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시장 구조 완전 정복
글로벌 파생상품 생태계 한눈에 보기
해외선물시장 구조 완전 정복을 위해선 먼저 “선물”이 왜 존재하는지부터 이해해야 합니다. 선물은 표준화된 계약으로, 미래의 일정 시점에 특정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고파는 약속입니다. 현물과 달리 즉시 인도·결제가 아니라, 약속된 규칙에 따라 거래소에서 상장되고, 중앙청산소가 모든 거래의 상대가 되어 신용리스크를 줄입니다. 이 표준화와 중앙청산 덕분에 유동성이 높아지고, 레버리지가 가능해 효율적으로 위험을 관리하거나 방향성 베팅을 할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는 세 가지입니다. 첫째, 계약은 승수(multiplier) 와 최소호가(tick size) 로 수익·손실 단위가 정해집니다. 둘째, 증거금(margin) 기반이어서 증거금 대비 큰 포지션을 보유할 수 있지만, 반대로 변동성이 높으면 청산 위험도 커집니다. 셋째, 일일정산(mark-to-market) 으로 손익이 매일 반영돼 누적 손실을 방치하지 못합니다.
또한 선물은 주가지수, 국채·금리, 통화, 금·원유 같은 원자재까지 다양한 기초자산을 포괄합니다. 이 덕분에 포트폴리오 다변화, 헤지, 상관관계 트레이딩이 가능합니다. 결국 구조를 이해하면 전략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리스크를 더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습니다.
주요 거래소와 상품 스펙 지도
글로벌 대표 거래소로는 CME Group, ICE, Eurex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CME는 E-mini S&P 500(ES), 10년물 국채(TY), WTI 원유(CL), 금(GC) 등을 상장합니다. 거래소별로 거래 시간대, 서머타임, 호가 규칙이 다르므로 스펙 시트 숙지가 필수입니다.
주요 섹터
주가지수: S&P 500, Nasdaq-100, Euro Stoxx 50
금리/국채: 유로달러(과거·대체상품 포함), 미 국채 선물
통화: EUR/USD, JPY, GBP 선물
원자재: WTI, 브렌트, 천연가스, 금·은, 옥수수·대두 등
시간대 고려
서울(UTC+9) 기준으로 아시아-유럽-미국 세션이 겹치며, 개장·폐장 구간과 경제지표 발표 시간대에 유동성과 스프레드가 급변합니다.
청산소(클리어링하우스)와 결제 구조
중앙청산소(CCP)는 모든 매수·매도 참가자 사이에 서서 거래를 보증합니다. 변동증거금(variation margin) 은 일일정산으로 발생한 손익을 반영하며, 유지증거금(maintenance margin) 이하로 떨어지면 마진콜이 발생합니다. 이는 시스템 리스크를 줄이는 핵심 장치죠.
핵심 메커니즘
거래 체결 → 2) 일일정산(MTM) → 3) 변동증거금 정산 → 4) 유지증거금 체크 → 5) 마진콜/청산
실전 체크: 변동성이 급등하는 이벤트 전후로 증거금율이 인상될 수 있어 포지션 사이징을 보수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브로커, FCM, 프라임브로커 역할
개인 트레이더는 선물수탁업자(FCM) 또는 선물 브로커를 통해 주문을 냅니다. 이들은 주문 라우팅, 리스크 관리, 계정 분리, 보고 기능을 제공합니다. 포지션 규모가 커지면 프라임브로커를 통해 증거금 효율, 크로스마진, 포트폴리오 마진 같은 고급 서비스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체크리스트
수수료(커미션+거래소비용)
마진 정책(유지/개시, 야간 증거금)
주문 인프라(콜로케이션, 지연시간)
리스크 한도(손절 자동청산, 데일리 손실 제한)
마켓메이커·유동성·호가 스택
마켓메이커는 지속해서 매수/매도 호가를 제시해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호가 스택(Level II/DOM)에서 스프레드(최우선 매수-매도 간격)와 호가 잔량은 체결 가능성과 슬리피지 위험을 가늠하는 힌트가 됩니다. 틱 사이즈가 큰 상품일수록 스프레드 비용이 체감상 더 큽니다. 이벤트 즈음엔 호가가 얇아져 체결 비용과 변동성이 함께 커집니다.
계약 사양 읽는 법(스펙 시트 완전정복)
스펙 시트에는 승수, 최소호가, 틱가치, 거래시간, 최종거래일/최종결제일, 상하한가(서킷브레이커), 물리·현금결제 여부 등이 적혀 있습니다.
예시: ES(미니 S&P500) – 틱 0.25, 틱가치 $12.5, 승수 $50, 현금결제.
포인트: 최종거래일이 가까워지면 유동성이 차근차근 차원 이동(프런트→넥스트)하므로 롤오버 타이밍을 맞춰야 스프레드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진과 레버리지의 수학
레버리지는 수익을 키우지만 손실도 증폭합니다. 핵심 공식은 간단합니다.
포지션 가치 = 선물가격 × 승수
틱당 손익 = 틱가치 × 틱 수
필요 개시증거금 대비 레버리지 = 포지션 가치 / 개시증거금
예시: 틱가치 $10, 15틱 역행이면 -$150 손실입니다. 계좌가 $10,000이고 1계약 개시증거금이 $5,000이라면 레버리지 약 10배(가격 수준에 따라 상이). 변동성이 큰 날엔 일시적으로 유지증거금 아래로 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변동성 예산(Volatility Budget) 으로 하루/주간 손실 한도를 정해두세요.
호가창/체결분석과 미시구조
DOM(Depth of Market)과 테이프 리딩(체결흐름)은 단타·스캘핑에서 중요합니다.
거래량 프로파일: 가격대별 체결량 분포로 가치 구간(VA), POC를 찾습니다.
VWAP: 기관 기준 가격 지표로, VWAP 위/아래 체결 강도 변화는 단기 추세 실마리를 줍니다.
흡수/스푸핑 경계: 장중 잔량 급증·취소 패턴은 신뢰보다 경계 대상입니다.
주문유형과 체결 전략
지정가/시장가: 비용 vs. 체결확률의 선택.
스탑·스탑리밋: 손절/돌파 진입 자동화.
조건부·트레일링: 변동성 환경에서 유연한 관리.
알고리즘 기초: TWAP/VWAP/IS(Implementation Shortfall)형 주문은 체결 충격을 분산합니다.
체결 팁: 뉴스 발표 1~2분 전후엔 스프레드 확장과 재호가가 빈번하니, 슬리피지 버퍼(허용 손실 틱)를 미리 설정하세요.
만기, 롤오버, 콘탱고·백워데이션
선물곡선이 상승형(콘탱고) 이면 먼월이 비싸고, 하락형(백워데이션) 이면 근월이 비쌉니다.
롤오버는 거래량이 이동하는 시점에 근월을 청산하고 차월을 매수(롱) 또는 매도(숏)로 재진입하는 절차입니다.
캐리 비용(보관·금리)과 현물-선물 베이시스가 곡선 형태를 좌우합니다. 에너지·농산물은 계절성도 큽니다.
롤수익: 콘탱고에서 롱은 비용, 백워데이션에서 롱은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다른 요인 동일 시).
헤지 vs. 투기 vs. 차익거래
헤지: 수출업체는 달러선물 매도, 항공사는 유가선물 매수로 비용 변동성을 줄입니다.
투기: 방향성·모멘텀·평균회귀 전략 등.
차익거래: 선·현물, 달력스프레드, 상관 스프레드(예: 크랙 스프레드, 금-은)로 위험을 낮춘 상대가치 거래.
간단한 헤지 비율(Hedge Ratio): 상관·표준편차 기반 최소분산 헤지를 통해 과·소헤지를 방지합니다.
거시 변수와 이벤트 리스크
선물은 매크로 이벤트에 민감합니다.
거시 캘린더: CPI, 고용, FOMC, PMI, 재고보고서, OPEC 회의.
정책/지정학: 관세, 분쟁, 제재, 공급망 충격.
리스크 대비: 이벤트 전 포지션 축소, 익스포저 균형, 옵션으로 꼬리위험 헤지.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
리스크 관리는 구조 이해만큼이나 중요합니다.
포지션 사이징: 1건 손실이 계좌의 0.5~1%를 넘지 않게.
손절·이익실현 규칙: ATR 기반 스탑, 리스큐(add-on) 금지.
변동성 예산: 일간 손실 한도, 최대 드로다운 한도 설정.
분산: 상품·만기·전략 분산으로 포트폴리오 리스크 완화.
기록: 트레이드 저널링으로 오류 패턴을 시각화.
규제·세금·컴플라이언스 기초
국가별로 규정과 과세가 다릅니다. KYC/AML, 레코드 보관, 파생상품 보고 의무 등을 준수하세요. 세금은 파생상품 과세 체계(파생손익 분류, 원천징수/분리과세 여부)를 미리 확인해야 연말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국 세무서·규제기관 공식 자료를 참고하세요.
참고(영문): 선물 교육과 상품 스펙은 CME Group의 교육 센터에서 개괄을 볼 수 있습니다.
외부 링크: CME Group Education
실전 워크플로우(초보→중급→고급)
초보(Foundation)
1~2개 상품만 선정(예: ES, CL).
스펙 시트, 거래 시간, 틱가치 숙지.
데모 계정으로 DOM, 주문유형 연습.
리스크 규칙(1% 룰) 확립.
중급(Execution)
이벤트 캘린더 기반 포지션 관리.
롤오버·베이시스·선물곡선 추적.
체결통계(평균 진입/청산 슬리피지) 기록.
시스템·재량 혼합 전략 시험(백테스트→소규모 실거래).
고급(Optimization)
포트폴리오 마진·크로스마진 고려.
스프레드·상대가치 거래 확대.
리스크 예산·최적 헤지비율 모델링.
자동화(알고리즘 주문, 위험 대시보드)
도구와 데이터 인프라
차트/체결: 멀티타임프레임, DOM, 거래량 프로파일.
백테스트/리서치: API·데이터 피드, 롤 조정된 연속 선물 시계열.
리스크 대시보드: 노출 합계, 베가/감마(옵션 연계 시), 손익 곡선.
저널링: 진입 근거, 감정 메모, 오류 유형, 개선 방안.
-
등록일 09.12해외선물시장 구조 완전 정복댓글 2
-
등록일 09.12나스닥선물 트레이딩 전략 공개댓글 1
-
등록일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