '합성 사기가 주요 손실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고도화된 신원 사기 기술에 대출 부실, 카드 한도 악용 사례가 늘었다는 것이다.
합성 신원 사기는 단순 손실액 발생뿐 아니라 규제 리스크도 키운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다. 최근 영국 몬조(Monzo), 바클레이즈(Barclays), 캐나다 TD은행 등은 고위험 거래를 적절히 식별하지 못해 벌금을 부과받았다. 사기 탐지 실패가 자체 손실이 아닌 '규제 위반'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선제적인 사기 탐지 기술 개발과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전 및 평판 손실을 막기 위해 사기 탐지와 내부 통제,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타이핑 리듬, 터치 패턴 등 행동 인지 기반 기술과 AI 분석을 결합한 실시간 검증이 대안으로 떠오른다.
현재 은행들은 고객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신원 확인 체계 강화를 서두르고 있다. 금융기관 75%가 이미 AI를 규제 리스크 관리에 사용하는 가운데, 사기 방지를 위해 금융기관 간 데이터 공유와 협력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등록일 08.21
-
등록일 08.21
-
등록일 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