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세계 핫 뉴스들을 가장 빨리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국내주식 분류

"이걸 어떻게"…증권사도 놀란 서학개미가 1000억어치 산 종목

6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지난달 우리나라 투자자의 해외 주식 투자액이 사상 최대폭으로 늘어났다. 해외 보유 종목도 급증해 1만5000개에 달했다.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2일(현지시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글로벌 증시 동반 ‘불장’이 이어지자 서학개미 열풍이 달아오르고 있다.

3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국내 기관투자가와 개인투자자의 해외 주식 보관액은 1652억달러(약 225조원)였다. 한 달 만에 210억달러(약 30조원) 늘었다. 월간 기준 사상 최대 증가폭이다. 종전 최대폭인 작년 11월 150억달러보다 40% 증가했다.

미국 일본 대만 등 주요국 증시가 고점을 이어가면서 투자자 보유 주식의 평가액이 상승한 데 따른 결과다. 여기에 서학개미의 공격적인 매수세도 가세했다. 지난달 해외 주식 매수액은 299억달러로 역대 네 번째로 많았다.

서학개미의 투자 국가와 종목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이 회사 고객이 보유한 해외 종목은 30개국 총 1만5068개로, 국내 상장 종목 수의 다섯 배를 넘어섰다. 1년 전보다 약 1800개 종목이 증가했다. 미국이 8890개로 가장 많고 일본(1271개), 중국(1128개)도 1000개를 넘었다. 이 밖에 영국(634개), 독일(606개), 베트남(375개), 캐나다(293개), 인도네시아(227개), 싱가포르(169개) 등 다양한 국가의 종목에 투자했다.

해외 주요 종목의 큰손으로 부상한 사례도 늘고 있다. 국내 투자자는 지난달 말 기준 테슬라 주식 274억9266만달러(약 39조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와 뱅가드, 블랙록 등에 이어 6대주주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보유한 완성차 종목이 한국 현대차가 아니라 미국 테슬라인 점만 봐도 투자 무대가 글로벌로 옮겨갔다는 걸 알 수 있다”며 “고수익을 좇아 세계 증시를 찾아다니는 서학개미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남아공·이스라엘 주식도 산다…고수익 좇아 전세계 훑는 서학개미

남미·아프리카까지 사냥, 어떻게 이 종목을…증권사 깜짝

“미국 방산 ETF(상장지수펀드)를 사려는데 어떤 게 나을까요?”

“그냥 알주식 사세요. 크라토스랑 헌팅턴, 머큐리 3분의 1씩.”

한 해외 주식 투자 카페에서 오간 대화다. ‘크라토스 디펜스 앤드 시큐리티 솔루션스’나 ‘헌팅턴 잉걸스 인더스트리스’는 시가총액 15조~20조원으로 미국에선 중형주로 분류된다. 국내 증권사가 좀처럼 커버하지 않는 낯선 기업이다. 하지만 이미 서학개미 사이에선 1000억원어치씩 보유할 정도로 ‘알짜주’로 통한다.

주식토론방에선 이런 생소한 해외 종목 수십 개가 매일 오르내린다. 서학개미들은 아시아, 남미와 아프리카까지 훑으며 전 세계 주식 사냥에 나서고 있다. 이들이 보유한 해외 종목은 1만5000여 개, 국내 상장 종목의 5배를 넘어섰다. 최근 국내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해외 주식 열풍은 더 뜨거워지고 있다.

◇1년 새 해외 투자종목 1800개 급증

3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 고객이 보유 중인 해외 종목이 처음으로 1만5000개를 돌파했다. 30개국 1만5068개로, 최근 1년 사이 1800여 개 종목이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을 감안하면 다른 대형 증권사 고객도 이와 비슷한 수준의 해외 종목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투자자는 국내 증권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을 통해 미국 중국 일본 등 5~10여 개국 종목을 살 수 있다. 하지만 그 외 국가의 종목을 매매하려면 직접 지점을 찾아야 한다. 국내 투자자 보유 종목의 국가 수가 30여 개국에 달한다는 것은 서학개미들이 숨은 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지점을 찾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있다는 얘기다.

서학개미 포트폴리오를 보면 여전히 미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미래에셋증권 고객의 경우 1만5068개 종목 중 미국이 8890개로 60%에 달한다. 다른 나라로 확산하는 속도도 빠르다. 일본(1271개), 중국(1128개) 등이 최근 3년 사이 각각 1000개를 넘어섰고, 영국(634개), 독일(606개) 등 유럽과 베트남(375개), 캐나다(293개) 등 아시아 주요 증시 상장 종목도 수백 개씩 보유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주식을 가진 투자자도 있다.

◇리포트 없는 종목 99%

국내 증권사들은 서학개미의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국내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해외 종목을 담당하는 인원은 10명 안팎이다. 국내 증권사 중 해외시장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미래에셋증권의 해외기업 담당 애널리스트가 22명으로 가장 많다.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각각 13명, 10명으로, 리서치 전체 인원의 5분의 1에 미치지 않는다. 이들이 내는 해외 주식 리포트는 연간 400~500건에 머물러 있다. 이마저도 대부분이 해외 증권사 리포트를 번역하는 수준이다. 리포트가 발간된 해외 종목도 150~160개에 불과하다. 국내 투자자가 보유한 해외 종목 수의 1% 수준이다.

최근에서야 정보에 목마른 서학개미를 잡기 위해 해외 리포트를 제공하는 증권사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투자증권은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 스티펠과 제휴를 맺었고 삼성증권은 모건스탠리와 스트래티거스의 리포트를 독점 제공하고 있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연간 수십억원의 구독료를 내야 하는 리포트지만 글로벌 투자회사의 금융 상품을 판매해주는 조건으로 전략적 협약을 맺었다”고 했다. 다만 이런 보고서들은 고액 자산가 등 VIP 고객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서학개미들은 전 세계 유망 종목을 발굴하고 인터넷을 뒤지며 종목을 분석하고 있지만 국내 증권사가 이들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해외 리포트 번역 서비스가 확산하면 정보 비대칭성이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