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나스닥·S&P500 셧다운 동시 발생 시 대응법

103 조회
1 추천
0 비추천
본문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054_6697.jpg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106_686.jpg



1. 상황 설정: 나스닥·S&P500 셧다운 동시 가능성

먼저, “나스닥·S&P500 셧다운”이라는 표현은 엄밀히 말해 두 개의 지수 선물이 동시 셧다운되는 게 아니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 시장 전체 불확실성 확대 → 주요 지수(나스닥, S&P500) 선물도 큰 영향을 받는 상황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아래 흐름이 예상되는 시나리오입니다:

🔹 미 의회가 예산안 합의를 못 해 미국 정부 셧다운
🔹 정부 운영 중단, 경제지표 발표 지연, 정책 불확실성 확대
🔹 시장 심리 위축 → 나스닥·S&P500 지수 선물 모두 동반 변동성 상승
🔹 트레이더는 동일한 충격 요인에 노출됨

따라서 이 글에서는 두 지수 선물이 동시에 충격을 받을 경우를 가정하고, 동시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184_3778.jpg



2. 셧다운이 지수 선물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나스닥(NASDAQ-100 선물)과 S&P500 선물이 셧다운 충격을 동시에 받는 배경에는 여러 흐름이 작용합니다: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258_5004.jpg

다수 리서치 기관은 셧다운 상황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이라는 견해를 내놓기도 합니다. 예컨대 Edward Jones는 셧다운 시점 이후 3~6개월 뒤 주식이 반등한 사례들이 많다는 분석을 제시합니다.

Invesco 역시 “셧다운이 시장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하지만 “제한적 영향”이라는 표현은 지속 기간이 짧은 셧다운을 전제로 한 분석이며, 장기화되면 변수들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3. 과거 사례에서 배우는 패턴

2013년 셧다운 사례
✅ 셧다운 후 며칠간 증시 불안, 이후 반등 흐름
✅ 발표 지연과 정치 리스크가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됨 
위키백과

2018~2019년 셧다운 사례
✅ 장기(약 35일) 셧다운이 발생
✅ 일부 시장 충격은 있었지만, 셧다운 종료 후 복구 흐름이 강했음 
위키백과

이런 과거 사례들을 참고할 때, 장기화 여부와 정치 타결 가능성이 시장 반응의 결정적 변수로 작용합니다.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347_1115.jpg


4. 동시 셧다운 시 리스크 변수 정리

아래는 나스닥·S&P500 선물이 동시에 셧다운 충격을 받을 경우 유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들입니다: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396_8236.png
이러한 리스크를 감안하여, 대응 전략은 방어 중심 + 다각화 쪽으로 설계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5. 단계별 대응 전략

다음은 단계별 대응 전략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① 사전 준비 단계 (이벤트 전)

🔹포지션 축소
평소보다는 노출을 줄여 둡니다. 레버리지 비중을 낮추고, 급격한 방향 전환에 취약한 전략은 미리 철수.

🔹헤지 포지션 구축
옵션 콜/풋, 인덱스 스프레드, 안전자산(금, 달러, 채권 등) 대비 포지션 확보.

🔹뉴스 및 정치 일정 점검
의회 일정, 예산안 협상 일정, 주요 청문회 일정 등을 미리 캘린더에 넣고 주시.

🔹손절 / 익절 기준 정리
예기치 못한 급등락 대비 손절 구간 명확히 설정해 두기.

② 셧다운 발생 및 초기 대응 단계

🔹과도한 진입 자제
충격 초기에는 방향성이 확실치 않으므로 속단하지 않고 관망 또는 소규모 진입 위주.

🔹확인성 관찰 우선
발표 지연, 정부 발언, 협상 진전 등 외부 변수 흐름 먼저 관찰.

🔹중립 또는 레인지 전략 활용
방향성 예측이 불확실하면 레인지 바운더리 전략이나 스프레드 전략을 고려.

🔹리스크 제한 주문 (Stop / Limit 등)
슬리피지 고려해 여유 있는 손절선 배치.

③ 셧다운 장기화 시 전략 조정

🔹변동성 활용 전략 강화
옵션 제로나 스트래들/스트랭글 전략 등 변동성 기반 수익 전략 활용.

🔹상관 분리 전략 도입
나스닥과 S&P500이 동일 흐름 보이면, 그 외 자산(금, 채권, 원자재 등) 중심으로 포트 재조정.

🔹리스크 노출 추가 축소
가능하면 레버리지 더 낮추고, 일시 철수 고려.

🔹분할 진입 / 분할 청산 전략 활용
한꺼번에 진입/청산하기보다 분할로 나누어 대응.

④ 셧다운 종료 또는 타결 직전 대응

🔹타결 가능성 반영 진입 고려
정부 예산 타결 발표 직전 또는 발표 직후 반등 기대 감안 진입 기회 포착.

🔹리버스 전략 대비
반등이 강할 경우 숏 포지션 청산 또는 롱 진입 전략으로 전환.

🔹모멘텀 강한 지수 중심 포지션 배치
발표 직후 흐름 주도할 지수 중심 대응.


6. 실전 체크리스트
bd2ad11fddbdf769bcd114d057a3aa5b_1759898608_7931.png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나스닥만 셧다운되고 S&P500은 괜찮을 수도 있나요?
A1. 이론적으로 가능한데, 지수 간 동조도가 크므로 대부분 충격은 두 지수에 동시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Q2. 옵션 전략만으로 대응 가능할까요?
A2. 옵션은 훌륭한 헤지 수단이지만, 옵션 가격 자체가 변동성 확대에 민감하므로 기초전략과 병행하는 게 안정적입니다.

Q3. 셧다운이 풀리기 전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A3. 모든 걸 기다릴 수만은 없습니다. 다만 무리한 진입보다는 대응 가능한 전략 중심으로 접근하는 게 안전합니다.

Q4. 해외선물 외 다른 자산으로 피신할 수 있을까요?
A4. 금, 달러, 안전국채, 일부 원자재 등 비교적 방어적인 자산으로 일부 자금 대체하는 전략도 고려할 만합니다.

Q5. 발표 지연만으로도 시장이 반응하나요?
A5. 네, 시장은 기대와 심리에 의해 미리 반응하기 때문에 발표 지연만으로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Q6. 셧다운 종료 후 회복은 언제쯤 올까요?
A6. 과거 사례 기준으로는 셧다운 종료 직후 반등 흐름이 강한 경우가 많았고, 3~6개월 뒤까지 회복하는 패턴도 자주 관측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이름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