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조 美보잉기 구매 나선 대한항공…설비투자 큰 부담이나 명분 충분"

대한항공이 보잉 항공기 103대 도입 등 70조원 규모 대미(對美) 투자 계획을 밝힌 가운데, 그룹사 전체의 기단 선진화와 통일화 작업을 염두에 둔 투자라는 해석이 나왔다. 회사 CAPEX에는 큰 부담이겠지만, 항공기 도입 경쟁이 이어지는 시장 환경에선 '합당한 선제적 투자'라는 분석이다.
27일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한항공은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보잉사 항공기 103대 등 70조원에 달하는 대미 구매 계획을 발표했다"며 "362억 달러(약 50조원) 상당의 보잉사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를 추가 도입한다. 777-9 항공기 20대, 787-10 항공기 25대, 737-10 항공기 50대, 777-8F 화물기 8대로 2030년대 후반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된다"고 밝혔다.
그룹사 전체의 기단 선진화와 통일화 작업을 위한 투자라는 설명이다.
2분기 말 IR 자료 기준(아시아나 화물 매각 반영)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그룹사 5개사 보유 항공기는 총 290대"라며 "대한항공은 여객기 138대, 화물기 23대를 보유 중이고 아시아나항공은 각각 70대, 2대를 보유 중이다.
박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 이전, 대한항공의 항공기 도입 계약은 통상 진에어 재임차 물량을 포함했던 만큼 이번 계약도 전체 그룹사 기단 선진화 및 기종 통일화 작업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계약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중대형 기단은 B777-9 및 B787-9/10 중심으로 선진화, 통일될 전망"이라고 했다.
다만 CAPEX(설비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점은 큰 부담이다. 다만 초대형 글로벌 항공 그룹 입지를 다지기 위한 선제적 투자라는 분석이다.
박 연구원은 "예비 엔진 등을 제외하고 약 51조원 규모의 항공기 도입은 회사 CAPEX에 다소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도입 시작 이후 연간 2조원 중반대의 CAPEX 증가를 예상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대한항공의 연결 기준 CAPEX는 약 2조9000억원이다. 여전히 지속되는 글로벌 항공사들의 기재 도입 지연 등의 상황을 감안하면 당장 현금흐름에 무리되는 수준은 아닐 전망"이라며 "항공기 도입 경쟁이 지속되는 시장 환경에서 합당한 선제적 투자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23:29
-
등록일 23:29
-
등록일 23:18
-
등록일 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