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2나노 시험생산 수율 60% 달성···양산 본격화 시 수율 더 높아질 전망”

투데이코리아 - ▲ TSMC의 대만 신주 본사 전경.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본격 양산을 앞둔 2㎚(나노미터·10억분의 1m) 반도체에서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 60%를 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대만 자유시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TSMC는 북부 신주과학단지 바오산 20 팹(생산공장)과 남부 가오슝 22 팹에서 진행한 시험생산에서 이같은 수율을 기록했다. 소식통은 올해 4분기부터 양산이 본격화되면 수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TSMC는 지난 4월 1일부터 2나노 제품 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올해 말까지 매달 4만5000~5만 장의 웨이퍼(반도체 제조용 실리콘판)를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량은 2026년 10만 장, 2028년에는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의 21 팹 2공장(P2) 가동으로 20만 장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주요 고객사 중 하나인 애플은 2나노 초기 생산시설의 절반을 확보해 내년 출시 예정인 아이폰18 시리즈에 적용할 A20 및 A20 프로 칩에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웨이퍼 가격은 장당 약 3만 달러(약 4000만원)에 달한다.
향후 로드맵도 구체화되고 있다. TSMC는 바오산 20 팹의 1·2공장에서 2나노를 생산하고, 3·4공장에서는 2027년 말부터 1.4나노(A14)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가오슝 22 팹의 P1~P5는 2나노, P6은 1.4나노 생산이 예정돼 있다. 타이중 단지의 25 팹에서는 1.4나노 공장 4개를 건설해 2028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등록일 07:27
-
등록일 05:55
-
등록일 04:56
-
등록일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