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분류

"K팝 산업 이미 대체불가능...AI 아티스트 시장도 개척할 것" [KIW 2025]

7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이미 미국 현지에서는 K팝을 단순한 음악 산업이 아닌, 대체불가능한 새로운 산업으로 보고 있습니다.”

신현국 JYP아메리카 대표는 15일 한국경제신문사 주최로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5’에서 K팝이 전세계 문화 산업의 한축으로 자리잡았다고 말했다. 신 대표는 “전세계 모든 10대가 K팝을 부르고 있다”며 “이는 한국에서 체감하는 것의 10배, 100배를 뛰어넘는 글로벌한 현상”이라고 전했다.

그는 전세계 음악 산업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을 3가지로 설명했다. ‘수퍼팬’이라 불리는 K팝 아티스트의 충성 팬층을 두텁게 구축하는 동시에 미국 현지 K팝 그룹인 ‘A2K’ 등 현지화 전략을 펼칠 예정이다. 신 대표는 “아직 구체화된 건 아니지만, 미국 시장을 겨냥한 인공지능(AI) 아티스트도 준비 중”이라며 “라이브네이션 등 현지에서 가장 사업을 잘 하는 파트너사와의 시너지도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카카오 에스엠 엔터테인먼트 차이나 대표도 연사로 나서 현지 기업들과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확대해 K팝의 글로벌 공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단순히 콘텐츠를 수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지 파트너사와의 시너지를 발판 삼아 다양한 협업을 시도하겠다는 의미다.

김 대표는 앞선 5월 에스엠이 중국 텐센트뮤직을 2대 주주로 받아들인 것도 이같은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거대한 팬덤 시장이 웨이보·더우인·샤오홍수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만큼 중국 내 압도적인 플랫폼 장악력을 갖추고 있는 텐센트뮤직의 손을 잡은 것이다. 그는 “기존의 한류로 만들어진 팬덤을 유지·확장하기 위해 디지털 마케팅에 집중하는 중”이라며 “현지화된 콘텐츠를 통해 현지 팬들과 온오프라인에서 끊임없이 소통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현지화 전력으로 중화권은 물론 글로벌 팬덤을 투트랙으로 공략한다는 게 에스엠의 전략이다.

K팝에 이어 한류의 주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K애니도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캐릭터 ‘티니핑’으로 유명한 SAMG엔터테인먼트의 최재원 부사장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세계 캐릭터 굿즈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는 만큼 K애니 산업의 성장 가능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최 부사장은 “작년만 해도 애니메이션이 돈이 되냐는 인식이 많았는데, 최근 캐릭터 관련 기업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며 산업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며 “MZ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올리브영, 편의점 등 리테일이 최근 앞다투어 캐릭터와 컬래버를 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K애니 산업이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키즈 팬덤을 넘어 성인층까지 폭넓게 공략하는 IP 확장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 부사장은 “다양한 연령대를 커버하는 패밀리 브랜드로의 확장을 고민한 끝에 나온 게 영화 ‘사랑의 하츄핑’”이라며 “제한된 비용으로 성인 팬덤을 만족시키기 위해 감성적인 노래를 넣는 등 엄마·아빠 관람객도 감동시킬 수 있게끔 했다”고 말했다. 이 외 에스파 등 K팝 그룹은 물론 뷰티·자동차 브랜드와의 컬래버를 늘리고 IP를 활용한 굿즈 상품도 다양화하고 있다.

SAMG엔터는 향후 중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겠다는 청사진도 공개했다. 최 부사장은 “중국의 캐릭터 굿즈 시장이 급성장 중”이라며 “중장기적으로 내년, 내후년께 팝마트, 미니소 등 중국 굿즈 유통 플랫폼에 우리 제품을 태워서 양적 성장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