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세계 핫 뉴스들을 가장 빨리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국내주식 분류

"붙었는데 갈 데가 없다"… 회계사 합격생들의 절규

11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 후에도 실무 수습 기관을 찾지 못한 이른바 '미지정 회계사'들이 대거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금융당국의 근시안적 증원 정책이 회계사 양성 구조를 무너뜨렸다"며 선발 인원 축소와 제도 정상화를 촉구했다.

14일 오전 서울정부청사 앞에서 열린 집회에는 '공인회계사 선발 인원 정상화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청년공인회계사회 회원 등 약 500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금융위원회가 비정상적으로 늘린 선발 인원으로 인해 양질의 실무 수습 기회가 사라졌다"며 구호를 외쳤다.

청년공인회계사회는 “작년 200명, 올해 400명으로 누적 600명의 미지정 회계사가 발생했다”며 “이는 올해 선발 인원(1200명)의 절반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가 내부회계관리제도 유예, 지정감사제 면제, 표준감사시간 조항 폐지 등으로 회계 투명성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과잉 선발을 강행해 시장의 실무 인프라를 붕괴시켰다”고 지적했다.

미지정 회계사는 공인회계사법에 열거된 실무 수습 등록이 가능한 회계법인, 공기업, 일반 사기업 등 어떠한 기관에도 소속되지 못한 상태의 회계사를 의미한다. 공인회계사는 타 전문직과 달리 2년간의 실무 수습을 거쳐야만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수습처가 부족하면 자격 취득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금융위원회는 2023년까지 공인회계사 최소 선발 인원을 1100명으로 유지하다 지난해 1250명으로, 올해는 1200명으로 결정했다. 그러나 한국공인회계사회·한국회계학회·회계정책연구원이 공동으로 제시한 올해 적정 선발 인원(836~1083명)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비대위는 성명서를 통해 "금융당국은 사기업의 수요를 반영한다는 명목으로 증원을 단행했지만, 실무 수습 인프라를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결정이었다"며 "이로 인해 올해 합격자의 절반 이상이 미지정 상태로 방치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체계적인 실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계사의 적격성을 보장할 수 없고, 회계부정 적발 기능이 약화돼 자본시장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는 결국 또 다른 '레고랜드 사태'처럼 대규모 공적자금 투입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대위는 금융당국에 ▲선발 인원 정상화 ▲수습 인프라 기반 정책 전면 재정비 ▲표준감사시간제 도입 ▲내부회계관리제도 전면 시행 등을 요구했다.

이어 “현재의 비정상적인 선발 인원을 즉시 감축하고, 양질의 실무 수습이 가능한 수준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주연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