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9개장체크] 美 증시, 혼조세 마감…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주시
![© Reuters. [0819개장체크] 美 증시, 혼조세 마감…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주시](https://i-invdn-com.investing.com/news/LYNXMPEA7306L_L.jpg)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 국내증시
코스피 지수는 1.50% 하락한 3177.28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5416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575억, 790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이 1464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159계약, 599계약 순매수했다.
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5일(현지시간) 반도체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삼성전자 (KS:005930)(-2.23%), SK하이닉스 (KS:000660)(-3.25%), 한미반도체(-4.52%) 등 반도체, LS ELECTRIC(-6.84%), HD현대일렉트릭(-5.64%), LS(-5.32%) 등 전력설비·전선, HD현대인프라코어(-11.19%), HD현대건설기계(-9.70%), 디와이파워(-3.36%) 등 건설기계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건설기계 관련주들은 러·우 휴전합의 ’노딜’ 소식 등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5원 하락한 1385.0원을 기록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2.2bp 상승한 2.426%,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0bp 상승한 2.837%를 기록했다.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3틱 내린 107.35로 마감했다. 외국인이 14337계약 순매도, 은행은 14511계약 순매수했다.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9틱 내린 118.29로 마감했다. 외국인이 5196계약 순매도, 은행, 투신은 2301계약, 1350계약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했다. KB금융 (KS:105560)(-5.30%), SK하이닉스(-3.25%), LG에너지솔루션(-2.79%), HD한국조선해양(-2.38%), 신한지주(-2.32%), 삼성전자(-2.23%), 현대모비스(-1.52%), 삼성물산(-1.46%), 기아(-1.45%), 셀트리온 (KS:068270)(-1.20%), 삼성생명(-0.78%), 두산에너빌리티(-0.61%),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0.48%), 현대차 (KS:005380)(-0.46%), HD현대중공업(-0.21%) 등이 하락했다. 반면, 한화오션(+2.44%), 카카오 (KS:035720)(+0.93%), NAVER(+0.67%), 한화에어로스페이스(+0.57%) 등은 상승했다.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뉴스1
코스닥 지수는 2.11% 하락한 798.05에 마감했다.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37억, 1193억 순매도, 개인은 1710억 순매수했다.
에코프로비엠 (KQ:247540)(-5.40%), 에코프로(-4.27%), 대주전자재료(-5.43%), 엔켐(-4.62%) 등 2차전지, 서진시스템(-8.30%), 동진쎄미켐(-4.01%), 원익IPS(-5.52%), 테크윙(-3.25%) 등 반도체, HLB (KQ:028300)(-4.12%), 리가켐바이오(-3.39%), 휴젤(-3.00%), 삼천당제약(-2.27%) 등 제약·바이오, 제닉(-7.29%), 청담글로벌(-5.88%), 아우딘퓨쳐스(-5.33%), 삐아(-4.44%) 등 화장품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을 중심으로 대부분 업종이 하락했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했다. 펩트론(-8.49%), 에코프로비엠(-5.40%), 이오테크닉스(-5.11%), 케어젠(-4.79%), 에코프로(-4.27%), HLB(-4.12%), 코오롱티슈진(-3.44%), 리가켐바이오(-3.39%), 휴젤(-3.00%), 레인보우로보틱스(-2.39%), 파마리서치(-2.34%), 삼천당제약(-2.27%), 클래시스(-1.60%), 리노공업(-1.17%), 에스엠(-0.81%), 셀트리온제약(-0.56%), 실리콘투 (KQ:257720)(-0.44%) 등이 하락했다. 반면, 에이비엘바이오(+2.63%), 알테오젠 (KQ:196170)(+0.57%), JYP Ent.(+0.25%) 등은 상승했다.
■ 미국증시
이날 뉴욕증시는 이번주 개최되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진 가운데, 미국과 우크라이나 정상회담을 주시하며 보합권내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0.08% 하락한 4만4911.8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03% 상승한 2만1629.77에, S&P500 지수는 0.01% 하락한 6449.15에 거래를 마쳤고,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0.41% 상승한 5776.31에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한 데 이어 주요 유럽 정상들과 함께 회담하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종식 방안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했으며, 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은 "영토 문제 등 민감한 사안은 3자 회담에서 논의할 것"이라며, 영토 교환 가능성과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 방안 등도 논의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가능한 한 빠르게 3자 회담을 시도할 것"이라며, 젤렌스키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어떤 합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과 유럽 주요국 정상이 함께 회담을 진행했으며, 이 자리에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우선 휴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도 논의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는 매일 (러시아) 공격받고 있고 이 전쟁을 멈춰야 한다”며, “전쟁을 멈추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지지하고 3자 회담을 할 준비가 됐다”고 화답했다.
오는 21일~23일로 예정된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관망 심리는 짙어지는 모습이다. 전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 경제석학 등이 한자리에 모이는 경제정책 심포지엄 ‘잭슨홀 미팅(Jackson Hole)’을 앞둔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연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오는 22일 오전 10시에 예정된 연설에서 향후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단서를 제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시장에서는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를 확신하고 있으며 10월이나 12월에도 최소 한차례 더 추가 인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최근 인플레이션이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보이면서 ‘매파적 인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이 83.2%로 낮아졌으며, 동결 가능성은 16.8%까지 다시 상승했다.
이번 주 월마트와 타깃 등 주요 유통업체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는 점도 관망 심리를 키우는 모습이다. 주택개량 자재 소매체인 홈디포가 19일 실적을 발표하는 것을 시작으로 20일에는 타깃과 주택 자재 소매체인 로스가, 21일에는 美 최대 소매체인 월마트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으며, 시장에서는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 업계인 만큼 관세 불확실성이 실물 경제에 어떻게 전이되는지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웰스파고 투자연구소의 스콧 렌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이번 주 소매업체 실적 보고서는 관세 우려, 인플레이션 상승, 예상되는 경기 둔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며, 그 결과 최근 몇 주 동안 나타난 주식 랠리가 "멈출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날 국제유가는 우크라戰 종전 협상 주시 속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62달러(+0.99%) 하락한 63.42달러에 거래 마감했다.
이날 채권시장은 英 장기금리 상승 속 잭슨홀 경계감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트럼프-젤렌스키 회담 주시 속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소폭 하락했다.
종목별로는 엔비디아 (NASDAQ:NVDA)(+0.86%), 마이크로소프트(-0.59%), 애플 (NASDAQ:AAPL)(-0.30%), 알파벳A(-0.20%), 아마존 (NASDAQ:AMZN)(+0.20%), 메타(-2.27%), 테슬라 (NASDAQ:TSLA)(+1.39%) 등 대형 기술주들이 엇갈린 모습을 보였으며, 노보노디스크 ADR(+3.71%)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로도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타깃(+1.87%)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은행 에버코어ISI가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하면서 상승했고, 언어 교육 업체 듀오링고(+12.93%)는 투자의견 상향 소식이 전해지며 급등했다.
반면, 미국 연방정부가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에 따라 인텔에 주기로 한 보조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텔 (NASDAQ:INTC) 주식을 취득하는데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인텔(-3.66%)이 하락했다.
인포스탁
■ 아시아증시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대만 등이 상승했다.
8월18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日 경제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0.77% 상승한 4만3714.31에 장을 마감하며 사상 최고치 재경신했다.
지난 15일 일본 내각부는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물가 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기준으로 연율 1.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0.4% 증가할 것이라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돈 것으로, 전기 대비로는 0.3% 증가해 역시 예상치 0.1% 증가를 웃돌았다.
또한, 올해 일본 증시는 기업들의 견조한 실적과 자사주 매입으로 상승세에 힘을 받고 있다. 일본 상장사들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당초 1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집계 결과 7%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어 올해 1~7월 상장사들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약 6조5,000억엔(약 61조원)으로 지난해 대비 약 2배 늘어나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오는 22일 공개되는 일본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지수에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일본 경제가 견조하다는 신호가 잇따르면서 BOJ의 금리 인상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 또한 좋은 금리 인상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다.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및 자동차株 강세 영향 등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인도 정부가 전면적인 세금 개혁의 일환으로 ‘소형차에 대한 상품 및 서비스세(GST)’를 현재 28%에서 18%로 낮추는 방안을 제안한 가운데, 이번 세금 인하가 승인되면 스즈키자동차(+10.20%)가 지배하는 인도 최대 완성차 업체 마루티 스즈키가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 속 급등세를 보였으며, 이외에도 닛산자동차(+3.03%), 도요타자동차(+1.72%) 등 자동차株도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 관세 계획 발표 예정 소식은 증시의 상승폭을 제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러 가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다음주나 다음다음주 철강과 반도체 칩에 대한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며, "일정 기간 후에는 매우 높게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 관세가 최대 300%에 이를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종목별로는 후지쓰(+1.86%), 다케다약품공업(+1.75%), 혼다자동차(+1.56%), 소프트뱅크그룹(+1.12%), 캐논(+0.71%) 등이 상승했다.
사진=Bank of Japan(BOJ)
8월18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무역 긴장 완화 속 증시자금 유입 등에 0.85% 상승한 3728.03에 장을 마감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90일 추가 유예했다고 공식 발표하며 美/中 무역 긴장이 완화된 가운데,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찾아 채권과 은행 예금에서 주식으로 자금을 옮기는 ’머니 무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전해졌다. 특히,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장중 한때 3,740선을 돌파하며 2015년8월19일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아울러 추가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지속된 점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 15일 발표된 중국의 7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등 주요 경제지표들이 올해 가장 부진한 수치를 보였다. 이에 시장에서는 소비와 부동산 부문에 대한 추가 경기 부양책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롭 숩바라 노무라증권 아시아담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하반기에 새로운 지원 조치 발표를 서두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
한편, 투자자들은 20일 중국 인민은행의 8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및 현지시간으로 21~23일까지 열리는 경제정책 심포지엄 ’잭슨홀 미팅’에 주목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장성자동차(+6.61%), 하문텅스텐(+3.13%), 중신증권(+1.93%), 중국인수보험(+1.42%) 등이 상승했다.
홍콩항셍 지수는 0.37% 하락한 2만5176.85에, 대만가권 지수는 0.61% 상승한 2만4482.52에 장을 마감했다.
■ 전일 장마감 후 주요 종목 공시
* LF(093050) - 보통주 160,944주(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8-19~2025-11-18)
* 한국금융지주(071050) -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주), 펀드출자를 통한 수익성 추구 목적으로 한국투자글로벌사모투자합자회사 주식 19,570,000,000주를 2,708.09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5.00%, 취득예정일:2025-09-15)
* 콜마비앤에이치(200130) - 25년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20.63억원(전년동기대비 +7.29%), 영업이익 33.13억원(전년동기대비 +68.00%). 콜마홀딩스 주식회사가 주주명부 열람등사 가처분 소송 제기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 자회사 메리츠화재해상보험㈜, 보통주 1주당 3,272원 현금배당(중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8-18)
* 일양약품(007570) -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해지 결정(해지예정일:2025-08-18)
* 토박스코리아(215480) - ㈜토박스랩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10-30)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 - 17.6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33%) 규모 공급계약(의약품 원료 공급(Tuznue)) 체결(계약기간:2025-08-15~2026-01-31)
* 디에이치엑스컴퍼니(03186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1,037,344주(9.99억원) 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037,344원,청약예정:2025년 08월 25일(일반공모),상장예정:2025-09-10)
* 코아스템켐온(166480) - 채무상환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20,000,000주(378.0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1,890원,1주당 약 0.71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11월 03일~2025년 11월 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11-24)
* 코미코(183300) - (주)케이클라비스인베스트먼트의 공동매도권 (Tag-along Right) 행사에 따른 주식 양수 및 (주)미코세라믹스 지분 확대를 통한 지배력 강화 목적으로 (주)미코세라믹스(대한민국) 주식 386,100주를 300.71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2.6%, 취득예정일:2025-08-19)
* 오에스피(368970) - 채무상환자금 확보를 위해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본건 펀드 1,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등 대상으로 7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628원, 전환청구일:2026-08-26 ~ 2028-07-26)
* 제이알글로벌리츠(348950) - 24년(06월결산) 연결기준 매출액 747.92억원(전년대비 +19.53%), 영업이익 639.06억원(전년대비 +106.20%), 순이익 307.46억원(전년대비 +48.70%). 보통주 1주당 115원(시가배당률 4.2%) 금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6-30)
* 센코(347000) - 최대주주가 티에스 2024-16 M&A 성장조합으로 변경
* 엠브레인(169330) - 24년(06월결산) 연결기준 매출액 561.61억원(전년대비 +4.56%), 영업손실 12.57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0.8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샤페론(37880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16,100,000주(300.42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1,866원,1주당 약 0.53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11월 03일~2025년 11월 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11-21)
* TS트릴리온(317240) -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디비오 대상 24,038,461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08원, 상장예정:2025-11-14). 채무상환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우신화장품(채권자(거래처)) 대상 4,807,692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08원, 상장예정:2025-09-16). 장기영이 제기한 회계장부 열람 및 등사청구 소송 취하
* 라온텍(41842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대신-뉴젠-엠포드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등 대상으로 1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4,906원, 전환청구일:2026-08-26 ~ 2030-07-26)
* 캐리(31376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시그니엘에셋 대상 3,454,231주(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895원, 상장예정:2025-09-18)
* 카이노스메드(284620) - 공시변경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 올리패스(244460) -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 에스디생명공학(217480) - 상장폐지 관련 이의신청서 제출
* 하이드로리튬(101670) - 반기보고서 미제출 사유 해소로 관리종목 해제
* 유신(054930) - 국내 공공기관과 2,456.0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2%) 규모 거래중단 집행정지 결정
* 피씨엘(241820) - 젬 일드 바하마 리미티드(GEM Yield Bahamas Limited)가 제기한 계약상 수수료 대금 지급청구 소송 취하
* 에스아이리소스(065420) - 주식회사 교OOOO 외 5명이 주주명부 열람 및 등사 가처분 소송 제기
* 대우건설(047040) -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약 3,693억원(최근매출액 대비 약 3.52%) 규모 홍천양수발전소 1, 2호기 토건공사 낙찰자 선정
* 휴맥스(115160) - 87.03억원(자기자본대비 7.5%)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모아라이프플러스(142760) - 62.22억원(자기자본대비 14.6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휴맥스홀딩스(028080) - 87.31억원(자기자본대비 7.7%)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현대바이오(048410) - 췌장암 치료제 Polytaxel의 1상 임상시험계획 자진취하
* 씨엔플러스(115530) - 17.80억원(자기자본대비 26.2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 이노스페이스(462350) -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4,300,000주(470.85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10,950원,1주당 약 0.39주 배정,청약예정:2025년11월03일~2025년11월04일(구주주),상장예정:2025-11-21). 보통주 1주당 0.5주, 기타주 1주당 0.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5-11-14, 상장예정:2025-12-04)
* 인피니트헬스케어(071200) - 이00(671219), 허0(810513) 등 주주 등이 임시주주총회소집허가신청 소송 제기
* 알에프텍(061040) - 지정유예로 불성실공시법인 미지정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44568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동일스틸럭스(02379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SAMG엔터(41953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넥스틴(34821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박상철 기자 [email protected]
-
등록일 20:52
-
등록일 20:37
-
등록일 20:36
-
등록일 20:27