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주식 시장 분류

SK그룹, 7월 中서 반도체·배터리·소재 핵심 특허 확보…AI 등 미래 신사업 영역 확장

34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SK그룹, 7월 中서 반도체·배터리·소재 핵심 특허 확보…AI 등 미래 신사업 영역 확장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그룹이 지난달 중국에서 차세대 반도체·배터리 기술을 중심으로 다량의 특허를 확보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 처리, 첨단소재, 자원순환 등 신성장 분야까지 특허 범위를 확장하며 현지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11일 중국 국가지식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SK그룹이 지난 2019년부터 올 1월까지 출원한 83건의 특허를 지난달 승인했다. 지난 6월(162건) 대비 승인 건수는 절반 수준으로 줄었지만, 핵심 사업군과 미래 신사업 중심의 고부가 기술 비중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가 29건으로 계열사 중 가장 많은 특허를 확보했다. △SK온(27건) △SK이노베이션(13건) △SK넥실리스(10건) △솔리다임(4건) △SK엔펄스(3건) △SK텔레콤(1건) △SK엔펄스(1건) △SK어스온(1건) 등이 뒤를 이었다.

SK그룹의 이번 특허 확보는 중국 내 공급망 다변화와 기술 내재화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시에 반도체·배터리·소재 3대 축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특히 주요 계열사 간 공동 특허 출원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룹 차원의 융합 기술 개발 속도도 빨라질 전망이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SK하이닉스는 메모리 구조와 센서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 특허가 다수를 차지했다.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379336A)’은 미세공정 환경에서 집적도를 높이면서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설계·제조 기술이다. ’깊이 센서(특허번호 CN120370326A)’와 ’이미지 센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344006A)’은 고정밀 3D 인식과 영상 처리에 최적화된 기술로, 자율주행·모바일 기기·보안 장비 등 다양한 응용처가 예상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 저장 장치 및 저장 장치 동작 방법(특허번호 CN120353376A)’과 ’에러체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특허번호 CN120340576A)’는 고속·대용량 데이터 처리 환경에서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을 담고 있다. △나노로드 기반 전극 구조(특허번호 CN120358932A) △재배선 라인을 적용한 반도체 패키지(특허번호 CN120341204A) 등 차세대 패키징 기술도 포함됐다.

SK하이닉스의 미국 낸드플래시 자회사 ’솔리다임’도 중국에서 데이터 저장장치의 성능과 설계 효율을 개선하는 특허를 손에 넣었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서 읽기 명령 처리 시간 향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매체(CN120390921A)’와 ’저버퍼 깊이 순차 읽기 트래픽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반 프리페칭 방법 및 시스템(CN120380449A)’ 등의 특허가 포함된다. 전자는 SSD 읽기 명령 처리 속도를 최적화해 응답 지연을 줄여주고, 후자는 데이터 접근 효율을 높여 대용량 처리 환경에서 안정성을 강화해준다.

SK텔레콤은 AI 모델 훈련 효율화를 위한 ’정보변환방법에 의해 생성된 훈련 데이터를 이용한 전자소자 및 신경망 모델 훈련 방법(특허번호 CN120323068A)’ 특허를 등록했다. 이는 비정형 데이터를 AI가 처리하기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해 학습 정확도와 속도를 개선하는 기술로, 6G·클라우드 인프라와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SK온은 전극·전지 소재 고도화 관련 특허를 확보했다.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359626A)’과 ’리튬 금속 애노드 보호막 및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237212A)’은 에너지 밀도와 수명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기술이다. SK이노베이션과 공동 개발한 ’전극 제조 시스템 및 방법(특허번호 CN120356891A)’ 특허는 생산 효율과 품질 안정성을 높이는 장비·공정 기술을 다룬다. 이밖에 고강도 파우치 필름, 전지셀 케이스, 세퍼레이터 등 배터리 안전성과 경량화를 위한 특허도 포함됐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재활용, 탄소저감 등 친환경 기술 비중이 높았다. △리튬 이차전지에서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및 시스템(특허번호 CN120249665A) △수계 내 미세 플라스틱 분석 방법(특허번호 CN120232926A) △탄소 나노튜브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246992A) 등이 대표적이다. SK어스온과 공동 출원한 ’펌프 고장 예측 방법 및 장치(특허번호 CN120273911A)’ 특허는 산업 설비의 예지정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SK넥실리스는 ’고강도·고신율 구리 포일 및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344721A)’과 ’찢김·주름 결함 방지 구리 포일(특허번호 CN120344722A)’ 등 전지용 고성능 동박 특허를 확보했다. 동박은 배터리 셀의 안정성과 출력 특성을 강화하는 핵심 소재로, SK넥실리스의 신규 특허는 초고속 충전 및 장수명 제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루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