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사례

라인·카톡 몸캠피싱 피해 사례 속출… 대응 플랫폼 ‘닥터피싱’ 주목

9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63270_113548_4138.jpg


악성 앱 분석 플랫폼 ‘닥터피싱(Dr.Phishing)’이 최근 메신저 앱 라인·카톡을 이용한 몸캠피싱 피해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점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닥터피싱에 접수된 다수의 실제 몸캠피싱 피해 사례에 따르면, 가해자들은 데이팅 앱이나 SNS를 통해 피해자에게 접근한 뒤, 대화를 라인이나 카카오톡으로 유도해 신뢰를 쌓는다. 이후 영상통화를 제안하며 피해자의 신체 노출을 유도하고, 해당 화면을 녹화해 협박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범죄를 실행한다.

닥터피싱 관계자는 “라인은 특히 일본 및 동남아 사용자가 많아, 해외 계정을 통한 접근이 일반화돼 있어 피해자들이 자연스럽게 대화에 응하는 경우가 많다”며 “라인에서 영상통화 유도 후 발생하는 금전을 목표로 한 영상 유포를 빌미로 한 금전 협박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공격은 단순한 협박을 넘어, 피해자의 스마트폰에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공격자들은 ‘영상보기용 앱’ ‘채팅 앱’ 등의 명목으로 APK 파일 설치를 유도하고, 설치 시 단말기의 사진, 동영상, 주소록, 문자 내역 등을 무단 수집한다.

이러한 라인·카톡 기반 몸캠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닥터피싱(dr.phishing)은 국내 최초 악성 APK 분석 플랫폼 ‘닥터피싱’을 구축, 일반 사용자도 직접 APK 파일을 업로드하고 분석 리포트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닥터피싱은 정적 분석과 동적 분석을 병행해 앱 내 숨은 악성 동작을 탐지하며, △C&C 서버와의 통신 여부 △과도한 접근 권한 △민감정보 수집 내역 등을 시각화된 리포트로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닥터피싱은 보안 기업 아크링크(Arklink)와 협력해, 영상 유포 차단, 가해자 접근 통제, 심리 상담, 법률 자문 연계 등 피해자를 위한 종합 대응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최근에는 인하대학교공학원, 마인드카페, 종합법률사무소 대정 등과의 협약을 통해 기술적·심리적·법적 지원을 아우르는 사회적 보호 체계도 확대하고 있다.

닥터피싱 관계자는 “단순한 바이러스 탐지로는 발견이 어려운 신종 악성 앱 피해가 늘고 있다”며 “알 수 없는 출처의 링크나 APK 설치 요청은 즉시 의심하고, 피해 발생 시 닥터피싱을 통해 신속히 분석·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88 / 1 페이지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