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현대차 노사, 임단협 난항…집행부 2일 ’쟁대위’ 개최 파업여부·강도 결정

특히 통상 임금과 정년 연장 등 핵심 쟁점에 대한 노사 간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노조는 오는 2일 쟁위대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사측의 제시안을 검토한 뒤 파업여부와 강도 등에 대한 결론을 내릴 방침으로 전해졌다.
1일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는 사측의 1차 제시안에 대해 "조합원의 희생 노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현대차 노조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오늘부터 집행부가 모든 공장을 도는 현장 순회를 실시 중"이라면서 "이는 파업 전조 행위로 조합원의 목소리를 한대 모으고, 집행부에 힘을 실어 달라는 요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일 쟁대위를 개최하고, 사측의 제시안을 검토한 뒤 파업여부 및 강도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면서 "사실상 부분파업, 전면파업 수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지난달 28일 ▲기본급 8만7000원 인상 ▲성과금 350%+1000만원 ▲주식 10주 지급 등을 제시했다.
이는 2025년 경영목표 달성, 하반기 위기 극복, 글로벌 자동차 어워즈 수상 기념 등에 따른 보상 차원이다.
반면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지난해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통상임금에 각종 수당 포함 ▲직군·직무별 수당 인상 또는 신설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노조는 현재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개시 전년 연말(최장 64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여러 쟁점이 남아 있지만 국면 전환을 위해 협상안을 제시했다"며 "최종안에 준하는 제시를 했다는 것을 인식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교섭은 회사와 노동조합이 만나 소통해서 타협점을 찾는 과정"이라며 노조 측에 이해를 구했다.
그러나 노조는 사측의 제안을 거부하며 파업 가능성을 시사했다.
현대차 노조 다른 관계자는 "사측이 전향적이고 책임 있는 제시안을 내놓지 않으면 파국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4만2000명 조합원의 분노는 총파업으로 표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 노사는 2차 제시안이 나오기 전까지 비공개 실무교섭과 본교섭을 병행하며 의견 차이를 좁혀나갈 예정이다.
하지만, 노조가 파업권을 확보한 상황에서 7년 연속 무분규 타결을 이뤄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노조는 이미 다음 달부터 연장근로와 토요일 특근을 중단하며 사측을 압박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25일 조합원 투표에서 90.93%의 찬성으로 파업권을 확보했다.
-
등록일 19:20
-
등록일 19:19
-
등록일 19:19
-
등록일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