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세계 핫 뉴스들을 가장 빨리 업데이트 해드립니다.
국내주식 분류

MS 시총 4조 돌파하자…차익실현 매물 쏟아지며 하락 마감 [뉴욕증시 브리핑]

4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하락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플랫폼스(옛 페이스북)가 호실적을 내놓으며 강세로 출발했지만, 경제지표 불안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약가 인하 압박에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됐다.

3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330.30포인트(0.74%) 떨어진 44,130.98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3.51포인트(0.37%) 밀린 6,339.3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7.23포인트(0.03%) 내린 21,122.45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인공지능(AI) 산업의 대표주자인 MS와 메타가 호실적을 내놓으며 무섭게 오르자,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졌다.

MS는 이날 장중 상승폭을 8.22%까지 키워 시가총액이 4조원을 돌파했다. 엔비디아에 이어 사상 두 번째다. 하지만 시총 4조원을 돌파한 뒤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오름폭을 절반 가량 반납하고 3.93% 상승으로 마감됐다.

메타는 11.25% 급등했다. 마찬가지로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가운데 연간 설비투자 전망치를 기존보다 상향 조정한 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메타의 급등은 반도체 섹터의 주가를 짓눌렀다. 주요 반도체 업체가 부진한 실적을 내놓은 탓이다. 이날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3% 넘게 급락했다.

종목 별로는 Arm이 13.44% 급락했다. 시장은 ‘깜짝 실적’을 기대했지만, 2분기 실적과 향후 가이던스 모두 시장 예상 수준으로 나오자 실망 매물이 쏟아졌다.

Arm의 급락에 AMD와 ASML도 약세로 마감됐다.

제약업종도 부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라이릴리를 비롯한 글로벌 제약사 17곳에 의약품 가격을 인하하라는 서한을 보내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됐다. 의료건강 업종지수는 2.79% 하락했다.

장 마감 후 빅테크 중 애플과 아마존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애플은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940억4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12% 증가한 1.57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모두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아마존 역시 시장 예상을 웃돈 실적을 내놨다. 2분기 매출은 1677억달러, EPS는 1.68달러로 발표됐다.

경제지표도 투자심리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6월 기준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지난 5월의 0.2% 상승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식품과 에너지를 포함한 전 품목 PCE 가격지수도 6월에 전월 대비 0.3% 상승하며 5월 상승률 0.2%를 웃돌았다.

tl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39%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엔 46.7%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1.24포인트(8.01%) 오른 16.72를 기록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헤드라인
공급자
해선코리아
포인트랭킹
회원랭킹
텔레그램 고객센터
텔레그램
상담신청
카카오톡 고객센터
카카오톡
상담신청
먹튀업체 고객센터
먹튀업체
제보하기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