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1개장체크] 애플 등 대형 기술주 강세... 美 3대 지수 모두 상승
![© Reuters. [0811개장체크] 애플 등 대형 기술주 강세... 美 3대 지수 모두 상승](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LYNXMPEB0F0DG_L.jpg)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증시
지난 8일 코스피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을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 속 0.55% 하락한 3210.01에 장을 마감하며 코스피 지수는 5거래일만에 하락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96억, 1318억 순매도했고, 개인은 1834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1270계약 순매도했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945계약, 81계약 순매수했다.
최근 관세 불확실성 일부 완화,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세제 개편안 재검토 기대감, 반도체株 강세 등에 4거래일 연속 상승한 데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이다.
특히, 강세 흐름을 이어오던 LIG넥스원(-14.93%), 한화시스템(-6.88%), 한화에어로스페이스(-5.47%), 현대로템(-4.87%) 등 방산주들이 고평가 우려 및 美-러 정상회담 예정속 러-우크라 종전 가능성 등에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KB금융 (KS:105560)(-1.30%), 하나금융지주(-1.05%), 삼성화재(-2.14%), 현대해상(-1.48%), 한국금융지주(-2.29%), 키움증권(-1.43%) 등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주들도 하락했다. 삼성전자 (KS:005930)(+1.84%), SK하이닉스 (KS:000660)(+2.10%) 등 반도체 대표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러시아 크렘린(대통령궁)은 전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며칠 안에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 보좌관은 "미국 측 제안에 따라 며칠 내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최고위급 양자 회담 개최를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언급했으며, "미러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 작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이 커지면서 HD현대건설기계(+4.50%), 현대코퍼레이션(+4.28%), 수산세보틱스(+3.75%), HD현대인프라코어(+2.97%) 등 우크라이나 재건주들은 상승했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3.6원 상승한 1,389.6원을 기록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1bp 상승한 2.40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4bp 상승한 2.776%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틱 내린 107.43으로 마감했다. 금융투자, 은행이 5980계약, 3396계약 순매도했고, 외국인은 1만449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9틱 내린 118.92로 마감했다. 보험, 은행이 305계약, 214계약 순매도했고, 금융투자, 외국인은 266계약, 262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렸다. 삼성전자(+1.84%), 두산에너빌리티(+1.53%), 셀트리온 (KS:068270)(+0.93%), 한화오션(+0.60%), 현대모비스(+0.34%), 카카오 (KS:035720)(+0.31%), HD한국조선해양(+0.27%), 기아(+0.10%) 등이 상승했다.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5.47%), 한국전력(-5.36%), NAVER(-2.55%), SK하이닉스(-2.10%), LG에너지솔루션(-2.07%), HD현대중공업(-1.79%), 삼성물산(-1.39%), KB금융(-1.30%),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68%) 등은 하락했다. 현대차 (KS:005380), 신한지주는 보합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 3210.01 하락 마감(사진=뉴스1)
이날 코스닥지수는 0.43% 상승한 809.27에 장을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55억, 621억 순매수했고, 개인은 976억 순매도했다.
원익IPS(+13.09%), 네패스(+4.95%), 테스(+4.12%), 원익QnC(+3.31%)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강세를 이어간 가운데, 에스엠(+4.32%), JYP Ent.(+3.37%), 와이지엔터테인먼트(+4.48%) 등 엔터, 파마리서치(+9.21%) 등 미용/의료기기 관련주들도 주요 기업 실적 호조 속 강세 마감했다. 미/러 정상회담 기대감 속 에스와이스틸텍(+22.38%), 다산네트웍스(+7.14%), 에스와이(+4.22%) 등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도 상승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렸다. 파마리서치(+9.21%), 에스엠(+4.32%), JYP Ent.(+3.37%), 실리콘투 (KQ:257720)(+2.48%), 이오테크닉스(+1.29%), 클래시스(+0.85%), 에이비엘바이오(+0.54%), 리가켐바이오(+0.34%), 리노공업(+0.33%), 에코프로(+0.19%) 등이 상승한 반면, HLB (KQ:028300)(-4.48%), 펩트론(-2.58%), 케어젠(-1.14%), 에코프로비엠 (KQ:247540)(-0.56%), 알테오젠 (KQ:196170)(-0.46%), 휴젤(-0.28%), 펄어비스(-0.25%), 레인보우로보틱스(-0.18%), 삼천당제약(-0.16%) 등은 하락했다. 코오롱티슈진은 보합 마감했다.
■ 미국증시
지난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애플을 비롯한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47%, 0.78%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98% 상승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 재차 경신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47% 상승한 4만4175.6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98% 상승한 2만1450.02에, S&P500 지수는 0.78% 상승한 6389.45에 거래를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0.79% 상승한 5678.02에 장을 마감했다.
애플이 최근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반도체 관세에서 애플이 면제되면서 연일 애플 (NASDAQ:AAPL) 주가가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애플은 이날도 4% 넘게 상승하며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애플은 이번주 13% 넘게 급등하며 2020년 7월 이후 주가 기준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에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오픈AI가 챗GPT 5를 출시하면서 개선된 성능을 보임과 동시에 추가 투자를 이어가기로 한 점도 기술주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예상보다 완화됐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로스 메이필드 베어드 투자전략가는 "시장은 행정부가 극단적인 관세 계획을 실제로 이행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관세정책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장이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법원이 관세정책을 무효화하면 1929년 대공황이 재현될 것"이라며, "관세가 시장에 큰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사진=애플(Apple)의 아이폰15(iPhone 15) 라인업, AAPL 홈페이지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휴전 합의에 접근하고 있다는 기대감도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러시아 크렘린궁의 외교 담당 보좌관 유리 우샤코프는 전일 "미국 측의 안으로 수일 내 (러시아와 미국의) 최고위급 양자 회담, 즉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을 개최하자는데 기본적으로 합의했으며, 미러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 작업을 시작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미국과 러시아는 러-우 전쟁의 종전 차원에서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문제에 대해 합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지난 2022년 침공 후 점령한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전체와 지난 2014년 강제로 병합한 크림반도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합의에 이르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종전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일 스티븐 미런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로 지명하면서 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미런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책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의 지명인 만큼 금리 인하에도 적극적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다만, 장 막판 트럼프 대통령이 차기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후보를 약 10명까지 재확대하며 추가 검토에 들어갔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은 차기 의장에 대한 불확실성을 다시 키우는 모습을 보였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확대된 Fed 의장 후보군에는 제임스 불러드 전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경제 고문을 지낸 마크 서멀린 등이 새롭게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까지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87.4%로 반영했다. 12월까지 75bp 인하될 확률은 44.9%로 반영했다.
이날 국제유가는 미•러 정상회담 대기 속 보합.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과 동일한 63.88달러에 거래 마감했다.
이날 채권시장은 우크라이나-러시아 휴전 기대감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소폭 상승세를 기록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金 관세 부과 가능성 등에 상승, 사상 최고치 경신했다.
종목별로는 애플(+4.24%), 엔비디아 (NASDAQ:NVDA)(+1.07%), 마이크로소프트(+0.23%), 알파벳A(+2.49%), 메타(+0.98%), 테슬라 (NASDAQ:TSLA)(+2.29%) 등 대형 기술주들이 대부분 상승했고, 팔란티어(+2.61%)는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연일 상승했다. 길리어드 사이언스(+8.28%)는 2분기 실적 호조 속 연간 EPS 가이던스 상향 조정 소식에 급등했고, 익스피디아(+4.08%)도 2분기 실적이 시장예상치를 웃돌고 연간 가이던스를 상향하면서 상승했다. 반면, 트레이드데스크(-38.61%)가 3분기 매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과 최고재무책임자(CFO) 교체 소식이 전해지면서 급락했고, 언더아머A(-18.07%)는 3분기 실적 전망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급락했다. 핀터레스트(-10.31%)는 2분기 실적에 대한 실망감 등에 급락했다.
■ 아시아증시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렸다.
8월8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美 관세 불확실성 해소 속 수출주 상승 등에 1.85% 오른 4만1820.48에 장을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일본 니케이지수는 美 관세 불확실성 해소 속 수출주 상승 등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방미 중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 측이 상호관세 관련 대통령령을 수정해 일본을 부담 경감 조치 대상에 포함시키겠다고 밝혔다"며, "수정 이후 7일로 소급해 과도하게 부과된 관세는 환급된다"고 밝혔다. 이에 美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된 가운데, 시장에서는 혼다자동차(+3.95%), 도요타자동차(+3.47%), 닛산자동차(+2.75%), 스즈키자동차(+2.07%) 등 수출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이와 관련, 닛케이신문은 "미국이 일본 상호관세에 부담 경감 조치를 재적용한다고 밝히면서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시적으로 완화했고, 수출 관련 종목에 매수 심리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한 점도 증시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지난밤 뉴욕증시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효와 연방준비제도(Fed) 인사 관련 소식을 소화하면서 혼조세로 마감한 가운데, 기술중 중심의 나스닥지수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각각 0.35%, 1.50% 상승 마감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어드반테스트(+3.71%), 도쿄일렉트론(+1.28%), 디스코(+1.15%), 레이져테크(+1.12%) 등 반도체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소프트뱅크그룹(+10.39%)이 급등한 점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일 장 마감 후 소프트뱅크그룹은 2025 회계연도 1분기 순이익이 4218억엔(약 28억7천만달러)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1743억엔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한 것으로, LSEG 컨센서스 추정치인 1276억엔도 크게 웃돈 수준이다.
한편, 이날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국제수지(속보치)에 따르면, 경상수지 흑자액은 작년 상반기보다 9.1% 증가한 14조5988억엔(약 137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로, 반기 기준으로도 작년 하반기(15조9857억엔)에 이어 두번째로 큰 규모다. 또한,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6월 소비자 지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 여론조사에서 예측한 중앙값인 2.6%와 5월의 4.7%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계절 조정 후 전월 대비 지출은 5.2% 감소하여, 2021년 1월 이후 가장 가파른 하락세를 기록했다.
종목별로는 아사히맥주(+3.10%), JX홀딩스(+2.46%), 닛폰전신전화(+2.24%), 에자이(+1.38%) 등이 상승했다.
(사진=도쿄증권거래소)
8월8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차익실현 매물 등에 0.12% 하락한 3635.13에 마감했다.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상해종합지수는 장 중 한때 10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차익실현 매도세에 하락 마감하는 모습. 이번주 중국 증시는 7월 수출과 서비스 업황이 개선됐다는 소식 등에 4거래일 연속 상승한 바 있다. 특히, 최근 발표된 수출 지표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왔으며, 미중 관세 휴전 연장 가능성이 높아져 중국의 저가 수출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중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시한이 오는 12일까지인 가운데, 90일 더 연장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7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에 출연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의 유예 시한이 연장될지 묻자 "그렇다고 본다"며 "그 결정은 무역 협상팀과 대통령에게 맡길 일이지만 양측이 합의에 도달하고 90일 연장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언급했다.
종목별로는 공상은행(-0.64%), 중신증권(-0.79%), 중국인수보험(-0.88%), 화하행복부동산(-0.91%), 장성자동차(-1.11%), 내몽고포두철강연합(-1.53%) 등이 하락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위메이드맥스(10173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30.25억원(전년동기대비 +76.73%), 영업손실 166.9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51.8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씨젠(09653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40.60억원(전년동기대비 +13.90%), 영업이익 31.4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0.7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진에어(272450) - 25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060.73억원(전년동기대비 -0.67%), 영업손실 422.8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57.1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네오펙트(290660) - 유동성 확보 및 경영 효율성 제고 목적으로 천지에이젠시(주) 지분 전량(30,000주)을 46.72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5-08-29)
* 위메이드(11204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68.20억원(전년동기대비 -31.83%), 영업손실 285.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83.1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위메이드플레이(12342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96.25억원(전년동기대비 +1.38%), 영업이익 24.55억원(전년동기대비 +494.43%), 순이익 135.68억원(전년동기대비 +7,976.19%)
* 코오롱인더(12011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5조원(전년동기대비 +0.06%), 영업이익 453.05억원(전년동기대비 -25.71%), 순이익 290.93억원(전년동기대비 -33.75%)
* SG세계물산(00406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87.88억원(전년동기대비 -9.42%), 영업손실 4.2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이익 10.75억원(전년동기대비 -83.21%)
* 메가스터디교육(21520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09.93억원(전년동기대비 -6.26%), 영업이익 326.58억원(전년동기대비 +1.76%), 순이익 257.31억원(전년동기대비 +11.97%)
* 엑스페릭스(31777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4.95억원(전년동기대비 +24.28%), 영업손실 12.2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35.7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169.09억원(자기자본대비 28.88%)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삼성증권(01636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56조원(전년동기대비 +48.69%), 영업이익 3,086.52억원(전년동기대비 -8.99%), 순이익 2,346.44억원(전년동기대비 -9.00%)
* 씨에스윈드(11261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500.03억원(전년동기대비 -24.22%), 영업이익 592.65억원(전년동기대비 -54.04%), 순이익 389.19억원(전년동기대비 -64.03%)
* 롯데케미칼(01117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19조원(전년동기대비 -17.54%), 영업손실 2,448.8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712.5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한국가스공사(03646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63조원(전년동기대비 +1.87%), 영업이익 4,046.29억원(전년동기대비 -13.11%), 순이익 851.08억원(전년동기대비 -66.40%)
* 삼성제약(00136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제스트신기술조합제76호 등 대상으로 271.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591원, 전환청구일:2026-08-20 ~ 2030-07-20)
* 달바글로벌(483650) - 2025.2Q 연결기준 매출액 1,283.73억원(전년동기대비 +73.75%), 영업이익 292.30억원(전년동기대비 +65.94%), 순이익 198.03억원(전년동기대비 +44.06%)
* 신세계푸드(03144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714.88억원(전년동기대비 -5.70%), 영업이익 134.82억원(전년동기대비 +39.47%), 순이익 142.33억원(전년동기대비 +179.62%)
* 광주신세계(037710) - 25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45.27억원(전년동기대비 +2.96%), 영업이익 117.76억원(전년동기대비 -2.83%), 순이익 95.07억원(전년동기대비 -20.87%). 2025년7월 매출액 125.56억원(전년동월대비 -4.2%)
* 만호제강(001080) - 24년(06월결산) 개별기준 매출액 1,529.53억원(전년대비 -14.98%), 영업손실 109.8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5.51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동일스틸럭스(023790) - 최대주주가 (주)화인인터내셔날외 2인으로 변경
* 대신증권(00354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2조원(전년동기대비 +40.55%), 영업이익 1,357.35억원(전년동기대비 +274.63%), 순이익 752.16억원(전년동기대비 +44.36%)
* DL이앤씨(375500) - 인천부평 신촌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과 2,870.4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45%) 규모 공급계약(인천부평 신촌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체결
* 포스코DX(022100) -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와 768.3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2%) 규모 공급계약(Smart Factory Automation System for Ultium CAM Plant) 체결(계약기간:2023-11-30~2027-01-31)
* 젝시믹스(33793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5.74억원(전년동기대비 -2.34%), 영업이익 75.52억원(전년동기대비 -38.95%), 순이익 54.59억원(전년동기대비 -40.57%). 25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706.54억원(전년동기대비 +0.61%), 영업이익 86.64억원(전년동기대비 -19.97%), 순이익 62.80억원(전년동기대비 -22.56%)
* 제이스코홀딩스(023440) -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총 전환사채금액:82.90억원, 매도 결정 전환사채 금액:5.00억원)
* 에쎈테크(043340) - 공시변경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5-09-03)
* 동아지질(028100) - 시흥 인천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신시흥-신송도) 중 수직구 및 쉴드 TBM공사(2차구간)
* 아이로보틱스(066430) - 김종수 외 5명이 신주발행유지 및 신주발행무효확인 소송 제기
* 아이티센엔텍(010280) - 종속회사 주식회사 이이티센클로잇, 7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증자 결정
* 더테크놀로지(043090) - 상장폐지 관련 이의신청서 접수 안내
* 진원생명과학(011000) - 고광연 외 1명이 제기한 일시이사 및 일시대표이사 선임 신청 소송 취하. 고광연 외 1명이 제기한 이사회의사록열람등사허가신청 소송 취하. 고광연 외 1명이 제기한 임시주주총회소집허가 신청 소송 취하. 고광연 외 1명이 제기한 장부등열람허용가처분 소송 취하
* 아이에스티이(212710) - 쌍용씨앤이(주) 동해공장으로부터 76.48억원(VAT 별도)(최근매출액 대비 18.61%) 규모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쌍용C&E 동해공장 산소부화 설비 구축사업 낙찰
* 티에스넥스젠(043220) - 댐퍼 및 태양광 관련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티에스인더스트리 주식회사를 설립키로 결정(분할기일:2025-10-27).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90.00% 비율의 무상감자 결정(기준일:2025-08-26, 상장예정:2025-11-14)
* 서울가스(017390) - 자사주식 가격의 안정 목적으로 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해지
* LIG넥스원(0795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한국콜마(16189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네오위즈(0956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카페24(0420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01:35
-
등록일 01:05
-
등록일 01:03
-
등록일 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