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분류

방산·원전·금융株 줄줄이 약세로…눈물의 8월

2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코스피지수가 박스권을 오가다 마이너스 수익률로 8월 장을 마무리했다. 월간 수익률이 하락세를 보인 것은 지난 3월 후 처음이다. 증권가는 다음달에도 국내 증시가 뚜렷한 동력을 얻지 못한 채 변동성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지수 흐름을 장담하기 어려운 만큼 업종별 포트폴리오로 대응하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코스피지수 이달에만 1.8% 밀려

29일 코스피지수는 0.32% 하락한 3186.01에 장을 마감했다. 전날 미국 S&P500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영향 등으로 개장 직후 3200선을 넘겼으나 힘을 받지 못했다. 코스피지수는 8월 한 달 기준으로는 1.83% 내렸다.

이달 유가증권시장에서 주요주는 제대로 힘을 쓰지 못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33% 뛰면서 ‘7만전자’에 오른 삼성전자 주가는 이달 2.38% 하락했다. 이날 마감가는 6만9700원. 지난달 말 ‘황제주’(주당 100만원)에 등극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달에만 11.24% 급락했다. SK하이닉스(-1.65%), LG에너지솔루션(-7.97%), 삼성바이오로직스(-6.19%), 두산에너빌리티(-5.95%) 등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줄줄이 약세였다.

상반기 급등세를 탄 금융·증권주도 마찬가지다. KOSPI 금융지수는 이달 들어 0.08%, 증권지수는 0.65% 각각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는 주요국과 비교해도 유독 약세였다. 이달 들어 전날까지 S&P500지수는 2.56% 올랐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7.57%,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4.28%, 대만 자취안지수는 2.95% 수익을 냈다.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도 쪼그라들었다. 지난 5월 169조원, 6월 288조원, 지난달엔 298조원을 기록했으나 이달 들어 전날까지 198조원으로 뚝 떨어졌다. 1개월 새 100조원가량 줄어든 셈이다.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정부 정책이 증시 발목을 잡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달 첫 거래일 3%대 급락을 유발한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감이 여전하다”며 “특히 조선·방위산업·원전 등 기존 주도주의 조정 압력이 높은 상태”라고 말했다.

◇“9월에도 불확실성 지속 가능성”

국내 증시는 다음달에도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란 게 증권가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정기 국회를 앞두고 대주주 양도세 기준 등 세제 개편안 논란이 계속될 수 있어서다. 미국의 관세 영향도 단기간 내 뚜렷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주요 기업의 실적 예상이 어려울 것이란 계산이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나올 주요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견조하고, 금융시장의 위험 선호 심리까지 지속된다면 미국의 9월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다시 불투명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통계적으로 ‘9월 증시’가 부진했다는 점도 투자자 사이에서 경계심을 높이게 만드는 배경이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작년까지 코스피지수의 9월 등락률은 평균 -1.0%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변동성을 염두에 두고 중장기 상승 가능성에 베팅하라고 조언했다. 정성한 신한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조선·방산·원전 등 기존 주도주, 라면과 엔터 등 K컬처 관련주 내러티브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다만 완전히 새로운 상승 동력을 타는 게 아니라 호재가 알려진 선에서 실적이 오르는 정도이다 보니 이전만큼의 급등세를 기대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각 업종이 순환매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추격 매수에 나서는 것보다 조정받는 구간에서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좋아 보인다”고 조언했다.

선한결/정원우 한경TV 기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