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전력망·ESS 확충 최우선"
정부가 전력 수요 폭증 시대에 대비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에 속도를 낸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15일 “깨끗하고 지속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인 전기를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미래 경쟁력의 관건”이라며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선 대규모 전력망 확충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며 “정부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전력망과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날씨 등 변수에 영향받는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통한 예측 기술이 적극 활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재생에너지는 기상 변화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적이라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며 “AI 기술을 활용하면 날씨 변화에 따른 발전량 변동을 예측해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자력발전의 경우 소형모듈원전(SMR) 등 차세대 원자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차관은 “원전은 시공 규모가 크고 한번 연료를 넣으면 18개월 이상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발전 경직성이 크다”며 “기존 원전 대비 유연하게 발전할 수 있는 SMR이 도입되면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전력 시장 개편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차관은 “현재 재생에너지 단가가 높아 보급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가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가격 결정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력감독원’ 등 독립적인 감독 기구 신설도 제안했다. 그는 “전력 시장 참가자가 15만 명에 달할 정도로 늘어난 만큼 전력시장 감독 기능을 강화할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력거래소 시장감시실 인력 규모가 7명에 불과해 감시 체계 운영에 한계가 있으며 공정성 제고와 시장 감시 기능 강화를 위해 감시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국산 재생에너지 설비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국내 산업 보호 전략도 언급됐다. 이 차관은 “재생에너지 정책에서 산업 정책이 없다면 특정국 의존도가 심화할 수 있다”며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은 재생에너지산업 정책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풍력산업 등에서도 국내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맹진규 기자
-
등록일 09.16
-
등록일 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