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표 부진ㆍ연준 혼란 등 악재 딛고 반등
달러는 4일(현지시간) 미국 고용지표 부진, 연방준비제도 이사 사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고 통계 당국자 해고 등 시장을 움직인 세 가지 사건 이후 소폭 회복했다.
이러한 악재들은 달러에 타격을 입혔고 투자자들이 연준의 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베팅을 늘리도록 유도했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은 월요일 달러의 반등이 단기적일 수 있으며 미국의 정책 결정 불확실성과 마침내 균열을 보이고 있는 미국 경제를 고려할 때 더 광범위한 하락 추세가 다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오후 거래에서 달러는 유로, 스위스 프랑, 또 호주 및 뉴질랜드 달러와 같은 원자재 관련 통화 대비 상승했다.
유로는 달러 대비 0.1% 하락한 1.1576달러, 달러는 스위스 프랑 대비 0.5% 상승한 0.8078달러에 거래됐다.
호주와 뉴질랜드 달러도 달러 대비 0.2% 하락한 0.6463달러와 0.3% 하락한 0.5904달러를 기록했다.
달러는 엔 대비로도 0.3% 상승한 146.945엔에 거래됐다.
파운드는 1.3275달러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금요일 1.3% 이상 하락한 달러 지수는 0.1% 상승한 98.77을 기록했다.
CME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현재 시장은 예상보다 부진한 고용지표로 인해 연준이 다음 달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84%로 반영하고 있고, 12월까지 60bp 미만의 인하가 예상되며 이는 두 차례 25bp 인하와 세 번째 40%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한편 미국 국채 수익률은 등락을 거듭하다 소폭 하락했다. 고용지표 부진으로 10년물 수익률은 전 거래일 한 달 만의 최저치로 떨어진 바 있다.
벤치마크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7월1일 이후 최저치인 4.196%까지 하락한 후 1.8bp 하락한 4.202%를 기록했다.
30년물 수익률은 1.2bp 하락한 4.795%를 기록했다.
* 원문기사
-
등록일 15:09
-
등록일 14:59
-
등록일 14:59
-
등록일 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