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순위는 어떻습니까" … 금융사 대표가 매일 ETF 챙기며 혈투
"오늘 순위는 어떻습니까" … 금융사 대표가 매일 ETF 챙기며 혈투
사활 건 ETF 전쟁밀리면 끝장 … 그룹 자존심 건다
KB 양종희, 운용사 찾아 점검
삼성, 장 마감 직후 임원 회의
한화, 방산 ETF로 일약 스타덤
ETF가 운용사 성패 좌우
리테일 자금 확보·해외진출 발판
KODEX, TIGER, RISE, ACE
브랜드 앞세워 치열한 순위싸움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KB자산운용 사무실을 자주 방문해 상장지수펀드(ETF) 사업을 점검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은 지난해 ETF 브랜드를 ‘KB STAR’에서 ‘RISE’로 변경한 이후 한국투자신탁운용 ‘ACE’와 자존심을 건 3위 싸움을 벌이고 있다.
운용업계에선 KB금융이 그룹 차원에서 자산운용사 사업을 챙기는 것을 두고 과거엔 상상하기 힘든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기존엔 자산운용업의 존재감이 은행, 보험에 비해 미미했지만 ETF가 국내 금융권의 핵심 경쟁 시장이 되자 반드시 키워야 할 계열사가 됐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ETF 시장에서 밀리면 안 된다는 인식이 금융권에 팽배하다는 전언이다.
◇“ETF가 그룹 이미지…경쟁 가열”
이 같은 ETF 경쟁은 삼성과 한화 등 금융 전업사가 아닌 그룹도 예외가 아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은 거의 매일 장 종료 직후 김우석 대표 주재로 ETF 매매 동향을 결산하고 계획을 세우는 임원회의를 연다. 김 대표는 실적이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관련 임원들을 소집해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하는 등 ETF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기업·정부 간 거래가 많은 한화그룹에서도 한화자산운용은 ‘그룹의 얼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소형 운용사로 분류되던 한화자산운용은 그룹 핵심인 방위산업 종목을 ETF로 구성한 ‘PLUS K방산’을 출시하고 올해 미국 뉴욕증시에까지 상장하며 일약 주요 운용사로 떠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ETF 사업의 성공이 그룹에서 금융 사업을 맡은 차남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의 치적으로 평가받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ETF가 국내 금융그룹의 핵심 경쟁 상품이 된 것은 기존 펀드, 보험상품과 달리 ‘KODEX’(삼성) ‘TIGER’(미래에셋) ‘PLUS’(한화) ‘RISE’(KB) 등 브랜드가 개인투자자에게 각인되는 상품이어서다. 국내 주식투자자가 1500만 명에 육박하고 정부가 증시 활성화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는 상황에서 ETF 거래대금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면서 리테일 자금을 끌어오기 위한 ‘앵커 상품’이 됐다는 얘기다.
퇴직연금 자금이 ETF로 밀려드는 것 또한 시장이 급성장하는 주요 배경이다. 430조원이 넘는 퇴직연금 자산의 ETF 투자가 허용되자 ETF 시장으로 대규모 자금이 몰려들었다. 퇴직연금의 실적배당형 상품 투자액은 2023년 49조원에서 지난해 75조원으로 50% 넘게 증가했다.
◇ETF 통해 해외 진출 노리는 ‘K금융’
ETF는 국내 금융사 숙원인 글로벌 진출의 핵심 열쇠기도 하다. 상장하지 않은 공모펀드는 현지 은행이나 증권사 등 판매 채널 확보가 필수다. 현지에서 펀드를 운용하며 수익률을 내는 것도 까다로운 일이다. 그러나 이미 증시에 상장한 ETF는 중간 판매채널 없이도 현지 리테일 투자자가 직접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다. 국내 금융사는 현지 ETF 운용사를 인수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셈이다.
이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이 같은 모델로 성과를 입증했다고 평가받는다. 미래에셋은 미국 ETF 전문 운용사 글로벌X를 인수한 뒤 세계 12위권 자산운용사로 발돋움했다. 글로벌X ETF 순자산은 약 157조원으로, 국내 TIGER ETF(약 75조원)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삼성자산운용도 2023년 11월 미국 ETF 전문 운용사 앰플리파이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현지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ETF가 국내 금융사의 해외 진출 통로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 ETF 사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만큼 금융사들의 ETF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한신/양지윤 기자
-
등록일 20:07
-
등록일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