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속보
전세계 경재 핫 이슈들을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주식 시장 분류

[0801개장체크] 美 증시 하락… 기술주 고점 부담 속 차익실현 확대

8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 Reuters.  [0801개장체크] 美 증시 하락… 기술주 고점 부담 속 차익실현 확대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증시

코스피 지수는 0.28% 하락한 3245.44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기관은 7052억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444억, 2235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8062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745계약, 5025계약 순매수했다.

한미 양국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것에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과 한국이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대통령인 내가 선택하는 투자를 위해 3500억달러를 미국에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가로 한국은 1천억달러 상당의 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한국의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액수는 향후 2주 내로 이재명 대통령이 양자회담을 위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무역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장 초반 코스피지수는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우리나라의 대미 투자금액이 GDP 고려시 일본 등 주요국 대비 많아 재정 부담 우려가 불거졌다. 아울러, 철강 제품의 관세 인하 품목 제외, 자동차 관세 15%에 대한 실망감 등으로 실망매물이 출회했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속 자동차 관세 15%에 대한 실망감 등에 기아(-7.34%), 현대차 (KS:005380)(-4.48%), HL만도(-4.26%), 현대위아(-4.13%), 현대모비스(-3.92%), 한온시스템(-3.24%) 등 자동차 대표주가 하락했다. 무역합의 속 철강 관세 유지 소식 등에 세아제강(-8.37%), KG스틸(-3.26%), 포스코스틸리온(-3.00%), POSCO홀딩스(-1.44%), 현대제철(-0.28%) 등 철강주도 하락했다. LG엔솔, 테슬라에 4680 원통형 배터리 공급 무산설 속 SK이노베이션(-7.94%), SK아이이테크놀로지(-4.97%), 삼아알미늄(-4.43%), 고려아연(-3.96%), 포스코퓨처엠(-3.46%), 율촌화학(-2.70%), LG에너지솔루션(-2.67%), 삼성SDI(-2.43%) 등 2차전지 관련주도 하락했다. 삼성전자 (KS:005930)(-1.65%)는 2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 6개 분기 만에 최저치 기록 등에 4거래일만에 하락했다.

반면, 시총 2위 SK하이닉스 (KS:000660)(+3.80%)는 3거래일 연속 상승, 27만원선을 회복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속 1500억 달러 규모 한미 조선협력 펀드 조성 소식 등에 한화오션(+13.43%), HD현대중공업(+4.14%), HD현대미포(+3.41%), HJ중공업(+1.83%), HD한국조선해양(+1.27%), HD현대마린솔루션(+5.14%)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했다. 한미 무역합의 속 에이피알(+5.21%), 한국화장품제조(+5.09%), 한국화장품(+4.68%), 제이준코스메틱(+3.38%), 코스맥스(+3.07%), 한국콜마(+2.74%) 등 화장품 테마도 상승했다.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1387.0원으로 전거래일대비 4.9원 하락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6bp 상승한 2.460%, 10년물은 전일 대비 1.2bp 하락한 2.785%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107.25에서 보합 마감했다. 외국인과 투신이 각각 3983계약, 135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6092계약 순매도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틱 오른 118.54 마감했다. 외국인이 2772계약 순매수, 은행은 1556계약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했다. 기아(-7.34%), 현대차(-4.48%), 삼성물산(-3.99%), 현대모비스(-3.92%),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2.82%), LG에너지솔루션(-2.67%), KB금융 (KS:105560)(-1.68%), 삼성전자(-1.65%), POSCO홀딩스(-1.44%), 신한지주(-1.31%), 삼성생명(-1.10%), 셀트리온 (KS:068270)(-0.67%) 등이 하락했다. 반면, 한화오션(+13.43%), HD현대중공업(+4.14%), SK하이닉스(+3.80%), 카카오 (KS:035720)(+3.02%), 두산에너빌리티(+2.98%),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4%), HD한국조선해양(+1.27%), NAVER(+0.43%) 등은 상승했다.

한국거래소 전광판. 사진=인포스탁데일리

코스닥 지수는 0.20% 상승한 805.24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69억, 96억 순매수, 기관은 281억 순매도했다.

트럼프, ’한미정상회담 2주 내 개최’ 발언 속 북미 대화 재개 및 남북 관계 개선 기대감 등에 제이에스티나(+29.95%), 좋은사람들(+27.24%), 코데즈컴바인(+11.76%), 아난티(+11.17%), 지엔씨에너지(+6.74%), 재영솔루텍(+5.24%), 남화토건(+1.40%), 희림(+1.38%) 등 대북 관련주가 상승했다. 한미 무역합의 속 셀로맥스사이언스(+19.31%), 엔에프씨(+12.83%), 씨앤씨인터내셔널(+10.06%), 펌텍코리아(+5.87%), 셀바이오휴먼텍(+5.71%), 제닉(+3.75%), 제이투케이바이오(+3.32%) 등 화장품 테마도 상승했다. 퓨리오사AI 1,7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소식 등에 팬스타엔터프라이즈(+12.89%), 포바이포(+4.36%), TS인베스트먼트(+2.56%), DSC인베스트먼트(+1.93%), 아이티센글로벌(+1.75%), 나우IB(+1.50%) 등 퓨리오사AI 테마도 상승했다.

반면, LG엔솔, 테슬라에 4680 원통형 배터리 공급 무산설 속 유에스티(-7.87%), 원익피앤이(-6.75%), 성우(-6.16%), 에이에프더블류(-5.48%), 나인테크(-5.35%), 대진첨단소재(-4.74%), 대주전자재료(-4.53%), 솔브레인(-4.43%), 이닉스(-4.29%), 나라엠앤디(-4.11%) 등 2차전지 테마가 하락했다. 미트박스(-28.43%)는 미국 소고기 추가 개방 무산 등에 급락했다. 주성엔지니어링(-7.78%)은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를 보였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에스엠(+7.77%), JYP Ent.(+5.06%), 실리콘투 (KQ:257720)(+2.78%), 펄어비스(+2.76%), 클래시스(+2.66%), 이오테크닉스(+2.34%), 펩트론(+1.91%), 휴젤(+1.51%), 파마리서치(+1.27%), 리노공업(+1.17%), 코오롱티슈진(+1.06%), 알테오젠 (KQ:196170)(+0.55%)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천당제약(-3.50%), 에코프로(-3.33%), 에코프로비엠 (KQ:247540)(-2.88%), 레인보우로보틱스(-1.42%), 케어젠(-1.29%), 리가켐바이오(-0.30%), HLB (KQ:028300)(-0.10%) 등은 하락했다.

■ 미국증시

이날 뉴욕증시는 최근 주요 기술주 랠리에 대한 고점 인식 속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74% 하락한 4만4130.9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03% 하락한 2만1122.45에, S&P500 지수는 0.37% 하락한 6339.39에 거래를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3.10% 하락한 5607.92에 장을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가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특히 MS는 시가총액이 장중 4조 달러를 넘어서기도 했지만, 고점 인식 속 기술주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증시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두 회사를 제외한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실적 악화를 보이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3% 넘게 급락했고, Arm이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급락세를 나타냈으며, AMD, ASML (NASDAQ:ASML), 퀄컴 (NASDAQ:QCOM) 등 여타 반도체 관련주들도 하락세를 기록했다.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마이크로소프트는 2분기 매출이 764억 4천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3.65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메타도 2분기 매출이 475억 2천만 달러, EPS는 7.14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수치다. 또한, 이날 장 마감 후 애플과 아마존이 실적을 발표했다. 애플은 2025회계연도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940억 4천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12% 증가한 1.57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아마존은 2분기 매출이 1,677억 달러, EPS는 1.68달러로 나타났으며, 이 역시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제약사에 의약품 가격을 낮추도록 압박하면서 위험회피 심리를 자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 플랫폼에 게재한 17개 제약회사에 보낸 서한에서 미국이 세계 평균보다 세 배나 비싼 약값을 지불한다며, 60일 내 기존 약에 대해 메디케이드에 최혜국(MFN) 약값을 확대하고 신약에도 이를 적용하는 등의 조치를 하라고 밝혔다. 이어 “만약 당신들이 나서지 않는다면, 우리는 미국 가정을 지속적인 남용적 약가 책정 관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발표된 물가 지표가 오름세를 보이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축소된 점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6월 PCE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6%, 전월 대비 0.3% 상승해 지난 5월 대비 오름폭이 확대되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도 전년 동기 대비 2.8%, 전월 대비 0.3% 상승해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에 따라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축소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은 39%로 반영되었다. 이는 전날 마감 무렵의 46.7%에서 하락한 수치다.

고용 지표는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지난 26일로 끝난 한 주 동안 계절조정 기준으로 21만 8천 건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22만 4천 건)를 하회했다.

이날 국제유가는 멕시코 상호관세 유예 연장 등에 하락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74달러(-1.06%) 하락한 69.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에 대한 상호관세 25%를 90일 동안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8월 1일부터 멕시코에 부과하는 관세가 30%로 인상될 예정이었으나, 이를 90일 유예한 조치다.

미국 채권시장은 월말 효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 등의 영향으로 혼조세를 나타냈으며, 달러화는 상승세를 보였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소폭 하락했다.

종목별로는 Arm이 1분기 실적 부진에 따라 13.44% 급락했으며, AMD(-1.78%), ASML(-3.71%), 퀄컴(-7.73%) 등 반도체 관련주도 동반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압박 속에 화이자 (NYSE:PFE)(-2.18%), 아스트라제네카(-4.57%), 일라이 릴리(-2.63%)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하락했다. 반면, 메타(+11.25%)와 마이크로소프트(+3.95%)는 2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했으며, 카바나(+16.96%), 이베이(+18.30%)도 호실적 발표로 급등했다. 피그마는 신규 상장 첫날 250%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 아시아증시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 중국, 홍콩은 하락했다.

7월31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美 FOMC · BOJ 통화정책회의 소화 속 불확실성 해소 등에 1.02% 상승한 4만1069.82에 장을 마감하며 5거래일 만에 상승했다.

현지시간으로 30일 美 연준이 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5회 연속 동결한 가운데, 일본은행도 이날까지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됐다는 평가와 함께 최근 美·日간 관세협상 타결에 따른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아울러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한 점도 증시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음. 지난밤 美 증시는 혼조세로 장을 마감한 가운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15% 상승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0.83% 상승했다. 특히, 장 마감 후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가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며 시간외 거래에서 급등세를 기록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디스코(+7.13%), 레이져테크(+3.81%), 히타치(+2.31%), 어드반테스트(+1.02%), 도쿄일렉트론(+0.24%) 등 반도체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다만, 엔화 강세 속 수출주가 하락한 점은 증시 상승을 제한했다. 美 7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 속 파월 의장이 신중한 입장을 이어가면서 엔화가 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날 BOJ가 금리 결정 후 발표한 경제·물가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핵심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7%로 상향했다.

2027년 핵심 CPI 전망치도 2.0%로 상향 조정해 일본은행이 목표로 하는 2% 인플레이션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올해 일본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기존 0.5에서 0.6%로 높여 잡았다. 이에 외환시장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장중 한때 148엔 중반대까지 하락하는 엔화 강세가 나타났으며, 도요타자동차(-1.71%), 혼다자동차(-1.29%), 스즈키자동차(-0.71%) 등 수출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되는 모습이다.

사진=Bank of Japan(BOJ)

한편, 이날 일본 경제산업성은 6월 산업생산지수가 102.9를 나타내 전월대비 1.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0.6% 감소를 웃돈 수준으로, 지난 5월 3개월 만에 반등한 후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종목별로는 미국 광섬유·LCD용 유리기판 제조사 코닝(Corning)의 양호한 실적 발표 영향 속 후지쿠라(+6.56%), 후루카와전기공업(+5.76%), 스미토모전기공업(+4.27%) 등 전선 관련주가 상승했으며, 전일 호실적을 발표한 아스텔라스제약이 6.08% 강세, 미즈호파이낸셜(+2.21%), 아사히화성(+1.69%) 등도 상승했다.

7월31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제조업 지표 부진 등에 1.18% 하락한 3573.21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금일 7월 제조업 PMI가 전월(49.7)보다 0.4포인트 하락한 49.3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 시장 전망치(49.7)에 살짝 못 미친 수준이다.

아울러 제조업 PMI는 4개월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자오칭허 국가통계국 서비스업조사센터 고급통계사는 "7월에는 제조업이 전통적인 생산 비수기에 들어간다"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고온, 폭우, 홍수 등 재해 영향으로 제조업 경기가 전월 대비 악화됐으며, 건설 활동도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7월 비제조업 PMI는 50.1로 전월(50.5)보다 0.4포인트 내려 확장 국면을 겨우 유지했지만, 블룸버그 전문가 예상치(50.2)를 밑돌았다.

종목별로는 보리부동산(-4.09%), 중국태평양보험그룹(-3.58%), 청도하이얼(-2.89%), 중신증권(-2.55%) 등이 하락한 반면, 농업은행(+1.12%), 중국건설은행(+0.97%) 등은 상승했다.

홍콩항셍 지수는 1.60% 하락한 2만4773.33에, 대만가권 지수는 0.34% 상승한 2만3542.52에 장을 마감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동원시스템즈(014820) - 25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3,407.36억원(전년동기대비 +7.13%), 영업이익 223.38억원(전년동기대비 -17.67%), 순이익 311.40억원(전년동기대비 -36.04%).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663.46억원(전년동기대비 +6.37%), 영업이익 259.09억원(전년동기대비 -14.52%), 순이익 158.25억원(전년동기대비 -29.02%)

* NH투자증권(00594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17조원(전년동기대비 +73.17%), 영업이익 3,219.26억원(전년동기대비 +19.74%), 순이익 2,568.90억원(전년동기대비 +30.26%).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농협금융지주(주)(최대주주) 대상 32,258,064주(6,4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0,150원, 상장예정:2025-08-25)

* 삼성SDI(00640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17조원(전년동기대비 -22.18%), 영업손실 3,978.0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667.0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SK바이오사이언스(KS:30244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618.60억원(전년동기대비 +504.47%), 영업손실 373.9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67.7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F&F(38322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788.71억원(전년동기대비 -3.21%), 영업이익 840.30억원(전년동기대비 -8.46%), 순이익 626.39억원(전년동기대비 -15.29%)

* LG생활건강(05190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60조원(전년동기대비 -8.79%), 영업이익 548.00억원(전년동기대비 -65.42%), 순이익 386.00억원(전년동기대비 -63.99%). 보통주 1주당 1,000원(시가배당율 0.3%), 종류주 1주당 1,000원(시가배당율 0.8%) 현금배당(중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8-18). 보통주 315,738주, 종류주 0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08-14)

* 토마토시스템(393210) - (주)대우건설과 57.6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6.64%) 규모 공급계약(바로콘 재구축) 체결(계약기간:2025-07-31~2026-11-03)

* 애경산업(01825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713.11억원(전년동기대비 -1.32%), 영업이익 111.54억원(전년동기대비 -36.10%), 순이익 111.18억원(전년동기대비 -14.09%)

* 엘컴텍(03795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0.28억원(전년동기대비 -25.42%), 영업이익 6.76억원(전년동기대비 -46.72%), 순손실 0.0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앱트뉴로사이언스(270520) - 주식회사 포스코이앤씨와 65.8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5.80%) 규모 공급계약(서리풀 업무복합시설 개발사업 신축공사(남측부지)) 체결(계약기간:2025-07-31~2030-02-28)

* 파트론(09170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014.96억원(전년동기대비 -18.50%), 영업이익 64.33억원(전년동기대비 -55.01%), 순손실 17.9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현대오토에버(307950)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및 기아 주식회사와 1,255.1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4%) 규모 공급계약(hCloud 서비스 제공) 체결(계약기간:2025-07-01~2030-06-30)

* 한독(002390) - 25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252.86억원(전년동기대비 -1.19%), 영업손실 5.7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19.0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DL(00021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32조원(전년동기대비 -11.41%), 영업이익 720.31억원(전년동기대비 -49.55%), 순손실 842.9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현대코퍼레이션(01176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91조원(전년동기대비 +10.96%), 영업이익 346.49억원(전년동기대비 -5.13%), 순이익 158.18억원(전년동기대비 -48.56%)

* 보령(00385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515.18억원(전년동기대비 -1.58%), 영업이익 253.66억원(전년동기대비 +26.06%), 순이익 88.64억원(전년동기대비 -62.52%)

* 스피어(347700) - SpaceX와 771.9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967%) 규모 공급계약(특수합금) 체결(계약기간:2026-01-01~2026-12-31). SpaceX와 장기 물품공급계약(Nickel, Super Alloy 등 특수합금) 체결(계약기간:2025-07-31~2035-12-31)

* 신영와코루(005800) - 최대주주가 이성원 외 6명으로 변경

* 삼성물산(028260) -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와 1.19조원(최근 매출액대비 2.84%) 규모 공급계약(장위8구역 공공재개발사업) 체결

* DB(01203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501.03억원(전년동기대비 -2.29%), 영업이익 88.77억원(전년동기대비 -5.52%), 순이익 149.11억원(전년동기대비 -0.36%)

* HS효성첨단소재(29805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430.36억원(전년동기대비 +0.30%), 영업이익 587.41억원(전년동기대비 -11.33%), 순이익 14.34억원(전년동기대비 -94.58%)

* 파마리서치(214450) -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5-08-26)

* 파수(15090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6.99억원(전년동기대비 -5.30%), 영업손실 9.3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2.4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에스엠(041510) - ㈜에스엠스튜디오스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10-03)

* DL이앤씨(375500) - 344.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8-01~2025-12-24, NH투자증권(주)(NH INVESTMENT & SECURITIES CO., LTD.))

* 다원시스(068240)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807.2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6.77%) 규모 공급계약(ITER 중앙솔레노이드 2단계 전원공급장치 개발ㆍ제작) 체결(계약기간:2025-07-31~2033-06-30)

* 알파녹스(043100) - 운영자금 등 확보를 위해 인스타1호조합 대상으로 1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4,778원, 전환청구일:2026-08-28 ~ 2028-07-27)

* BNK금융지주(138930) - 1,050.00억원 규모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결정

* 플래스크(041590) - 출자법인(주식회사 팬덤코리아)의 회생절차 및 파산절차 관련 사실 등 발생

* 진원생명과학(011000) - 고광연, 한우근이 일시이사 및 일시대표이사 선임 신청 소송 제기. 고광연, 한우근이 검사인선임신청 소송 제기

* 포스뱅크(105760) - 슈어인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 : 442.2528027, 합병기일:2025-10-14)

* 태광산업(003240) - 풍문 또는 보도(태광, 애경 인수 속도전… “뷰티 등 1.5조원 투자”)에 대한 해명으로 현재 진행 중인 애경산업(주) 인수 관련하여, 당사의 관계사인 티투프라이빗에쿼티㈜가 결성한 컨소시엄이 본입찰 대상자로 선정되어 현재 실사 진행 중이라고 밝힘

* HS효성(487570) - 25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879.28억원(전기대비 -7.53%), 영업이익 107.79억원(전기대비 -0.10%), 순이익 58.86억원(전기대비 흑자전환)

* 씨씨에스(066790) - 최대주주등의 보유주식 매도관련 양해각서, 변경 양해각서 및 합의서 해지

* 콜마홀딩스(024720) - 윤동한이 주주총회 소집허가 소송 제기

* 대동전자(008110) - 상장·공시위원회 심의결과, 상장폐지 결정. 감사범위 제한으로 인한 감사의견한정 2년 계속으로 상장폐지(상장폐지일:2025-08-18, 정리매매:2025-08-06~2025-08-14)

* 넥스트칩(3962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한화솔루션(00983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기아(0002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오텍(0671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email protected]

인포스탁데일리에서 읽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